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장 170cm, 체중 80kg인 40세 한국인 남자와 신장 160cm, 체중 60kg인 50세 한국인 여자의 Body Mass Index (BMI)를 각각 산출하고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비만 여부를 판정하시오. 또한, 비만관리를 통해 건강체중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시오
2.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빈혈을 엽산 결핍성 빈혈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또한, 비타민 E 결핍성 빈혈과 철 결핍성 빈혈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3. MFP 요소에 대해 설명하시오.
4. 체내에서 이용되는 비타민 D의 종류와 급원을 제시하시오. 또한, 섭취한 비타민 D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체내 칼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지 설명하시오.
5.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 C 함유 음료 2가지를 조사하여 상품명 및 제조사를 밝히고, 각각의 비타민 C의 함유량을 제시하시오. 또한, 본인의 비타민 C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제시하고 비타민 C의 과잉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점을 제시하시오.
6. 출처 및 참고문헌
2.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빈혈을 엽산 결핍성 빈혈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또한, 비타민 E 결핍성 빈혈과 철 결핍성 빈혈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3. MFP 요소에 대해 설명하시오.
4. 체내에서 이용되는 비타민 D의 종류와 급원을 제시하시오. 또한, 섭취한 비타민 D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체내 칼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지 설명하시오.
5.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 C 함유 음료 2가지를 조사하여 상품명 및 제조사를 밝히고, 각각의 비타민 C의 함유량을 제시하시오. 또한, 본인의 비타민 C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제시하고 비타민 C의 과잉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점을 제시하시오.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중 인산염 농도와 혈중 칼슘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뼈가 석회화될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 C 함유 음료 2가지를 조사하여 상품명 및 제조사를 밝히고, 각각의 비타민 C의 함유량을 제시하시오. 또한, 본인의 비타민 C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제시하고 비타민 C의 과잉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점을 제시하시오.
광동제약의 “비타 500”의 경우, 제품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비타민 C 500mg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레몬 7개, 귤 9개, 사과 35개에 해당하는 비타민 C의 양이다. 한편, 고려은단에서 출시한 “마시는 고려은단 비타민 C 1000”의 경우, 비타민 C 1000mg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광동제약에서 판매하는 “비타 500”의 두 배에 달하는 분량으로, 레몬 14개에 해당하는 비타민 C 용량이다.
비타민 C 권장섭취량에 대해, 미국 식품영양위원회의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비타민 C 일일 권장섭취량
구분
일일 권장량
성인 남성
90mg
성인 여성
75mg
임신 중인 여성
85mg
수유 중인 여성
120mg
노인
120mg
(출처: 미국 식품영양위원회)
위 자료에 따르면 성인 여성에 해당하는 본인의 비타민 C 일일 권장량은 75mg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자료에서 기술된 바에 따르면 임신 중인 여성과 수유 중인 여성을 포함하여, 성인에 대한 비타민 C 최대 용량, 즉 상한섭취량은 1일 2000mg이다. 다만, 상한섭취량이 2000mg일지라도, 비타민 C 과잉 섭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루 1000mg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비타민 C를 과잉 섭취할 경우 어떠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을까? 비타민 C가 과잉 섭취될 경우, 설사나 위산의 과도한 분비, 복통, 지나치게 잦은 소변, 수면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골다공증이나 두통, 저혈당증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비타민 C는 철 흡수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과다한 섭취로 인한 철 과다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구리의 체내 흡수가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임산부의 경우, 비타민 C를 지나치게 많이 섭취했을 때 태아에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공급하여 태아가 비타민 C 의존증을 보이게 될 위험이 있다. 만약 태아가 비타민 C 의존증세를 보이는 경우, 출생 이후 영아에게 별도의 비타민 C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아이가 괴혈병 증상을 겪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타민 C 섭취 시에는 권장량에 유의하여 이것이 부족하거나 혹은 과다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대한간호학회. 간호학대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6.
박명윤. 파워푸드 슈퍼푸드. 서울: 푸른행복, 2010.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생화학백과 2019. 서울: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9.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백과사전 ‘혈액과 림프, 면역계’. 서울대학교 병원 건강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타민 C 함유 음료 2가지를 조사하여 상품명 및 제조사를 밝히고, 각각의 비타민 C의 함유량을 제시하시오. 또한, 본인의 비타민 C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제시하고 비타민 C의 과잉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점을 제시하시오.
광동제약의 “비타 500”의 경우, 제품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비타민 C 500mg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레몬 7개, 귤 9개, 사과 35개에 해당하는 비타민 C의 양이다. 한편, 고려은단에서 출시한 “마시는 고려은단 비타민 C 1000”의 경우, 비타민 C 1000mg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광동제약에서 판매하는 “비타 500”의 두 배에 달하는 분량으로, 레몬 14개에 해당하는 비타민 C 용량이다.
비타민 C 권장섭취량에 대해, 미국 식품영양위원회의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비타민 C 일일 권장섭취량
구분
일일 권장량
성인 남성
90mg
성인 여성
75mg
임신 중인 여성
85mg
수유 중인 여성
120mg
노인
120mg
(출처: 미국 식품영양위원회)
위 자료에 따르면 성인 여성에 해당하는 본인의 비타민 C 일일 권장량은 75mg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자료에서 기술된 바에 따르면 임신 중인 여성과 수유 중인 여성을 포함하여, 성인에 대한 비타민 C 최대 용량, 즉 상한섭취량은 1일 2000mg이다. 다만, 상한섭취량이 2000mg일지라도, 비타민 C 과잉 섭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루 1000mg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비타민 C를 과잉 섭취할 경우 어떠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을까? 비타민 C가 과잉 섭취될 경우, 설사나 위산의 과도한 분비, 복통, 지나치게 잦은 소변, 수면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골다공증이나 두통, 저혈당증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비타민 C는 철 흡수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과다한 섭취로 인한 철 과다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구리의 체내 흡수가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임산부의 경우, 비타민 C를 지나치게 많이 섭취했을 때 태아에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공급하여 태아가 비타민 C 의존증을 보이게 될 위험이 있다. 만약 태아가 비타민 C 의존증세를 보이는 경우, 출생 이후 영아에게 별도의 비타민 C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아이가 괴혈병 증상을 겪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타민 C 섭취 시에는 권장량에 유의하여 이것이 부족하거나 혹은 과다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대한간호학회. 간호학대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6.
박명윤. 파워푸드 슈퍼푸드. 서울: 푸른행복, 2010.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생화학백과 2019. 서울: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9.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백과사전 ‘혈액과 림프, 면역계’. 서울대학교 병원 건강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