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도시와건축 ) 상하이와 델리의 역사적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생각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세계의도시와건축 ) 상하이와 델리의 역사적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생각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상하이의 역사 및 특징
2) 델리의 역사 및 특징
3) 상하이와 델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도시의 가장 큰 특징이다. 영국이라는 동일 국가로부터 식민 지배를 받은 상하이와 델리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하이의 경우, 황푸강 서쪽의 조계지가 영국인의 거주 공간으로 분리되었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현재에도 확인할 수 있는데 상하이의 관문 와이탄을 중심으로 구도심과 신도심이 분리되는 모양새다. 황푸강 서쪽은 조계지로서의 과거의 영화(榮華)를 간직하고 있어 네오르네상스 양식의 옛 영국 총영사관 건물부터 아르데코풍의 허핑(和平)호텔까지 100여 년 역사의 유럽풍 건물들이 줄지어져 있고 비교적 최근의 중국의 주도하에 국제무역, 금융도시로 발전한 황푸강 동쪽의 푸둥지구는 초고층 건물이 밀집한 마천루 형태로 중국의 현재와 미래의 상을 보여준다.
델리의 경우, 구도심인 델리는 복잡한 유기체적 패턴의 전통 도시 모습인 데 반해, 도시계획에 의해 조성된 뉴델리는 격자형 패턴의 초근대도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델리와 뉴델리 사이에 두꺼운 녹지대(방역선 역할)를 조성하여 더 명확하게 공간을 분리하였다. 종족이나 사회·경제적 계층 차이에 따라 공간을 격리할 때 경계선에 ‘방역선(cordon sanitaire)’을 두어 공용공간이나 개방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은 식민 도시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두 도시 모두 영국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공간의 분리가 일어났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탁월한 입지조건으로 개항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며 역사적 발전 과정에 따라 자율적으로 공간이 분리, 구축된 상하이와 영국 스스로 지배력을 더 강화할 목적으로 계획도시 형태의 뉴델리를 형성한 델리는 그 공간 분리 방식이 미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3. 결론
이상으로 상하이와 뉴델리의 사례를 들어 식민 지배라는 역사적 흐름 사이에 나타난 도시 공간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도시 모두 외국인 정착민의 거주 공간을 현지인과 분리하였다는 점에서 공간 구조의 공통점이 있었으나 지배국가의 개입 정도에 따라 구도심과 신도심의 2핵 구조가 약간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김기성, ‘지구촌 도시화 가속…30년 후엔 10명 중 3명만 시골사람(종합)’, 연합뉴스, 2018.05.17.
2) 김정은, ‘19세기 개항, 20세기 개방 이끈 166년 중국의 門’, 중앙일보, 2009.09.07.
3) 신경진, ‘[뉴스 클립] 중국 도시 이야기 <1> 상하이’, 중앙일보, 2010.11.03.
4) [중국문화산책] 학습자료, ‘제03강. 남방의 도시문화: 상하이’
5) 신민하, 「1911년 영령(英領) 인도의 수도이전에 관한 연구- 델리 수도이전 결정의 역사적 배경과 식민정부의 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남아시아연구』, 제22권 2호, 2016.
6) 신민하, 「1910년대 초반 영령 인도의 신수도 뉴델리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나타나는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고찰」, 『인도연구』, 제24권 1호, 2019.
7) 현재열, 김나영, 「비교적 전망에서 본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와 공간적 특징」, 『석당논총』, 제50호, 2011.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