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2001제작. 론하워드 감독, 러셀 크로우 주연 동영상에서 보여지는 대상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정신 상태 평가 영역(교재 99-102. 표 A, B, C, D, E, F)을 이용하여 관찰되어진 내용을 영역별로 서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전반적인 서술
(2) 기분/정서
(3) 사고장애
(4) 지각의 장애
(5) 행동의 장애
(6) 감각기능과 인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전반적인 서술
(2) 기분/정서
(3) 사고장애
(4) 지각의 장애
(5) 행동의 장애
(6) 감각기능과 인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는 ‘심리’ 혹은 ‘정신’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중점적으로 관찰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의 심리와 생각이 행동에 묻어나온다는 것을 새삼 많이 깨닫게 되면서, 한때 혹은 지금까지도 심리학에서 행동주의가 그토록 각광받았던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증상만을 가지고 인간의 마음에 대해서 완벽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역시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존 내쉬는 조현병의 여러 가지 증상으로 인해 얼핏 보면 아내를 사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만 봐서는 부부간의 관계도 없어지고 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에 대해서도 무감각해하며 심지어는 아내를 죽이려고까지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아내를 사랑했기 때문에 구원받았고 영화의 막바지인 노벨상을 받는 장면에서 “당신은 내가 존재하는 이유이며 내 모든 존재의 이유이다.” 라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또 주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상상 속 인물인 찰스의 존재 자체가 타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어 하는 그의 무의식적인 욕망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을 평가할 때는 항상 행동 이면에 깊이 잠들어있는 마음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영화에서 나타난 존 내쉬의 행동에 대해 정신 상태 평가를 해보면서 정신 상태 평가는 일반적으로 초기에 진행되어 보다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영화에서는 그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전부 보여주며 이미 조현병이라는 진단을 내리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그의 모습을 조망하기 보다는 조현병이라는 병명에 맞춰 평가를 내리게 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영화에서는 처음부터 내쉬의 상상 속 인물인 찰스가 등장하면서 이미 조현병이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발병하기 전 그의 모습에 대해서도 영화에서 묘사되었다면 발병 전후의 모습을 비교해보면서 그 특징을 더 명확히 알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뷰티풀 마인드’를 보면서 조현병을 제때 알아채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그만큼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어떤 병이든지 간에 문제를 인식하고 빠르게 개입하는 것이 회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신적인 질환은 이를 빨리 알아채기 어려워 개입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를 알아채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변에서의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평소 환자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옆에 있다면 정신 상태 평가에서 알아본 것처럼 여러 가지 영역에서 달라지고 있는 모습에 대해서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더라도 변화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주인공 존 내쉬 역시 그를 옆에서 지켜봐준 아내가 있었기에 처음에는 받아들이지 못하고 거부하기만 하였으나 나중에는 병식이 생기고 스스로 이겨나가고자 노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만일 아내가 없었더라면 그의 끝은 과연 어떠했을까? 만일 그가 혼자였다면 스스로가 만들어둔 정신적인 감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영원히 헤맬 수밖에 없었을 뿐 아니라 노벨상 수상도 당연히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주변에 이런 사랑을 베풀어주는 사람이 없다면 어떡해야 하는 것일까? 꼭 이렇게 가까운 사람이 아니더라도, 내 주변의 이웃들에 대한 혹은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는 수많은 정신질환자들에 대해 이해해주고 사회에서 소외당하지 않고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도록 따뜻한 마음과 그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2001제작. 론하워드 감독, 러셀 크로우 주연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증상만을 가지고 인간의 마음에 대해서 완벽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역시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존 내쉬는 조현병의 여러 가지 증상으로 인해 얼핏 보면 아내를 사랑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만 봐서는 부부간의 관계도 없어지고 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에 대해서도 무감각해하며 심지어는 아내를 죽이려고까지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아내를 사랑했기 때문에 구원받았고 영화의 막바지인 노벨상을 받는 장면에서 “당신은 내가 존재하는 이유이며 내 모든 존재의 이유이다.” 라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또 주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상상 속 인물인 찰스의 존재 자체가 타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어 하는 그의 무의식적인 욕망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을 평가할 때는 항상 행동 이면에 깊이 잠들어있는 마음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영화에서 나타난 존 내쉬의 행동에 대해 정신 상태 평가를 해보면서 정신 상태 평가는 일반적으로 초기에 진행되어 보다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영화에서는 그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전부 보여주며 이미 조현병이라는 진단을 내리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그의 모습을 조망하기 보다는 조현병이라는 병명에 맞춰 평가를 내리게 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영화에서는 처음부터 내쉬의 상상 속 인물인 찰스가 등장하면서 이미 조현병이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발병하기 전 그의 모습에 대해서도 영화에서 묘사되었다면 발병 전후의 모습을 비교해보면서 그 특징을 더 명확히 알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뷰티풀 마인드’를 보면서 조현병을 제때 알아채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그만큼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어떤 병이든지 간에 문제를 인식하고 빠르게 개입하는 것이 회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신적인 질환은 이를 빨리 알아채기 어려워 개입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를 알아채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변에서의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평소 환자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옆에 있다면 정신 상태 평가에서 알아본 것처럼 여러 가지 영역에서 달라지고 있는 모습에 대해서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더라도 변화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주인공 존 내쉬 역시 그를 옆에서 지켜봐준 아내가 있었기에 처음에는 받아들이지 못하고 거부하기만 하였으나 나중에는 병식이 생기고 스스로 이겨나가고자 노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만일 아내가 없었더라면 그의 끝은 과연 어떠했을까? 만일 그가 혼자였다면 스스로가 만들어둔 정신적인 감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영원히 헤맬 수밖에 없었을 뿐 아니라 노벨상 수상도 당연히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주변에 이런 사랑을 베풀어주는 사람이 없다면 어떡해야 하는 것일까? 꼭 이렇게 가까운 사람이 아니더라도, 내 주변의 이웃들에 대한 혹은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는 수많은 정신질환자들에 대해 이해해주고 사회에서 소외당하지 않고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도록 따뜻한 마음과 그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2001제작. 론하워드 감독, 러셀 크로우 주연
추천자료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영화감상평 –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정신간호학]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분석
정신건강과 관련된 영화 및 도서 감상 -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2001)
영화 ‘뷰티풀마인드(A Beautiful Mind)’ 정신간호학점에서 고찰
영화 ‘뷰티풀마인드(A Beautiful Mind)’를 보고 인물의 정신병리분석 (영화줄거리, 정신분열...
정신간호학 A Beautiful Mind 뷰티풀마인드, 조현병(정신분열병) 영화 분석 과제
영화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소감 및 사례공부 [정신 건강 간호학] {뷰티풀 ...
[간호학] 정신간호의 개념 모형
영화 뷰티풀마인드 간호과정과 나의 느낀점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