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 ) 어떤 소규모 제조업체의 사장이 접시를 닦고 부엌용 싱크대를 청소하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를 획득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산관리 ) 어떤 소규모 제조업체의 사장이 접시를 닦고 부엌용 싱크대를 청소하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를 획득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산관리
어떤 소규모 제조업체의 사장이 접시를 닦고 부엌용 싱크대를 청소하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를 획득했다. 상용화에 앞서 사장은 성공 가능성이 어느 정도 높았으면 한다. 이 장치의 변동비는 단위당 7달러로 예상되며, 고정비는 연간 56,000달러로 추정된다.
1) 판매가격을 25달러로 한다면 손익분기점에 다다르기 위해 얼마나 많이 판매해야 하는가?
2) 가격을 15달러로 정하면 첫 해에 10,000대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가격을 택하면 첫 해에 이 제품의 이익은 얼마나 될까?!

본문내용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그리고 매출총이익이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는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금액을 의미한다. 제품 생산이나 상품 매입 등과 관련한 비용을 뺀 최초의 이익으로 영업이익과는 약간 다른 개념이다. 매출총이익의 경우 매출원가가 줄어들면 증가하게 된다. 즉 매출총이익의 크기는 매출액과 매출원가에 따라 달라진다. 매출액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판매량이 늘거나 판매단가를 올려야하며 매출원가를 낮추려면 원재료를 최대한 저렴하게 투입하거나 생산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개념들과 공식을 활용하여 위의 두 문제를 풀이할 수 있다.
1) 판매가격을 25달러로 한다면 손익분기점에 다다르기 위해 얼마나 많이 판매해야 하는가?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단가 단위당 변동비
= 25달러 7달러 = 18달러
∴ 손익분기점 매출수량 = 총 고정비/단위당 공헌이익
= 56,000달러/18달러 = 3,111개
2) 가격을 15달러로 정하면 첫 해에 10,000대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가격을 택하면 첫 해에 이 제품의 이익은 얼마나 될까?!
판매량*(단위당 판매단가 단위당 변동비) - 총 고정비
=10,000*(15달러 7달러) - 56,000 = 24,000달러
따라서 판매가격을 25달러로 설정했을 때,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위해서는 3112개 이상을 판매해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격을 15달러 책정했을 때 예상되는 판매량이 10,000대이므로 단위당 변동비와 고정비를 고려하여 그 경우에는 24,000달러라는 이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7.29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