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학교 1학년 남학생 사례보고서
2. 중학교 2학년 여학생 사례보고서
2. 중학교 2학년 여학생 사례보고서
본문내용
강한 인내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인내력을 가지고 상담에 끝까지 참여하며 성실하게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내담자가 가지는 강점은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다. 내담자가 부모님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자신이 부모님이 원하는 것을 하며 부모님이 자신을 걱정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위하는 행동 하였다는 것이 내담자가 타인의 원하는 것을 잘 파악하는 사회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내담자의 사회적 능력은 부모님과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교우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다.
6) 내담자의 취약성은 무엇인가?
자기 표현력이 부족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부모님이나 타인에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내담자가 가지는 취약한 점이며 이러한 점은 내담자의 행동과 모습이 자신감이 결여된 모습으로 비추어지며 의기소침한 학생으로 보일 수 있다는 취약점을 가진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것보다 타인에게 맞추어 지내었기 때문에 내담자는 현재 자기 이해도가 부족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등의 성향이나 기호 등을 잘 알지 못할 확률이 높으며 이러한 자기 이해의 부족은 에릭슨의 발달단계를 근거하여 말하자면 바람직한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자신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내담자의 취약성은 상담 중의 상담의 중심이 내담자가 아닌 상담자 중심으로 흘러가며 내담자가 상담자의 언행에 맞추어 자기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할 수 있는 도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7) 정희의 상담 목표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 상담의 첫 번째 목표는 강박증을 치료하는 것이고 두 번째 목표는 내담자가 자기 표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첫 번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내담자와 상담자가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신뢰 관계를 형성한 후 내담자가 안전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강박적인 사고를 상담자와 간접적으로 매체를 통하여 논박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오류를 발견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담자의 감정이 상하지 않고 잘 받아드려 개선할 수 있도록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중요한 점은 내담자가 사춘기를 보내고 있는 여학생인 것을 잊지 않고 최대한 내담자가 거부감과 부담감을 느끼지 않도록 내담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안전한 상황을 만들고 내담자에게 어울리는 매체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내담자와 맞는 눈높이에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담자는 현 15세 여학생들의 문화를 인지하고 그들만이 사용하는 신조어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
8) 학부모 상담을 한다고 했을 때, 어떤 점을 전달해야 하는가?
학부모 상담내용에서 내담자의 공부 방식이나 진로에 큰 관심이 없다는 부분이 있었는데 내담자에게는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기 때문에 내담자가 학업을 하기에 어려움이 없는지, 어떠한 진로 계획을 세웠는지 질문하고 훈계보다는 응원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전달하고 일상 속에서 내담자에게 여러 질문을 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생활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내담자의 퇴행을 적절하게 받아주어야 한다고 전달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현재 사춘기로 감정 기복이 심하고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발달단계를 근거하여 설명하고 학부모가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말과 행동을 보이는 것이 내담자가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감정 기복이 완화되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려준다.
또한 강박적인 사고를 하고 착한 아이로 살아가는 내담자를 이해하는 마음과 언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을 전달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가지는 강점은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다. 내담자가 부모님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자신이 부모님이 원하는 것을 하며 부모님이 자신을 걱정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위하는 행동 하였다는 것이 내담자가 타인의 원하는 것을 잘 파악하는 사회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내담자의 사회적 능력은 부모님과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교우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다.
6) 내담자의 취약성은 무엇인가?
자기 표현력이 부족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부모님이나 타인에게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내담자가 가지는 취약한 점이며 이러한 점은 내담자의 행동과 모습이 자신감이 결여된 모습으로 비추어지며 의기소침한 학생으로 보일 수 있다는 취약점을 가진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것보다 타인에게 맞추어 지내었기 때문에 내담자는 현재 자기 이해도가 부족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등의 성향이나 기호 등을 잘 알지 못할 확률이 높으며 이러한 자기 이해의 부족은 에릭슨의 발달단계를 근거하여 말하자면 바람직한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자신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내담자의 취약성은 상담 중의 상담의 중심이 내담자가 아닌 상담자 중심으로 흘러가며 내담자가 상담자의 언행에 맞추어 자기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할 수 있는 도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7) 정희의 상담 목표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 상담의 첫 번째 목표는 강박증을 치료하는 것이고 두 번째 목표는 내담자가 자기 표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첫 번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내담자와 상담자가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신뢰 관계를 형성한 후 내담자가 안전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강박적인 사고를 상담자와 간접적으로 매체를 통하여 논박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오류를 발견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담자의 감정이 상하지 않고 잘 받아드려 개선할 수 있도록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중요한 점은 내담자가 사춘기를 보내고 있는 여학생인 것을 잊지 않고 최대한 내담자가 거부감과 부담감을 느끼지 않도록 내담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안전한 상황을 만들고 내담자에게 어울리는 매체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내담자와 맞는 눈높이에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담자는 현 15세 여학생들의 문화를 인지하고 그들만이 사용하는 신조어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
8) 학부모 상담을 한다고 했을 때, 어떤 점을 전달해야 하는가?
학부모 상담내용에서 내담자의 공부 방식이나 진로에 큰 관심이 없다는 부분이 있었는데 내담자에게는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기 때문에 내담자가 학업을 하기에 어려움이 없는지, 어떠한 진로 계획을 세웠는지 질문하고 훈계보다는 응원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전달하고 일상 속에서 내담자에게 여러 질문을 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생활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내담자의 퇴행을 적절하게 받아주어야 한다고 전달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현재 사춘기로 감정 기복이 심하고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을 발달단계를 근거하여 설명하고 학부모가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말과 행동을 보이는 것이 내담자가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감정 기복이 완화되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려준다.
또한 강박적인 사고를 하고 착한 아이로 살아가는 내담자를 이해하는 마음과 언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을 전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