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산의 의미와 절차
2. 시산표의 의미 및 작성 시기
3. 시산표의 종류 및 작성 방법
4. 시산표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오류
5. 출처 및 참고문헌
2. 시산표의 의미 및 작성 시기
3. 시산표의 종류 및 작성 방법
4. 시산표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오류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그리고 대변 합계액은 부채와 자본, 그리고 수익 잔액의 합계액으로써 차변합계액과 대변 합계액은 항상 일치해야 한다. 이를 시산표 등식이라고 하며,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말 자산 + 총비용 = 기말 부채 + 기초 자본 + 총수익
마지막으로 합계 잔액 시산표란 합계 시산표와 잔액 시산표를 하나의 표에 작성한 것을 말한다. 합계 잔액 시산표 상 합계와 잔액 란의 차변 합계액과 대변 합계액은 항상 일치해야 한다. 합계 잔액 시산표는 각 계정과목의 흐름을 알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4. 시산표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오류
하지만 시산표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오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변과 대변을 반대로 전기한 경우라든지 아니면 다른 계정을 같은 변에 작성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오류가 우연히 합쳐진 경우나 거래 전체에서 분개나 전기가 빠진 경우에는 발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거래를 이중으로 분개하거나 전기하는 경우와 차변과 대변에 모두 다른 금액으로 같게 분개하거나 전기하는 경우도 오류를 발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시산표를 작성할 시 무엇보다 꼼꼼히 작성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계정과목이나 숫자의 오류가 나지 않도록 다시 한번 보는 습관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 심재영, 이우백 (2017). 관리회계원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결산과 시산표, 천재학습백과, 다음백과
- 총계정원장, 비즈폼, 지식백과
분개장, 예스폼, 지식백과
계정, 비상교육, 지식백과
기말 자산 + 총비용 = 기말 부채 + 기초 자본 + 총수익
마지막으로 합계 잔액 시산표란 합계 시산표와 잔액 시산표를 하나의 표에 작성한 것을 말한다. 합계 잔액 시산표 상 합계와 잔액 란의 차변 합계액과 대변 합계액은 항상 일치해야 한다. 합계 잔액 시산표는 각 계정과목의 흐름을 알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4. 시산표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오류
하지만 시산표에서 발견하지 못하는 오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변과 대변을 반대로 전기한 경우라든지 아니면 다른 계정을 같은 변에 작성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오류가 우연히 합쳐진 경우나 거래 전체에서 분개나 전기가 빠진 경우에는 발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거래를 이중으로 분개하거나 전기하는 경우와 차변과 대변에 모두 다른 금액으로 같게 분개하거나 전기하는 경우도 오류를 발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시산표를 작성할 시 무엇보다 꼼꼼히 작성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계정과목이나 숫자의 오류가 나지 않도록 다시 한번 보는 습관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 심재영, 이우백 (2017). 관리회계원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결산과 시산표, 천재학습백과, 다음백과
- 총계정원장, 비즈폼, 지식백과
분개장, 예스폼, 지식백과
계정, 비상교육, 지식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