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참나무과 식물에 대한 조사
2) 자작나무과 식물에 대한 조사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II. 본론
1) 참나무과 식물에 대한 조사
2) 자작나무과 식물에 대한 조사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다 가늘어서 구별된다.
마) 사스래나무: 높은 산 정상 부근(해발고도 1,300m)에서 나는 낙엽 활엽 작은 큰키나무로 높이는 7~8m이다. 수꽃이삭은 원통형의 꼬리모양꽃차례로 길이 8cm로 아래를 향하고, 암꽃이삭은 길이 2cm 정도의 타원형으로 짧은 가지의 앞쪽에서 위를 향해 달린다. 사스래나무에 비해 키가 작고 잎은 난형이며 길이 1~2.5cm이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지점이 거의 없으므로 다르다.
바) 거제수나무: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높은 산지 숲속에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30m까지 자란다. 사스래나무와 유사하지만 사스래나무에 비해 피목은 옆으로 길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측맥은 10~16쌍으로 보다 많으며 잎자루는 0.5~1.5cm로 짧다.
■서어나무속: 전 세계 적으로 26~35종이 분포하여 있지만 대부분의 종이 중국에 분포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본 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기존의 분류 방법으로는 잎의 크기와 잎맥의 숫자와 방향등이 있다.
가) 까치박달: 숲속에서 높이 10~15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가 점차 없어진다. 은 타원형 또는 원형, 길이 7~13cm, 폭 4~7cm, 끝은 날카롭고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1.5~3cm로 거센털이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의 잎맥에만 소수의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나) 소사나무: 경기도 해안과 남쪽 섬에서 높이 3~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다. 어린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이 종은 서어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으며,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으므로 구별된다.
다) 서어나무: 산지 숲속 사면이나 계곡 주변의 돌이 많은 곳에서 높이 15m, 지름 1m 정도로 드물게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며 울퉁불퉁하고 작은 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다. 과실을 둘러싸는 과포는 길이 1~2cm 정도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9~10월에 익는데 털이 없다.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 분포한다.
라) 개서어나무: 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m, 지름 70cm에 이른다. 한반도 경상남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과포는 좌우비대칭이며, 열매를 완전히 싼다. 이 종은 서어나무에 비해 잎이 약간 두껍고, 잎 표면의 맥 사이에 털이 밀생하며, 과편이 길며 바깥쪽 가장자리에만 톱니가 있어 구별된다.
III. 결론
본 문헌에서는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는 참나무과의 대표적인 국내의 11종에 대해서 도감에서 볼 수 있는 간단한 특징을 조사하고, 마찬가지로 자작나무과의 3가지 종을 간단하게 조사하였다.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향균효과, 윤재원·유미영·박부길·이명구·오덕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2004,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자작나무 수액의 저장성 및 기호성 증진 기술, 김종호·이운종·조윤원·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송민섭, 창원대학교, 2008
울릉자생도감
자원백과, 생명자원정보서비스
유튜브 오늘의숲WaldTag
국립생활자원관, https://species.nibr.go.kr/index.do, n.d 수정, 2020년 9월 26일 접속
마) 사스래나무: 높은 산 정상 부근(해발고도 1,300m)에서 나는 낙엽 활엽 작은 큰키나무로 높이는 7~8m이다. 수꽃이삭은 원통형의 꼬리모양꽃차례로 길이 8cm로 아래를 향하고, 암꽃이삭은 길이 2cm 정도의 타원형으로 짧은 가지의 앞쪽에서 위를 향해 달린다. 사스래나무에 비해 키가 작고 잎은 난형이며 길이 1~2.5cm이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지점이 거의 없으므로 다르다.
바) 거제수나무: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높은 산지 숲속에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는 30m까지 자란다. 사스래나무와 유사하지만 사스래나무에 비해 피목은 옆으로 길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측맥은 10~16쌍으로 보다 많으며 잎자루는 0.5~1.5cm로 짧다.
■서어나무속: 전 세계 적으로 26~35종이 분포하여 있지만 대부분의 종이 중국에 분포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본 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기존의 분류 방법으로는 잎의 크기와 잎맥의 숫자와 방향등이 있다.
가) 까치박달: 숲속에서 높이 10~15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가 점차 없어진다. 은 타원형 또는 원형, 길이 7~13cm, 폭 4~7cm, 끝은 날카롭고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이 1.5~3cm로 거센털이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의 잎맥에만 소수의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나) 소사나무: 경기도 해안과 남쪽 섬에서 높이 3~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다. 어린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이 종은 서어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으며,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으므로 구별된다.
다) 서어나무: 산지 숲속 사면이나 계곡 주변의 돌이 많은 곳에서 높이 15m, 지름 1m 정도로 드물게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며 울퉁불퉁하고 작은 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다. 과실을 둘러싸는 과포는 길이 1~2cm 정도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9~10월에 익는데 털이 없다.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 분포한다.
라) 개서어나무: 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m, 지름 70cm에 이른다. 한반도 경상남도, 전라남·북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과포는 좌우비대칭이며, 열매를 완전히 싼다. 이 종은 서어나무에 비해 잎이 약간 두껍고, 잎 표면의 맥 사이에 털이 밀생하며, 과편이 길며 바깥쪽 가장자리에만 톱니가 있어 구별된다.
III. 결론
본 문헌에서는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는 참나무과의 대표적인 국내의 11종에 대해서 도감에서 볼 수 있는 간단한 특징을 조사하고, 마찬가지로 자작나무과의 3가지 종을 간단하게 조사하였다.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향균효과, 윤재원·유미영·박부길·이명구·오덕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2004,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자작나무 수액의 저장성 및 기호성 증진 기술, 김종호·이운종·조윤원·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송민섭, 창원대학교, 2008
울릉자생도감
자원백과, 생명자원정보서비스
유튜브 오늘의숲WaldTag
국립생활자원관, https://species.nibr.go.kr/index.do, n.d 수정, 2020년 9월 26일 접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