[ 빈곤론 )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주의 관점에서 빈곤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비교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빈곤론 )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주의 관점에서 빈곤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비교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주의의 관점에서 본 빈곤

2) 2019년 북한이탈주민 모자(母子) 아사(餓死) 사건

3) 위 사건을 통해 본 빈곤의 원인과 해결방안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개인적인 능력이나 한정된 선택의 차이에서 오는 경제적인 불평등은 없애기 어렵다.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가능하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계속해서 부와 가난의 양극화를 그대로 둔다면 불평등은 계속되고 저소득 계층은 소외감을 더욱 느끼게 될 것이다. 빈곤은 그들을 죽음으로 몰고 갈 것이다. 우리는 우리 문화 안에 나눔의 정신을 일깨워야 한다. 나눔을 통해 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을 우리의 사회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인정하고 그들을 향한 연대의식을 가져야 한다. 한 씨와 그의 아들처럼 절대적으로 빈곤한 계층이 나타나지 않도록 그들에게 혜택이 갈 수 있는 평등한 분배를 해야 한다. 최근의 자본주의 연구에서는 정치, 경제를 협력 관계로 바라보고 있다. 앞서 말한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본주의 체제의 새로운 변화이다. 근로빈곤층이나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빈곤계층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그들이 남한에 잘 정착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평범한 소시민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3. 결론
북한이탈주민법 제4조의 2항에 의하면 “국가는 보호대상자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보호대상자의 보호ㆍ교육ㆍ취업ㆍ주거ㆍ의료 및 생활보호 등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이에 필요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통일부(정착지원과), 국가법령정보센터, 2019.7.16. 시행, 법률 제16223호, 2019. 1. 15., 일부개정
고 규정하고 있다. 이들의 취업지원 정책도 근로능력이 취약한 이들을 고려하여 차등 지원한다. 그러나 여전히 북한이탈주민들이 겪고 있는 빈곤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들은 주로 소득 노출이 되지 않는 비정규직일이나 생계형 일자리를 통해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정부의 지원체계가 여전히 현실적이지 못하기 때문도 있지만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고 연대의식도 충분하지 못한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빈곤은 우리사회가 애써 외면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다. 오늘날에도 먹고 살아감에 있어 소외받는 이들이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지만, 한 씨와 그의 아들의 죽음과 같은 비극은 지금도 어딘가에서 계속 되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변수연 기자, \"성장률 1%P 하락땐 빈곤인구 15만명 늘어\", 서울경제, 2020.5.13.
-장세정 기자, “뼈만 앙상한 사람 그려놓고···6살 동진이 \'탈북\'은 끝났다”, 중앙일보, 2019.8.28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통일부(정착지원과), 국가법령정보센터.
-양창삼, 「구조기능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1991.
-김문섭, 「구조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학교와 청소년의 일탈행동」,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6.
-김상규, 「부와 빈곤의 원인 분석 및 대안의 모색」, 행복한부자학회, 2013,
-김동렬, 『구조』, 바탕소, 2010.
-조대엽,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나남, 2014,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