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두레 생협에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요소
2.1.1 두레 생협 벤치마킹 이유
2.1.2 벤치마킹 대상 분석
2.1.3 두레 생협에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요소 및 추가적으로 생각해야 할 사항
2.2 제품 등가 교환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2.3 새로운 방법 실현에 필요한 정보시스템 개요도와 주요 기능
2.4 정보시스템의 가치 및 투자 수익률(ROI)
3. 결론
2. 본론
2.1 두레 생협에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요소
2.1.1 두레 생협 벤치마킹 이유
2.1.2 벤치마킹 대상 분석
2.1.3 두레 생협에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요소 및 추가적으로 생각해야 할 사항
2.2 제품 등가 교환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2.3 새로운 방법 실현에 필요한 정보시스템 개요도와 주요 기능
2.4 정보시스템의 가치 및 투자 수익률(ROI)
3. 결론
본문내용
.
3. 결론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여러 공업을 중심으로 한 제품, 또는 기업은 이 사회를 따라가며 살아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 발달 사회와 비교적 떨어져 있는 농산업은 도태되었고, 그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보화 사회에 맞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유통협동조합의 대표로 부를 수 있는 “한살림”은 조합원과 소비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속적으로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한 살림은 단순히 조합원과 소비자만의 신뢰만으로는 유지하는 것에 한계가 생겼다. 따라서 한 살림의 발전을 위해서는 협동조합 관계자들 간의 협력과 신뢰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두레 생협을 벤치마킹하여 국가, 다른 협동조합과 협력을 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해당 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면 한 살림은 다음과 같은 이익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국내에서는 잉여 생산품인 특정 농산품에 대하여 보유량이 부족한 국가에 수출하고,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수입함으로써 서로 상생할 수 있다. 두 번째, 한 살림에서 마련하기 어려운 농산품에 대하여 다른 농산품에게 빌려오고 추후에 해당 협동조합이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도와주는 방식을 통해 서로 경쟁이 아닌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고 윈윈하는 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공정무역 진행함으로써 단순히 농산품만을 판매하기보다는 다른 특이 제품들을 판매함으로써 농산품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소비자들도 한 살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농업 조합원에게만 이익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이익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붙임] 한 살림의 수정 비즈니스 모델(국가 교류 시스템)
KP 핵심 파트너십
KA 핵심 활동
VP 가치 제안
CR 고객 관계
CS 고객 세그먼트
농촌 지역 생산자
직거래 물류업체
공정무역 회사
개발도상국 지역 생산자
경제 관련 전문가
개발도상국 지원
공정무역 발전
영농조합 홍보
영농조합 지원
공정무역 거래 제품 구매 독려 캠페인
개발도상국 농민 지원
농촌 회원들 지원 및 도시회원들의 구매 독려
조합원 가입
국제 조합원 교류
먹거리 교육 및 정보
우수한 물품 거래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물품 마련
조합원(소비자)
조합원(농촌회원)
해외 조합원(회원)
개발도상국 농민
KR 핵심 자원
CH 체널
친환경 농업 전문가
물품 거래 IT 인프라
온, 오프라인 매장
친환경 생산 물품
국내 보유량이 적은 특정 제품(커피 원두, 올리브 증)
각 지역의 오프라인 한살림 매장
온라인 한살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C$ 비용 구조
R$ 수익원
오프라인 매장 임대료
온라인 마켓 시스템 구축 비용
인건비 및 운영비
공정무역 거래 관련 관세, 부가세
인쇄비 및 출판 간행 비용
생산 안정기금
7. 조합원 유지비
조합비
물폼 거래비용 및 중개수수료
서적 인쇄비용
(농촌회원) 물품 대금
사회적 활동으로 인한 국책 지원금
공정무역 제품 판매비
7. 사회활동 비용
3. 결론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여러 공업을 중심으로 한 제품, 또는 기업은 이 사회를 따라가며 살아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 발달 사회와 비교적 떨어져 있는 농산업은 도태되었고, 그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보화 사회에 맞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유통협동조합의 대표로 부를 수 있는 “한살림”은 조합원과 소비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속적으로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한 살림은 단순히 조합원과 소비자만의 신뢰만으로는 유지하는 것에 한계가 생겼다. 따라서 한 살림의 발전을 위해서는 협동조합 관계자들 간의 협력과 신뢰가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두레 생협을 벤치마킹하여 국가, 다른 협동조합과 협력을 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해당 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면 한 살림은 다음과 같은 이익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국내에서는 잉여 생산품인 특정 농산품에 대하여 보유량이 부족한 국가에 수출하고,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수입함으로써 서로 상생할 수 있다. 두 번째, 한 살림에서 마련하기 어려운 농산품에 대하여 다른 농산품에게 빌려오고 추후에 해당 협동조합이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도와주는 방식을 통해 서로 경쟁이 아닌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고 윈윈하는 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공정무역 진행함으로써 단순히 농산품만을 판매하기보다는 다른 특이 제품들을 판매함으로써 농산품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소비자들도 한 살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농업 조합원에게만 이익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이익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붙임] 한 살림의 수정 비즈니스 모델(국가 교류 시스템)
KP 핵심 파트너십
KA 핵심 활동
VP 가치 제안
CR 고객 관계
CS 고객 세그먼트
농촌 지역 생산자
직거래 물류업체
공정무역 회사
개발도상국 지역 생산자
경제 관련 전문가
개발도상국 지원
공정무역 발전
영농조합 홍보
영농조합 지원
공정무역 거래 제품 구매 독려 캠페인
개발도상국 농민 지원
농촌 회원들 지원 및 도시회원들의 구매 독려
조합원 가입
국제 조합원 교류
먹거리 교육 및 정보
우수한 물품 거래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물품 마련
조합원(소비자)
조합원(농촌회원)
해외 조합원(회원)
개발도상국 농민
KR 핵심 자원
CH 체널
친환경 농업 전문가
물품 거래 IT 인프라
온, 오프라인 매장
친환경 생산 물품
국내 보유량이 적은 특정 제품(커피 원두, 올리브 증)
각 지역의 오프라인 한살림 매장
온라인 한살림 홈페이지, 어플리케이션
C$ 비용 구조
R$ 수익원
오프라인 매장 임대료
온라인 마켓 시스템 구축 비용
인건비 및 운영비
공정무역 거래 관련 관세, 부가세
인쇄비 및 출판 간행 비용
생산 안정기금
7. 조합원 유지비
조합비
물폼 거래비용 및 중개수수료
서적 인쇄비용
(농촌회원) 물품 대금
사회적 활동으로 인한 국책 지원금
공정무역 제품 판매비
7. 사회활동 비용
추천자료
부산항만물류
[중소기업지원]중소기업의 역할, 중소기업구조개선자금지원제도, 중소기업인력지원제도, 중소...
[중소기업지원제도][중소기업]중소기업의 개념과 중소기업 구조개선지원제도, 중소기업 정책...
오세아니아의 경제현황과 우리나라와의 교역현황
사업타당성분석샘플 - 다용도 축열기(온풍기)사업
사업타당성분석(기업정보분석)
[중소기업 계획][중소기업][창업사업계획][기금운용계획][경영안정자금지원계획]중소기업 창...
[농업경영학 4E형] (1) 이때 가치사슬의 개념이란 무엇인가 (2) 농식품산업의 가치사슬 개념...
귀농&8228;귀촌의 유형 지원제도 및 정책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