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지도자 )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진단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지도자 )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숙도를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진단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 모형
①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 모형의 4가지 리더십 유형
②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 모형의 구성원 성숙도 단계
③ 허시와 블랜차드 상황 모형의 문제점
④ 구성원의 성숙도 분석
(2)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 이론
①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 이론의 7가지 변화
② 구성원 성숙도 분석
(3) 구성원 분석 결과
① 구성원 분석 결과에 따른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
②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더십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또 구성원 중 하나인 둘째 딸은 능력과 의지 둘 다 모두 낮아 성숙도 낮음에 해당한다. 아빠는 둘째 딸에게 지시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마지막 구성원인 막내아들은 능력은 낮지만 의지가 높아 성숙도 중간에 해당한다. 리더인 아빠는 막내 아들에게 설득적 리더십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아지리스 미성숙-성숙이론에 따르면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발전도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아지리스 미성숙-성숙이론의 7가지 단계가 점차 성숙의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리더는 리더십을 발휘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신경 써야 한다.
② 현재의 지도자와 비교
현재 가족의 리더인 아빠는 이상적인 리더의 모습과는 좀 다른 모습을 보인다. 해시와 블랜차드의 상황 이론에 따르면 리더인 아빠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각각 참여적 리더십, 위양적 리더십, 지시적인 리더십, 설득적 리더십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하지만 가족 구성원들의 성숙도와 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구성원 모두에게 똑같이 지시적인 리더십의 모습을 보인다.
아지리스 미성숙-성숙이론에 근거하면 가족 구성원의 리더인 아빠는 가족 구성원들의 발전을 고려해 성숙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하지만 가족의 리더이자 구성원인 아빠는 구성원으로서의 본인의 성숙도는 매우 높은 편이지만 리더로서 가족 구성원들의 성숙도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비교적 부족하다.
3. 결론
조직 안에서 조직 구성원들과 조직이 동시에 지향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리더십은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하지만 각각의 조직마다 모두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고, 또 같은 조직의 경우에서도 리더의 성향이나 성격에 따라 리더십의 유형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므로 리더십은 매우 중요하다. 즉, 리더십에 따라서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에 끼치는 영향의 차이와, 그로 인해 부하 직원의 조직 몰입 및 직무 만족에 따른 성과와 차이를 파악하는 일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목표 달성만을 위한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보다는 명확한 상황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 구성원들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해 효율적인 성과를 보이게 한다.
현재의 리더십 연구는 상황 이론에 근거하여 리더와 부하 직원, 그리고 주어진 상황들을 분석하고 대처하는 방법론을 중점으로 진행되고 있다. 허시와 블랜차드의 리더십 상황 이론을 통해 리더가 구성원 개개인의 상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게 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적극적인 태도에 의해 조직이 지향하는 목표가 달성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에 대해 고민하였다.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이론은 사람의 발전 단계에 있어서 발전에 대한 인식과 경영 방식에 많은 시사점을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개인의 발전이 없이 조직의 발전만이 이루어진다면 그것은 진정한 발전이 아니라 허상에 불과할 뿐이다. 조직이 조직의 목표를 지향하면서 동시에 조직 구성원들의 발전을 고려해 성숙도를 증가시켜야 진정한 의미의 조직 발전이 가능하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강상구. \"리더쉽 類型이 組織有效性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1997. 광주
-조정철. \"서번트 리더십이 개인성과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崇實大學校, 2015. 서울
-오민환. \"부하성숙도에 따른 군 리더십 유형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충청남도
-서정호. \"리더십 類型이 組織 成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서울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01
  • 저작시기202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