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일차보건의료의 개념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 생성배경
2. 일차보건의료 개념
Ⅱ. 일차보건의료를 지원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및 운영현황에 대해 기술하시오.
1.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배경
2.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운영현황
Ⅲ. 일차보건의료의 새로운 방향인 건강증진관련 국제회의와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주요 내용에 대해 기술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의 건강증진관련 국제회의
2.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20 주요내용
Ⅳ. 참고문헌 및 출처
1. 일차보건의료 생성배경
2. 일차보건의료 개념
Ⅱ. 일차보건의료를 지원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및 운영현황에 대해 기술하시오.
1.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배경
2.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운영현황
Ⅲ. 일차보건의료의 새로운 방향인 건강증진관련 국제회의와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주요 내용에 대해 기술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의 건강증진관련 국제회의
2.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20 주요내용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강증진개념을 수립하여 발표하였으며 그 내용은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리능력을 높이며, 스스로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개념’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후 일정 주기마다 건강증진과 관련된 내용으로 국제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1988년 호주의 아들레이드(Adelaide)에서는 오타와 헌장의 건강증진 전략방안 중 ‘건강에 이로운 공공정책 수립’에 대한 사항을 집중적으로 토의하였다. 세부 내용으로는 여성의 건강증진, 식품과 영양의 밸런스, 유해물질을 포함한 흡연과 음주, 지지적 환경의 조성 등이 있다. 1991년 스웨덴의 선즈볼(Sundsvall)에서는 기본전략에 포함된 ‘지지적 환경조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토의하였다. 지지적 환경에서는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정책개발, 옹호와 인식의 재고, 능력부여, 자원동원, 지역사회 역량강화, 법제 방향 재설정이 있다.
1997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Jakarta)에서 진행되었는데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된 국제회의다. 이 국제회의에서는 건강증진 사업에 있어 민간부문의 참여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21세기의 건강증진을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2000년 멕시코의 멕시코시티(Mexico City)에서 진행된 국제회의에서는 취약환경 거주민의 건강문제 해결과 건강의 불균형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주요 사안으로 토의를 진행하였으며, 자카르타 국제회의에서 제외 된 ‘의로체계와 의료서비스 재정비’를 추가하였다.
이후 2005년 방콕(Bangkok) 국제회의, 2009년 나이로비(Nairobi) 국제회의, 2013년 헬싱키(Helsinki) 국제회의, 2016년 상하이(Shanghai) 국제회의를 거치며 특정지역 누군가의 건강증진이 아닌 범세계적인 ‘모두의 건강과 건강을 위한 모든 것’에 초점이 맞춰지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해 건강과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20 주요내용
종합계획이란 많은 내용을 내포하고 있으며, 계획에 포함되어있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20에서는 ‘건강의 구성’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를 기본으로 하여 건강을 기본권으로 상정하여 모든 구성원이 차별 없이 건강할 수 있도록 개인의 역할, 정부의 역할, 건강결정 요인에 대한 관리 내용을 기술하였다.
즉, ‘건강수명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중심으로 건강, 직장, 개인, 교육, 복지, 공동체, 보건, 가족 등의 ‘주변 환경’ 등을 정책, 건강증진사업, 정보 등을 이용해 추진 할 계획을 담고 있다.
Ⅳ. 참고 및 출처
한국보건개발연구원, “일차보건의료에 관한 세미나 결과보고”, 1977.
최용준, “일차보건의료의 개념과 발전방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2009.
김창엽, “일차보건의료와 보건진료원 제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국가승인 통계 2017년 공공의료기관 현황”, 2018.
김향자, “공공성의 개념과 의료의 공공성”, 서울대학교 보건정책학과, 2004.
1988년 호주의 아들레이드(Adelaide)에서는 오타와 헌장의 건강증진 전략방안 중 ‘건강에 이로운 공공정책 수립’에 대한 사항을 집중적으로 토의하였다. 세부 내용으로는 여성의 건강증진, 식품과 영양의 밸런스, 유해물질을 포함한 흡연과 음주, 지지적 환경의 조성 등이 있다. 1991년 스웨덴의 선즈볼(Sundsvall)에서는 기본전략에 포함된 ‘지지적 환경조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토의하였다. 지지적 환경에서는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정책개발, 옹호와 인식의 재고, 능력부여, 자원동원, 지역사회 역량강화, 법제 방향 재설정이 있다.
1997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Jakarta)에서 진행되었는데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된 국제회의다. 이 국제회의에서는 건강증진 사업에 있어 민간부문의 참여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21세기의 건강증진을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2000년 멕시코의 멕시코시티(Mexico City)에서 진행된 국제회의에서는 취약환경 거주민의 건강문제 해결과 건강의 불균형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주요 사안으로 토의를 진행하였으며, 자카르타 국제회의에서 제외 된 ‘의로체계와 의료서비스 재정비’를 추가하였다.
이후 2005년 방콕(Bangkok) 국제회의, 2009년 나이로비(Nairobi) 국제회의, 2013년 헬싱키(Helsinki) 국제회의, 2016년 상하이(Shanghai) 국제회의를 거치며 특정지역 누군가의 건강증진이 아닌 범세계적인 ‘모두의 건강과 건강을 위한 모든 것’에 초점이 맞춰지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해 건강과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20 주요내용
종합계획이란 많은 내용을 내포하고 있으며, 계획에 포함되어있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20에서는 ‘건강의 구성’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를 기본으로 하여 건강을 기본권으로 상정하여 모든 구성원이 차별 없이 건강할 수 있도록 개인의 역할, 정부의 역할, 건강결정 요인에 대한 관리 내용을 기술하였다.
즉, ‘건강수명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중심으로 건강, 직장, 개인, 교육, 복지, 공동체, 보건, 가족 등의 ‘주변 환경’ 등을 정책, 건강증진사업, 정보 등을 이용해 추진 할 계획을 담고 있다.
Ⅳ. 참고 및 출처
한국보건개발연구원, “일차보건의료에 관한 세미나 결과보고”, 1977.
최용준, “일차보건의료의 개념과 발전방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2009.
김창엽, “일차보건의료와 보건진료원 제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국가승인 통계 2017년 공공의료기관 현황”, 2018.
김향자, “공공성의 개념과 의료의 공공성”, 서울대학교 보건정책학과, 2004.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2020년 2학기]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개념, 2. 보건진료소 간호사...
<지역사회간호학 공통>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생성배경,개념,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일차보건의...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지역사회간호학 1. 일차보건...
지역사회간호학 2021]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2. 우...
[지역사회간호학 2021]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
(방송통신대 지역사회간호학 중간과제물)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