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과 제 명 :
1. 유병률, 누적발생률, 발생밀도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세요.
2. 역학에서 질병위험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절대위험도,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가 있숩니다. 각각의 의미를 설명해 보세요.
3. 비(ratio), 분율(proportion), 율(rate)의 의미를 구분해 보세요.
4.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ility)의 개념의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5. 역학적 연구방법 중 관찰 연구로는 단면조사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가 각각 어떤 연구인지, 장단점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세요.
6. 역학연구 결과에 개입될 수 있는 비뚤림(바이어스, bias)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보세요.
7. 교란비뚤림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1. 유병률, 누적발생률, 발생밀도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세요.
2. 역학에서 질병위험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절대위험도,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가 있숩니다. 각각의 의미를 설명해 보세요.
3. 비(ratio), 분율(proportion), 율(rate)의 의미를 구분해 보세요.
4.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ility)의 개념의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5. 역학적 연구방법 중 관찰 연구로는 단면조사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가 각각 어떤 연구인지, 장단점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세요.
6. 역학연구 결과에 개입될 수 있는 비뚤림(바이어스, bias)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보세요.
7. 교란비뚤림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본문내용
일단 비뚤림이 생기게 되면 이를 보정하기 어렵지만 교란비뚤림은 자료분석 단계에서도 보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모든 비뚤림과 차이가 있다.
7. 교란비뚤림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연구설계 혹은 수행단계에서 짝짓기를 하는 방법과 교란변수를 가진 대상자를 제외하는 방법이 있고, 분석단계에서는 층화를 하거나 통계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이 있다.
-층화분석: 분석단계에서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란변수에 노출된 대상과 노출되지 않은 대상을 각각 따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짝짓기: 연구설계 단계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선정 시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교란변수의 분포가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짝짓기는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인 반면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교란변수의 분포가 동일하기 때문에 교란변수 자체의 질병 위험도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대상자 제한: 연구대상자를 교란변수가 없는 대상자로만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면 모든 연구대상자들은 모두 교란변수에 노출되지 않는 동일한 집단이 되기 때문에 교란변수의 작용을 막을 수 있다. 단, 교란변수 자체의 질병 위험도는 알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7. 교란비뚤림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연구설계 혹은 수행단계에서 짝짓기를 하는 방법과 교란변수를 가진 대상자를 제외하는 방법이 있고, 분석단계에서는 층화를 하거나 통계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이 있다.
-층화분석: 분석단계에서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란변수에 노출된 대상과 노출되지 않은 대상을 각각 따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짝짓기: 연구설계 단계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선정 시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교란변수의 분포가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짝짓기는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인 반면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교란변수의 분포가 동일하기 때문에 교란변수 자체의 질병 위험도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대상자 제한: 연구대상자를 교란변수가 없는 대상자로만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면 모든 연구대상자들은 모두 교란변수에 노출되지 않는 동일한 집단이 되기 때문에 교란변수의 작용을 막을 수 있다. 단, 교란변수 자체의 질병 위험도는 알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추천자료
환경 호르몬과 인류의 미래
지역사회 간호학(총론/분야별) 요약정리
감정노동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생명과 환경 3 빼앗긴 숨 (안종주 지음 한울 2016) 이라는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를 보고한 책...
[생명과환경] 한국인의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
2020년 1학기 환경보건역학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유병률, 누적발생률, 발생밀도 등)
2020년 1학기 환경보건학개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문제 설명)
[ 환경보건역학 ) 최근 3년(2018~2020)간 대기오염 또는 수질오염 물질에 관한 역학연구 1편...
[ 환경보건역학 ) 최근 3년(2018~2020)간 특정 직업 종사자에 관한 역학연구 1편을 찾아서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