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배경
2. 선행연구
Ⅱ. 본론
1. 유학생의 특징
2. 교육과정과 개발절차
3. 한국어 교육과정과 개발절차시 유의사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1. 배경
2. 선행연구
Ⅱ. 본론
1. 유학생의 특징
2. 교육과정과 개발절차
3. 한국어 교육과정과 개발절차시 유의사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한, 이러한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시 수준에 맞는 등급과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IB 교육과정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IB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수립된 IBDP 한국어 교육과정이 있다. 그러나 IBDP에도 내부적으로 크고작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IBDP의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약 150시간이 소요되며, 심화 교육과정은 240시간이 소요된다고 밝힌 바있다. 즉, IBDP는 각 과정에서 언어 도달 수준으로 등급을 나누는 것이 아닌 학습자가 해당 언어에대한 학습시간에 따라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ref 물론 심화 교육과정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도와 수준을 요구하긴 하지만 그것이 학습자의 수준을 나타낸다고 보기엔 어렵다는 것이다.
국제학교와 같은 외국인이 대다수인 학교의 경우 IB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하는데 IB교육과정 실태가 이러하여 교수요목을 설계할 시 교육수준 결정 및 수립, 교육자료 개발 및 활동에 대해 수립하기 어려운 구조라 할 수 있다. 즉, IB교육과정을 참고는 하지만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의 체계에 대한 이해 없이 맹목적으로 기존의 IB교육과정 체계만 인용한다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의 몇몇 국제학교, 대학교, 교육기관 등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예비교육을 할 수 있는 예비과정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예비과정에서는 한국어를 이해하고 배우기 위한 기초단계를 중심으로 교육한다.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약 1 ∼ 2년간 교육을 받는다. 예비과정을 패스하고 싶다면 레벨테스트를 통해 학부과정으로 바로 진입하여 한국의 음운론, 어휘론, 한국 현대문학 이해, 현대문화, 한자, 한문과 한국어 등의 고급 커리큘럼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
Ⅲ. 결론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모국어인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을 잘 모른체 사용한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도 고등언어로 뽑히는 한국어의 진입장벽은 유학생들에게 높기만 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시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진입단계에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 및 출처
김정숙(1992).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중섭(2011).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2단계”, 국립국어원.
고경숙, 이소현(2010).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초급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6:1, 1-2.
Richards, J. C.(2001).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Muhammet Emre Korkamaz(2018). “터키 대학교 한국어문학과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Ankara University.
고경숙, 이소현(2010).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초급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6:1, 13-14.
IBDP의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약 150시간이 소요되며, 심화 교육과정은 240시간이 소요된다고 밝힌 바있다. 즉, IBDP는 각 과정에서 언어 도달 수준으로 등급을 나누는 것이 아닌 학습자가 해당 언어에대한 학습시간에 따라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ref 물론 심화 교육과정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도와 수준을 요구하긴 하지만 그것이 학습자의 수준을 나타낸다고 보기엔 어렵다는 것이다.
국제학교와 같은 외국인이 대다수인 학교의 경우 IB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하는데 IB교육과정 실태가 이러하여 교수요목을 설계할 시 교육수준 결정 및 수립, 교육자료 개발 및 활동에 대해 수립하기 어려운 구조라 할 수 있다. 즉, IB교육과정을 참고는 하지만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의 체계에 대한 이해 없이 맹목적으로 기존의 IB교육과정 체계만 인용한다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의 몇몇 국제학교, 대학교, 교육기관 등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예비교육을 할 수 있는 예비과정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예비과정에서는 한국어를 이해하고 배우기 위한 기초단계를 중심으로 교육한다.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약 1 ∼ 2년간 교육을 받는다. 예비과정을 패스하고 싶다면 레벨테스트를 통해 학부과정으로 바로 진입하여 한국의 음운론, 어휘론, 한국 현대문학 이해, 현대문화, 한자, 한문과 한국어 등의 고급 커리큘럼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
Ⅲ. 결론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모국어인 한국어에 대한 어려움을 잘 모른체 사용한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도 고등언어로 뽑히는 한국어의 진입장벽은 유학생들에게 높기만 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시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진입단계에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 및 출처
김정숙(1992).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중섭(2011).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2단계”, 국립국어원.
고경숙, 이소현(2010).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초급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6:1, 1-2.
Richards, J. C.(2001).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Muhammet Emre Korkamaz(2018). “터키 대학교 한국어문학과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Ankara University.
고경숙, 이소현(2010).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초급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6:1, 13-14.
추천자료
[TBL]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개념과 성격, 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정의적인간중심교수학습과 과업중심교수학습, 초등학교 영어과(...
의사소통식 교수법 (CLT)
[한국어교육론 공통]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한국...
한국어교육개론 - 의사소통 중심 한국어 교수법의 주요 원리 및 특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
(한국어교육론 공통)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
[한국어교육론 공통]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
언어교수이론) 침묵식 교수법으로 한국어교육을 가르칠 때, 예상되는 효과와 어려움을 기술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