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1)의 관점에서 2) 비판하기
2.2)의 관점에서 1) 비판하기
결론-적절한 행복이란
본론
1.1)의 관점에서 2) 비판하기
2.2)의 관점에서 1) 비판하기
결론-적절한 행복이란
본문내용
얻을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삶이란 개인의 행복을 넘어 공동체 속에서의 좋은 삶을 의미한다. 공동체의 행복은 선하고 올바른 삶을 추구할 때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곧 개인의 행복으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인류가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선 가운데 가장 최고인 것이라고 답한다. 여기까지 봐서는 그가 정신적 건강을 추구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는 무엇이 행복이냐는 사람들의 생각은 같지 않다. 같은 사람마저 경우에 따라 때로는 행복을 다르게 볼 수 있으며, 병들었을 때는 건강이 최고의 행복이라고 여길 수도 있으며, 가난할 때의 최고의 행복은 부와 번영이 되기도 한다고 대답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상대적으로 매겨질 수 있으며, 그럼에도 인류에게 있어서 인생 최고의 선은 행복이라는 주장은 변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곧 적절한 행복은 정신적 행복, 육체적 행복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추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인류가 행복을 추구해야 함에는 이변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참고문헌
홍병선, 행복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2012, 교양논총
곧 적절한 행복은 정신적 행복, 육체적 행복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추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인류가 행복을 추구해야 함에는 이변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참고문헌
홍병선, 행복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2012, 교양논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