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디자인 ) (1) 하이패션 디자이너 컬렉션에서 해당 범주의 미가 느껴지는 디자인(사진)을 1개 선정하고, (2) 사진에서 어떻게 해당 범주의 미가 느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패션디자인 ) (1) 하이패션 디자이너 컬렉션에서 해당 범주의 미가 느껴지는 디자인(사진)을 1개 선정하고, (2) 사진에서 어떻게 해당 범주의 미가 느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색조가 거대하고 무거운 느낌 더해주고 있다. 또한 러플의 확장에 긴 치마 길이와 풍성한 치마 양식이 더해져 인간의 능력을 벗어난 초월성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고양한다. 컬렉션 의상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힘을 초월하는 위대함과 엄숙함, 장중함을 느낄 수 있다.
4) 비장미(The Tragic), Max Mara, Ready To Wear, 2020, FW
비장미란 ‘쾌와 불쾌라는 상반되는 감정이 고뇌로 인해 가치 상승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국어사전에서 ‘비장하다’는 ‘슬프면서도 그 감정을 억눌러 씩씩하고 장하다.’라고 나타난다. 네이버 국어사전 “비장하다”
복식에서의 비장미를 주로 옷의 색채로 많이 나타난다. 대표적으로는 장례식의 검은색 옷과 성직자들의 수도복이다. 이재희(2014), 위의 논문, 20쪽 참고
Max mara FW 컬렉션 의상은 수도복에서 영감을 받은 것처럼 보인다. 수도복과 같은 의상을 통해서 인간의 고뇌를 초월하고 신에게 가까이 가자고 하는 경외심과 비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검은색이란 의상을 통해서 밤의 어두움과 암흑, 두려움, 공포, 죽음과 같은 이미지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단순하고 간소한 디자인과 손등을 덮은 소매의 길이, 카키색의 이너 또한 성직자 수도복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비장미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무표정하고 검은 아이라인의 화창, 검은색의 스타킹과 구두까지 더해져 비장미를 표현하고 있다.
5) 골계(Comic), Comme-Des_Garons, Ready To Wear, 2020, FW

골계’란 국어사전에서는 ‘예술작품 따위의 익살스러움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을 뜻한다. 네이버 국어사전 “골계”
골계는 마음의 경쾌하게 하며 중압감으로부터의 해방, 정신의 자유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Comme-Des_Garons의 SS 컬렉션 의상은 곡선과 강렬한 색으로 이루어진 마치 한 병의 향수병을 의상으로 만들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 머리 위의 꽃장식은 향수병의 뚜껑이며, 녹색의 상의는 굴곡진 향수병의 윗부분, 붉은색 치마는 또 한 번의 굴곡이 들어간 향수병의 아랫부분과 닮아 보인다. 향수병을 닮은 옷 전체 디자인은 천진난만함과 장난스러움을 찾아볼 수 있다.
빨간색과 초록색이라는 강렬하고도 대비되는 색채를 의상에 사용해 유치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향수병을 닮은 머리 장식과 옷 전체 디자인은 ‘옷은 옷다워야 한다.’라는 기존의 권위와 질서에 대한 반항으로도 볼 수 있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하이패션 디자이너 컬렉션의 의상을 통해서 미적 범주의 다섯 가지 영역인 합의의 미, 우아미, 비장미, 숭고미, 골계미까지 살펴보았다.
합의의 미를 통해 완벽한 균형과 비례가 이루어져 어느 시대 여성에게나 잘 어울리고 신체적 결함을 잘 감추어 줄 수 있다. 샤넬 카디건 슈트의 디자인은 단순하고, 절제된 미가 있고, 라이트톤의 부드럽고 깨끗한 색채를 사용해 단순함과 순수함 그 자체를 표현했다.
우아미는 섬세함과 연약함을 나타내며, 파스텔 톤의 색채와 꽃무늬와 같은 패턴이 특징적이었다. 컬렉션 의상은 아이보리와 라즈베리의 색채, 꽃무늬, 아기자기한 러플과 같은 장식이 더해져 섬세함과 성숙한 이미지를 더해주어 여성성이 돋보였다.
숭고미는 수직과 면적을 강조하며 복식을 이용해 인간의 몸을 확장하고 과장하여 그에 대한 효과로 인간의 위엄과 지위를 과시하고자 한다. 컬렉션 의상은 과장된 러플과 점퍼의 결합으로 해체의 특성과 인간의 힘을 초월하는 위대함과 엄숙함, 장중함을 느낄 수 있다.
수도복과 같은 의상을 통해서 인간의 고뇌를 초월하고 신에게 가까이 가자고 하는 경외심과 비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검은색이란 의상을 통해서 밤의 어두움과 암흑, 두려움, 공포, 죽음과 같은 이미지를 불러일으켰다.
골계미는 장난스러움, 어린아이와 같은 천진난만함, 기존의 질서나 권위에 대한 반감이 웃음으로 나타나는 해학성과 같은 감정을 말한다. 향수병을 의인화한 것 같은 콜렉션 의상은 장난스러움과 천진난만함을 볼 수 있었으며, 빨간색과 초록색이라는 강렬하고도 대비되는 색채를 통해 유치함 또한 찾아볼 수 있었다.
컬렉션 의상을 직접 골라보고 의상이 나타나는 미적 범주를 직접 표현해봄으로써 각각의 미적 범주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더욱더 쉽게 이해하며 현실에 적용해 볼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이예영(2017), 『패션디자인활용』, KNOU Press
이재희. \"네일아트에 표현된 미적 범주\" VOL.- NO.- (2014), 충남대학교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