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울산광역시의 지역사회복지계획
2)지역사회 내 중요 문제점
3)해결방안 평가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2.본론
1)울산광역시의 지역사회복지계획
2)지역사회 내 중요 문제점
3)해결방안 평가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으며 기본방향이나 핵심과제, 세부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조정 및 확장함에 있어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각 중점사업에 대한 세부사업은 주민들의 복지 체감도를 고려하여,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오늘날 가장 중요한 이슈인 저출산 문제에 대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사회구조적 접근을 하고 있으며, 최근 울산의 아동학대 문제가 이슈가 되며 아동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 욕구를 반영하고자 했다. 또한 최근 울산시 산하 복지여성건강국은 노인장애인복지과를 분리하여 6개과로 조직개편이 되었다. 이에 따라 복지행정 수요에 대한 행정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어 시민들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 발짝 더 다가갈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실효성이 담보되어야 하며, 지자체장이나 지방의회와 함께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계획을 진행시켜 나가야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자체의 복지계획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고한 그대로 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계획을 받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협의체의 역량강화나 위상정립에 대해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며, 형식적 참여를 만드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민간 및 관공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지역복지에 대한 관심은 시민들의 복지욕구나 다양한 담론을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회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좋은 복지계획을 세우는 데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4.출처 및 참고문헌
인터넷
-정보>복지행정지원>지역사회보장계획>지역사회보장계획>3기계획목록|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802ls.jsp?PAR_MENU_ID=03&MENU_ID=0331010102
-제4기 계획(2019~2022), 본계획, 울산광역시 본청>지역사회보장계획현황(2018)>지역사회보장균형발전지원센터
http://www.kccwp.or.kr/kccwp/sub02_view.asp?sido=%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gugun=%EB%B3%B8%EC%B2%AD
논문
-전준구, 「지방자치와 지역복지계획: 정치인가, 논리인가·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http://kiss.kstudy.com.ca.skku.edu:8080/thesis/thesis-view.asp?key=3624592
4.출처 및 참고문헌
인터넷
-정보>복지행정지원>지역사회보장계획>지역사회보장계획>3기계획목록|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802ls.jsp?PAR_MENU_ID=03&MENU_ID=0331010102
-제4기 계획(2019~2022), 본계획, 울산광역시 본청>지역사회보장계획현황(2018)>지역사회보장균형발전지원센터
http://www.kccwp.or.kr/kccwp/sub02_view.asp?sido=%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gugun=%EB%B3%B8%EC%B2%AD
논문
-전준구, 「지방자치와 지역복지계획: 정치인가, 논리인가·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http://kiss.kstudy.com.ca.skku.edu:8080/thesis/thesis-view.asp?key=36245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