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공기업 경영의 기본과제
(2) 공공성과 기업성의 조화방안
① 일정시간 시설 개방 및 단기간 일자리 제공
② 직군에 따른 임금 차등 지급
③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사업공모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공기업 경영의 기본과제
(2) 공공성과 기업성의 조화방안
① 일정시간 시설 개방 및 단기간 일자리 제공
② 직군에 따른 임금 차등 지급
③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사업공모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수직군의 임금을 높이고, 사무직군의 임금은 낮추는 것은 좋은 방향으로 국민들에게 어필할 수 있다고 본다. 많은 사람이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사무직군의 연봉에 대해서 의아함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직군에 따라 임금을 차별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과열된 공공기관 사무직군의 경쟁률을 낮추는 효과와 더불어, 인적 자원이 대부분인 대한민국에서 기술을 요하는 직군의 인재들을 더 많이 끌어 모을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 본다.
③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사업공모
일자리 사업과 관련되어서는 노동부나 지자체에서 주최, 주관하는 사업들이 활성화되어 있다. 어떠한 사업에 대한 예산안을 편성하여, 사기업과 정부 부처, 지자체가 함께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다. 이처럼 공기업 또한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여러 사업을 주최 및 주관하여, 국민들의 참여와 중소기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본다. 사실 쉬운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왜냐하면 매년, 국회에서 정해진 예산안으로 운영되는 공기업에서 따로 사기업과 사업을 같이 진행하려면 많은 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이러한 활동은 점차 늘려나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사기업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약한 중소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사업 등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업공모의 장점으로는 공기업의 실적 증대와 더불어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이익 창출의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공기업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사업을 추진했다는 평가 및 혁신적인 추진력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들을 수 있을 것이고, 중소기업에서는 민간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 외의 공모전을 통한 사업에서도 어느 정도 수익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공모전 사업의 참여는 중소기업의 레퍼런스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수가 있다. 민간사업 외 정부 사업 참여는 대외적인 이미지와 함께 그 기업의 신뢰도 향상에도 보탬이 될 것이다.
3. 결론
공공기관의 경우 매년 국회의 의회를 거쳐서 예산안이 확정된다. 이러한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므로 무엇보다 경영에 있어 투명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투명성과 관련되어 예산은 개인적인 사익이나 불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처음 편성된 항목에 사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많은 젊은이가 꿈꾸는 공기업 입사와 관련되어 임직원들의 친인척 등이 특혜를 받으면서 입사하는 채용 비리가 근절되어야 할 것이다.
공기업의 공익성과 이윤 창출과 관련된 사항에서는 국민들의 참여와 사기업과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세부사항으로 일정 시간 시설 개방 및 단기간 일자리 제공, 직군에 따른 임금 차등 지급,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사업공모 등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행정학용어 표준화연구회, 유종해, 하동석,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9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키워드: 공기업 / 제공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두피디아(키워드: 공기업)
③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사업공모
일자리 사업과 관련되어서는 노동부나 지자체에서 주최, 주관하는 사업들이 활성화되어 있다. 어떠한 사업에 대한 예산안을 편성하여, 사기업과 정부 부처, 지자체가 함께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다. 이처럼 공기업 또한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여러 사업을 주최 및 주관하여, 국민들의 참여와 중소기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본다. 사실 쉬운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왜냐하면 매년, 국회에서 정해진 예산안으로 운영되는 공기업에서 따로 사기업과 사업을 같이 진행하려면 많은 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이러한 활동은 점차 늘려나가야 한다는 생각이다. 사기업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약한 중소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사업 등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업공모의 장점으로는 공기업의 실적 증대와 더불어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이익 창출의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공기업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사업을 추진했다는 평가 및 혁신적인 추진력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들을 수 있을 것이고, 중소기업에서는 민간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익 외의 공모전을 통한 사업에서도 어느 정도 수익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공모전 사업의 참여는 중소기업의 레퍼런스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수가 있다. 민간사업 외 정부 사업 참여는 대외적인 이미지와 함께 그 기업의 신뢰도 향상에도 보탬이 될 것이다.
3. 결론
공공기관의 경우 매년 국회의 의회를 거쳐서 예산안이 확정된다. 이러한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므로 무엇보다 경영에 있어 투명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투명성과 관련되어 예산은 개인적인 사익이나 불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처음 편성된 항목에 사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많은 젊은이가 꿈꾸는 공기업 입사와 관련되어 임직원들의 친인척 등이 특혜를 받으면서 입사하는 채용 비리가 근절되어야 할 것이다.
공기업의 공익성과 이윤 창출과 관련된 사항에서는 국민들의 참여와 사기업과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세부사항으로 일정 시간 시설 개방 및 단기간 일자리 제공, 직군에 따른 임금 차등 지급, 사기업과 할 수 있는 사업공모 등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행정학용어 표준화연구회, 유종해, 하동석,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새정보미디어, 2019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키워드: 공기업 / 제공처: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두피디아(키워드: 공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