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복지 간의 차이
2) 두 관점 중 자신이 지지하는 입장을 그 이유와 함께 서술하시오.
3) 살고 있는 지역사회(시군구)의 문제 중 한 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서술하시오.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복지 간의 차이
2) 두 관점 중 자신이 지지하는 입장을 그 이유와 함께 서술하시오.
3) 살고 있는 지역사회(시군구)의 문제 중 한 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서술하시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도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국가의 개입은 최소화되고 복지의 주체를 가족과 자원봉사에 두는 잔여적 유형과 이와 달리 제도적 유형의 복지국가는 국가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 한국은 이전에 빈곤층에 국한하여 복지를 제공하는 잔여적 유형이었다. 하지만 점점 적용 범위와 내용을 확대해 나가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현 정부도 ‘포용’이라는 단어를 앞세워 이를 시행하고자 한다. 하지만 법으로만 글로만 적어 놓고 끝이 아니라 이를 국민이 수긍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제도적 차원의 방법이 동반되어야 한다.
복지국가를 유형화하는 방법은 다른 것도 있는데 유형화를 한다는 것은 그동안 복지가 어떻게 발전해 왔고 한국의 복지체제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준다. 유형론이 없었다면 한국의 복지개혁을 해석하고 결과를 통해 새로운 제도를 성립해 나가는 데 큰 걸림돌이 제거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대선 때마다 새롭고 다양한 복지공약이 제시되지만, 그것의 실용성을 확실히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공약들은 한 유형을 따른다기보다는 논리적 연관 없이 여기저기의 많은 유형론에서 주목을 끌 만한 것들을 모아 발표된다. 이는 유형론이 아직은 실용적으로 쓰이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전을 나타낼 때 유형론을 염두에 두는 것 같지만 어떤 유형의 복지국가를 구체적으로 지향하는 것인지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다. 국민 다수가 원하는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유형의 복지국가를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해 제도를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복지국가 유형론은 우리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물론 복지국가 유형론 자체를 다듬어 나갈 필요도 있다.
이 글에서 구체적으로 알아본 사례는 독거노인에 대한 부분이었다. 한국 노인의 절반을 차지하는 독거노인에 대한 문제, 특히 고독사에 대한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제도적 유형의 복지국가를 염두에 두고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독거노인들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 노인복지기관의 운영을 더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원봉사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지하고 지원해야 한다. 대학을 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지는 자원봉사를 진정한 마음을 가지고 봉사할 수 있도록 말이다. 스스로 복지시스템의 한가운데에서 큰 중임을 맡는 역할을 한다면 미래 한국의 복지시스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박용수 (2006). 한국 복지국가의 성격: 잔여적 유형?. 국제지역연구, 10(3), 165-198
김경우양승일강복화(2008), 『사회복지정책론』, 창지사.
김재원(2015). 독거노인 사회복지시스템 구축방안.
여유진, 김영순 (2015). 한국의 중간층은 어떤 복지국가를 원하는가? 중간층의 복지태도와 복지국가 전망에의 함의. 한국정치학회보, 49(4), 335-362
한창근 (2017).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 한국사회복지학, 69(4), 9-33
남찬섭 (2018). 민주화 30년 한국 사회복지의 제도적 변화와 과제. 시민과세계, 45-92
김영순(2017). 복지국가 유형화 논의의 현단계와 그 이론적·정책적 함의. 사회과학논집, 제48집 1호
하석철, 유비 (2019). 독거노인의 고독사 위험 인식이 복지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Andersen 행동 모형과 전망 이론의 적용. 사회복지연구, 50(4), 59-85
김영순, 최현수, 이윤경, 방효정. 복지국가유형별 사회서비스의 발전과정과 시사점
복지국가를 유형화하는 방법은 다른 것도 있는데 유형화를 한다는 것은 그동안 복지가 어떻게 발전해 왔고 한국의 복지체제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준다. 유형론이 없었다면 한국의 복지개혁을 해석하고 결과를 통해 새로운 제도를 성립해 나가는 데 큰 걸림돌이 제거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대선 때마다 새롭고 다양한 복지공약이 제시되지만, 그것의 실용성을 확실히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공약들은 한 유형을 따른다기보다는 논리적 연관 없이 여기저기의 많은 유형론에서 주목을 끌 만한 것들을 모아 발표된다. 이는 유형론이 아직은 실용적으로 쓰이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전을 나타낼 때 유형론을 염두에 두는 것 같지만 어떤 유형의 복지국가를 구체적으로 지향하는 것인지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다. 국민 다수가 원하는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유형의 복지국가를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해 제도를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복지국가 유형론은 우리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물론 복지국가 유형론 자체를 다듬어 나갈 필요도 있다.
이 글에서 구체적으로 알아본 사례는 독거노인에 대한 부분이었다. 한국 노인의 절반을 차지하는 독거노인에 대한 문제, 특히 고독사에 대한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제도적 유형의 복지국가를 염두에 두고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독거노인들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 노인복지기관의 운영을 더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원봉사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지하고 지원해야 한다. 대학을 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지는 자원봉사를 진정한 마음을 가지고 봉사할 수 있도록 말이다. 스스로 복지시스템의 한가운데에서 큰 중임을 맡는 역할을 한다면 미래 한국의 복지시스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박용수 (2006). 한국 복지국가의 성격: 잔여적 유형?. 국제지역연구, 10(3), 165-198
김경우양승일강복화(2008), 『사회복지정책론』, 창지사.
김재원(2015). 독거노인 사회복지시스템 구축방안.
여유진, 김영순 (2015). 한국의 중간층은 어떤 복지국가를 원하는가? 중간층의 복지태도와 복지국가 전망에의 함의. 한국정치학회보, 49(4), 335-362
한창근 (2017).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 한국사회복지학, 69(4), 9-33
남찬섭 (2018). 민주화 30년 한국 사회복지의 제도적 변화와 과제. 시민과세계, 45-92
김영순(2017). 복지국가 유형화 논의의 현단계와 그 이론적·정책적 함의. 사회과학논집, 제48집 1호
하석철, 유비 (2019). 독거노인의 고독사 위험 인식이 복지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Andersen 행동 모형과 전망 이론의 적용. 사회복지연구, 50(4), 59-85
김영순, 최현수, 이윤경, 방효정. 복지국가유형별 사회서비스의 발전과정과 시사점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 학생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시군구)의 문제 중 한 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문...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
[지역사회복지론]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
방송통신대학교/지역사회복지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