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스포츠/건강
(2) 취미/교양
(3) 감상/관람
(4) 관광
(5) 오락/사교
(6) 새로운 경향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스포츠/건강
(2) 취미/교양
(3) 감상/관람
(4) 관광
(5) 오락/사교
(6) 새로운 경향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을 즐기라고 보장해준 자유시간이 의미 없이 소모되어 버리거나 도리어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힘든 시간이 되어 버릴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결과는 처음 주 5일제를 도입한 취지와는 맞지 않는 결과일 것이다. 따라서 어떤 정책을 수립할 때는 그 정책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는 대상에게 실제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고, 창의력을 좀 더 발휘하여 이 정책이 어떤 결과를 가지고 올 것인지를 다양하게 예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직장인들의 근무 시간만 줄이면 여행을 다니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가 부모는 쉴지언정 자녀는 등교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지 못한 결과를 낳은 것을 생각해보자. 그제야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은 시간적·경제적 낭비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상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 것인가? 우선적으로 물리적인 근무 시간을 줄이는 것은 당연히 필요하지만 여기에 대해서 어느 정도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추가 근무를 통해 경제적 이득이 필요한 사람인데 무조건 근무 시간을 정하여 일을 못 하게 한다거나, 반대로 경제적 이득이 굳이 더 필요한 것이 아닌데 혹은 추가 수당을 주지도 않으면서 무조건 추가 근무를 시킨다거나 하는 등의 문제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일의 가치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일이라는 것은 경제적 이득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성격으로 인해 분명히 심신을 소모시키는 일이지만, 여가활동만이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것은 아니다. 일은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시간과 육체적, 정신적 에너지를 소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다. 인간은 일을 통해 자기 자신과 가족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금전적인 이득을 얻게 되고 자기실현의 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일은 여가의 즐거움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며 여가생활만 강조한다고 해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삶의 연속선상에서 일과 여가는 함께 붙어 있는 것으로, 일이 인간의 물질적 생활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필연적인 영역이라면 여가는 노동으로 인한 피로를 해소하고 정신적인 안녕을 제공하여 인간다운 삶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자유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무 시간을 축소함과 더불어 일과 여가의 가치에 대해 깨닫고 조화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주완,「근무시간 줄어도...늘지 않는 소비·여가시간」,『한국경제』, 2015.10.14.
김찬호,「주5일제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동아일보』, 2008.02.04.
김호일,「TV시청 ‘뚝’↓ 관람활동 ‘쑥’↑」,『부산일보』, 2009.04.06.
류난영,「여가업종 42% 급성장..주5일제 효과」,『뉴시스』, 2010.12.27.
박성연,「주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 활동과 여가 만족」,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7.
박정규,「가족들 보다 ‘나홀로’↑...문화여가행복지수 67.3점」,『상상코칭』, 2017.01.12.
신의수,「일과 여가의 조화」,『아웃소싱타임스』, 2020. 01. 21.
윤빛나,「주5일제 대비한 ‘토요 스포츠데이’는?」,『독서신문』, 2011.06.28.
이대희,「주5일제 수업 전면실시로 ‘여가문화’ 확 바뀐다」,『노컷뉴스』, 2012.03.03.
조종엽,「‘저녁만 있는 삶?..주머니 가벼워진 직장인들의 여가 활용법」,『동아일보』, 2018.06.17.
최윤형,「주 5일 근무제가 직장인의 여가활동유형에 미치는 유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주완,「근무시간 줄어도...늘지 않는 소비·여가시간」,『한국경제』, 2015.10.14.
김찬호,「주5일제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동아일보』, 2008.02.04.
김호일,「TV시청 ‘뚝’↓ 관람활동 ‘쑥’↑」,『부산일보』, 2009.04.06.
류난영,「여가업종 42% 급성장..주5일제 효과」,『뉴시스』, 2010.12.27.
박성연,「주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 활동과 여가 만족」,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7.
박정규,「가족들 보다 ‘나홀로’↑...문화여가행복지수 67.3점」,『상상코칭』, 2017.01.12.
신의수,「일과 여가의 조화」,『아웃소싱타임스』, 2020. 01. 21.
윤빛나,「주5일제 대비한 ‘토요 스포츠데이’는?」,『독서신문』, 2011.06.28.
이대희,「주5일제 수업 전면실시로 ‘여가문화’ 확 바뀐다」,『노컷뉴스』, 2012.03.03.
조종엽,「‘저녁만 있는 삶?..주머니 가벼워진 직장인들의 여가 활용법」,『동아일보』, 2018.06.17.
최윤형,「주 5일 근무제가 직장인의 여가활동유형에 미치는 유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