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저하게 되거나 틀린다면 교사는 학습자로부터 신뢰를 잃게 된다. 학습자가 무언가를 물어봤을 때, 이는 학습자가 알지 못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교사에게 질문을 할 것이다. 이때, 교사가 제대로 대답을 하지 못한다면 학습자는 그 교사에게 더 이상 지식을 배우고자 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을 선생님도 모르네?’라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교사의 지식이 선행되지 못하면 교사로서 신뢰를 잃는 것은 당연하다. 학창시절을 돌이켜 생각해보았을 때, 어떤 선생님이 잘 가르쳤을까. 알고 있는 지식이 많아서 무엇을 물어보아도 다 대답해줄 수 있는 교사일까. 학습자를 이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 교사일까. 아니면 교사가 알고 있는 지식을 학습자의 입장에서 쉽게 풀어서 설명해줄 수 있는 교사일까. 아마 마지막의 경우처럼 학습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서 설명할 수 있는 교사가 정답이지 않을까 싶다. 단순히 ‘아 언제 봤는데?’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완벽히 내 것이 되어야 한다. 교육이라는 건 무언가를 새롭게 배우는 것이 목표이다. 그렇다면 교사는 학습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가 학습자를 위해 단순히 책의 내용을 읽고 외우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에 대한 이해와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가능한 사람이어야 한다.
IV. 참고문헌
최열(2016).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의 교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교사 교육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IV. 참고문헌
최열(2016).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의 교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교사 교육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