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상론 ) 영상을 본다는 것의 의미 세 가지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진영상론 ) 영상을 본다는 것의 의미 세 가지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진영상론
1. “영상을 본다는 것”의 의미 세 가지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2. 연상관계와 통합관계, 그리고 영상의 은유와 환유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Ⅰ.문제1의 답
1.개괄
2.사례
(1)영상을 통해 보는 세계
(2)영상 위의 세계
(3)영상으로서의 세계
Ⅱ.문제2의 답
1.영상의 의미 생산
(1)연상 관계
(2)통합 관계
2.영상의 환유와 은유
(1)영상의 환유
(2)영상의 은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그 요소들만을 선택하여 그것을 소설 속에 사용함으로서 전체 현실에 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부분의 전달을 통하여 관객 혹은 시청자가 전체를 유추하도록 하는 방식을 바로 환유라고 할 수 있다. 환유는 뉴스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기법인데, 수사법을 통해 뉴스 진행을 원활하게 해주며 시청자들이 맥락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책임 소재가 모호해진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장일 외,「영상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15,p78
일부를 통하여 전체를 보여줄 수 있다는 환유의 예시를 보여줄 수 있는 영상은 <레미제라블(2012)>이다. 이 영화는 빅토르 위고의 <장발장>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빵 한조각을 훔쳤다는 죄로 19년의 감옥살이를 하는 “장발장”의 인생을 통해 19세기 프랑스 혁명의 이면을 보여주고 있다. 프랑스 혁명은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하여 대부분의 민중들은 가난함에 시달려야 했으며, 혼란한 사회가 지속되었다. 영화에서는 프랑스 혁명 시대의 프랑스의 가난함이나 비참함 등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인물들인 “장발장”, “판틴” 등의 인물들이 사건을 겪는 것을 통하여 관객들이 당시의 시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레미제라블(2012)>은 탈옥한 “장발장”이 신부님에게 구원을 받고 “판틴”이 맡긴 “코제트”를 만나려던 중 경감 “자베르”를 만나 우여곡절을 겪는 등의 일련의 사건 구성을 통해 프랑스 혁명 시기의 극히 일부인 특정한 인간상만을 보여준다. 하지만 관객은 단편적인 인물상을 본 것인데도 이를 통해 당시 혼란스러웠던 사회상황을 유추한다. 이것이 바로 환유법이라고 할 수 있다.
(2)영상의 은유
은유법은 잘 알려지지 않은 대상을 잘 알고 있는 다른 대상을 통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은유적 표현은 영상 속에서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새롭게 덧붙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광고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이기도 하다. 광고에서의 은유법은 영상에서 직접 제품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모델 및 소품 등을 활용하여서 제품이 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기법은 은유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계열체에서 두 개의 기호를 병치하거나 상호 삽입하여 사용된다. 장일 외,「영상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15,p80
영상에서의 은유는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암시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영화 <기생충(2019)>에서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은유적 기법을 잘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예시를 들 수 있다. <기생충(2019)>는 아무리 노력해도 바뀔 수 없는 계층, 혹은 신분이라는 사회상을 전달하고자 한 영화라고 볼 수 있는데, 영화 전반에서 “냄새”는 인물들의 계층을 보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박사장”은 영화 내내 “기택”의 가족에게서 특정한 냄새를 맡는데, 이는 “박사장”의 가족과 “기택”의 가족이 근본적으로 다른 계층에 속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영상의 특성상 냄새를 맡지 못하지만 영화 전반에서 “박사장”은 “기택”이 지나갈 때마다 얼굴을 찌푸리거나 코를 킁킁대는 등 관객들이 실제로 “기택”의 가족에게서 냄새가 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보여준다. 그리고 영화의 절정에서 냄새는 “기택”이 순간적으로 “박사장”을 죽이는 계기가 되는 것처럼 영화 전반을 이끌어나가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즉, 영화 <기생충(2019)>에서는 전달하고자 하는 계층의 차이를 “냄새”를 통해 보여준 것이다.
[참고문헌]
장일. 영상학. 서울: KNOU 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 가격4,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7.29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