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나이팅게일의 이론
[2] 만성질환자의 특성
[3] 대상자에게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긍정적이고 건강한 환경요소를 적용하여 사정
[4] 나이팅게일 이론에 따른 간호계획
[5] 간호계획 적용에 대한 견해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나이팅게일의 이론
[2] 만성질환자의 특성
[3] 대상자에게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긍정적이고 건강한 환경요소를 적용하여 사정
[4] 나이팅게일 이론에 따른 간호계획
[5] 간호계획 적용에 대한 견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의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진과 시간을 보내는 것을 꺼리는 성향을 보였다. 우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반드시 받을 것을 권고하여야 한다. 고혈압은 많은 질병들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이 환자는 이미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골다공증을 함께 지니고 있는데,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고혈압은 심각한 심혈관계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은 필수이다. 원래 외출하여 사람들과 만나는 것을 즐기던 환자인데,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이를 자주 할 수 없는 상황 때문에 답답함을 많이 느끼는 중이다. 이것이 심리적인 불안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대체할 수 있는 취미 생활을 찾아야 할 것이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고혈압 증상은 심해질 수 있고 환자가 무기력함을 느끼게 되면 하고 있던 약물치료까지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다. 같이 사는 가족의 세심한 관찰과 배려가 이 환자에게는 반드시 필요하다.
[5] 간호계획에 대한 개인적 견해
환자가 겪는 불편한 증상을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회복에 도움을 준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간호계획을 세워보았는데, 매우 적절하고 환자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우리는 만병의 근원을 스트레스라 칭하고 그것을 잘 다스리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 큰 노력을 한다. 계획을 세우기 위해 체크했던 부분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 것들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더럽고 습하고 시끄럽고 쾌적하지 못한 환경은 피하여 살고 싶어 한다. 그 부분들이 우리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이다. 의학적으로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에 응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환자에게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것을 나이팅게일의 환경론을 토대로 제시하였으니 이를 토대로 환자의 건강이 지금보다 나아지기를 기원한다.
3. 결론
질병으로 인하여 환자가 겪는 증상과 고통은 질병 그 자체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공기, 온도, 채광, 소음, 청결, 음식 등의 요인이 잘못 관리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던 플로란스 나이팅게일의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녀는 결국 인간이 능동적으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녀의 이론을 실제 만성질환인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간호계획을 세워보았다. 나이팅게일은 간호의 역할에 대해 이전에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을 학문적으로 정립한 역사적인 인물이다. 그녀의 많은 저서와 그녀의 신념은 현대 간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큰 자산이며 따라야 할 기준으로 작용한다. 그녀가 병원 내의 환기를 중요시했던 부분에서 잘못된 학설을 믿음으로써 시작되었다는 것을 언급하였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자신의 주관이 환자에게 반드시 도움을 주리라는 신념과 이를 행동으로 옮긴 수많은 노력이다. 그녀의 간호이론은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등의 요소로 나눌 수 있다. 만성환자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환경들은 따로 분리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연결된 부분이다. 물리적 환경인 소음, 청결 등에 문제가 있다면 이는 심리적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심리적으로 불안함, 무기력함, 스트레스 등을 느끼면 스스로 사회에서 고립되거나 건강관리에 대한 의지가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약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의사와의 대화를 꺼리는 등의 행동이 나타날 수 있고 이는 다시 건강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나이팅게일은 환자를 세심히 살피고 사소한 일을 하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고 잘 이행하는 것이 간호를 직업으로 하는 자의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하였다.
