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수술방법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수술방법
본문내용
하 단간 정맥을 결찰하여 간을 유동화 시키면서 우간정맥의 기시부를 노출 시켰다.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고, 간문부를 박리하여 총간동맥과 간문맥을 분리한 후 좌·우 간동맥과 간문맥을 분리시키고, 우간동맥과 간문맥의 전구역분지를 박리하여 제대테이프를 걸었다. 수술 중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종양의 위치를 파악하여 절제 여부를 확인하고 간정맥의 주행을 확인하여 절리선을 표시하였다. 간실질의 절리는 좌내측구역을 먼저 시행한 후 우전구역을 절리하였다. 겸상인대의 내측에서 제대부를 따라 Glisson피막을 박리하여 좌내구역지를 결찰한 후 좌간 정맥 기시부까지 간을 절리하였다. 다시 우전구역지를 결찰하여 절리선을 확인하고 우간정맥이 노출되도록 간실질을 절리하였다. 심한 유착 및 섬유화로 인해 우전구역지의 박리가 쉽지 않았던 환자에서는 혈관겸자를 이용하여 우반간의 혈행을 차단시킨 후 간실질을 먼저 절리한 후에 전구역지를 결찰하였다. 간실질의 절 리가 끝난 후에 중간정맥을 결찰하여 간표본을 분리하였다. 절 리가 끝난후에 담낭관을 이용하여 담즙노출 검사를 시행하였고, 담즙이 노출되는 부위는 봉합하였고, 지혈 후에 절리면에 fibrin glue와 surgicel을 도포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