4. 참고문헌
- 윤태욱 (2015). 나이팅게일의 간호론. 의철학연구, 19, 147-162- 최한나, 김정은 (2011). 나이팅게일 환경이론을 기반으로 한 노인 주거공간의 계획 및 건강상태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31(1), 93-94
- Yunjung Sung, Ji-Young An, Jinkyung Paik(2013). A Review of concepts, haracteristics, and guidelines of the supportive design of healing environments. Design Institute, Inje University, Seoul, Korea
한윤복(1980). 나이팅게일과 간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한간호협회. 19(3), 37-40
[5] 간호계획에 대한 개인적 견해
환자가 겪는 불편한 증상을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회복에 도움을 준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간호계획을 세워보았는데, 매우 적절하고 환자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우리는 만병의 근원을 스트레스라 칭하고 그것을 잘 다스리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 큰 노력을 한다. 계획을 세우기 위해 체크했던 부분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 것들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더럽고 습하고 시끄럽고 쾌적하지 못한 환경은 피하여 살고 싶어 한다. 그 부분들이 우리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이다. 의학적으로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에 응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환자에게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것을 나이팅게일의 환경론을 토대로 제시하였으니 이를 토대로 환자의 건강이 지금보다 나아지기를 기원한다.
3. 결론
질병으로 인하여 환자가 겪는 증상과 고통은 질병 그 자체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공기, 온도, 채광, 소음, 청결, 음식 등의 요인이 잘못 관리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던 플로란스 나이팅게일의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녀는 결국 인간이 능동적으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녀의 이론을 실제 만성질환인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간호계획을 세워보았다. 나이팅게일은 간호의 역할에 대해 이전에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을 학문적으로 정립한 역사적인 인물이다. 그녀의 많은 저서와 그녀의 신념은 현대 간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큰 자산이며 따라야 할 기준으로 작용한다. 그녀가 병원 내의 환기를 중요시했던 부분에서 잘못된 학설을 믿음으로써 시작되었다는 것을 언급하였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자신의 주관이 환자에게 반드시 도움을 주리라는 신념과 이를 행동으로 옮긴 수많은 노력이다. 그녀의 간호이론은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등의 요소로 나눌 수 있다. 만성환자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환경들은 따로 분리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연결된 부분이다. 물리적 환경인 소음, 청결 등에 문제가 있다면 이는 심리적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심리적으로 불안함, 무기력함, 스트레스 등을 느끼면 스스로 사회에서 고립되거나 건강관리에 대한 의지가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약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의사와의 대화를 꺼리는 등의 행동이 나타날 수 있고 이는 다시 건강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나이팅게일은 환자를 세심히 살피고 사소한 일을 하는 것을 소명으로 여기고 잘 이행하는 것이 간호를 직업으로 하는 자의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하였다.
4. 참고문헌
- 윤태욱 (2015). 나이팅게일의 간호론. 의철학연구, 19, 147-162- 최한나, 김정은 (2011). 나이팅게일 환경이론을 기반으로 한 노인 주거공간의 계획 및 건강상태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31(1), 93-94
- Yunjung Sung, Ji-Young An, Jinkyung Paik(2013). A Review of concepts, haracteristics, and guidelines of the supportive design of healing environments. Design Institute, Inje University, Seoul, Korea
한윤복(1980). 나이팅게일과 간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한간호협회. 19(3), 37-40
추천자료
방통대 간호이론C형 나이팅게일의 건강한 환경론에 대해 작성하시오.
간호이론C형 [2020학년도 2학기] 간호이론C형 나이팅게일의 건강한 환경론 주요 개념 1) 제시...
<간호이론 C형>나이팅게일의 건강한 환경론 주요 개념
<방통대 2020-2>나이팅게일의 건강한 환경론 주요 개념을 지시에 따라 서술하시오
간호이론C형 [2020학년도 2학기] 간호이론C형 나이팅게일의 건강한 환경론 주요개념 1) 제시...
간호이론C형 2020 나이팅게일의 건강한 환경론 주요 개념 간호이론C형 1) 제시된 이론에 대해...
간호이론 2021] 1. 이론의 기능을 제시하고 간호 분야에서 이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자신의...
[2021 간호이론3공통] 1.이론의 기능을 제시하고 간호 분야에서 이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