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제 1 >
단백질호르몬과 스테로이드호르몬의 작용기작의 차이를 비교하시오.
< 문제 2 >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문제 3 >
수컷의 성선과 부성선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문제 4 >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단백질호르몬과 스테로이드호르몬의 작용기작의 차이를 비교하시오.
< 문제 2 >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문제 3 >
수컷의 성선과 부성선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문제 4 >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본문내용
전립선, 요도구선이 있다.
정낭은 방광의 뒤쪽에 위치한다. 정낭 내강의 주위는 여러 개의 작은 방으로 이루어지고, 정낭의 점막 상피는 황색을 띤 유동체를 분비한다. 이 분비물은 사정 시 정관으로 나와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안드로젠 의존성 기관으로 안드로젠이 없으면 분비가 저하되고 안드로젠을 투여하면 회복된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에 위치하며 무게는 약 20g이다. 요도를 둘러싸는 30~50개의 복합관상 포상선이 집합한 것으로 전립선 가운데에 나 있는 구멍을 통해 사정관과 요도가 통과한다. 전립선은 정액의 액체 성분의 30% 이상을 만든다. 전립선 분비액은 정자에게 영양을 공급하며, 정액이 굳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또한 알칼리성으로 산성인 질 속에서 정자를 보호하며, 정액 특유의 냄새를 만든다.
요도구선은 망울요도샘이나 쿠퍼선이라고도 하며 요도구의 뒤족에 위치한다. 크기는 한 쌍의 완두콩 정도이다. 맑은 점액질의 분비액을 만들어내 정자가 요도를 통해 지나가기 쉽도록 도우며 요도에 남아있을 수 있는 소변 등을 내보낸다. 또한 사정 후 요도에 남아있는 정자를 밖으로 내보내기도 한다.
< 문제 4 >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관은 내부 생식기와 외부 생식기로 나뉜다. 내부 생식기는 몸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기관으로 난소, 수란관, 자궁, 자궁경부 등이 있다. 외부 생식기는 몸 밖으로 드러나는 기관으로 질, 음핵, 음순 등이 있다. 사람과 같은 고등 포유류는 대음순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포유류는 소음순만을 가지고 있다.
난소는 일반적으로 자궁 뒤, 난관 아래에 좌우 하나씩 위치한다. 난소는 피질과 속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겉은 표면 상피로 덮여있고 그 아래에는 백색막이 있다. 백색막 밑에 있는 간질에는 간질세포와 난소 여포가 있다. 속질은 난소의 중심부로 혈관, 림프관, 신경 등이 있다. 난소 여포는 성장 정도에 따라 원시여포, 성장 여포, 성숙 여포로 나뉘며 성장 여포는 다시 1차 여포와 2차 여포로 나뉜다. 또한 배란 후 남아 있는 여포벽은 황체로 변한다. 이때 수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월경 황체가 되고, 배란 후 10~12일 후 퇴화하여 백체가 된다. 난소는 생식 기능과 호르몬 분비 기능이 있다. 생식 기능의 경우 난소는 난모세포를 성숙한 난자로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여포를 성숙시켜 배란을 일으킨다. 호르몬 분비 기능의 경우 난소는 에스트로젠,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성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주로 에스트로젠을 분비한다. 또한, 황체호르몬을 분비하는데, 황체호르몬은 자궁점막과 자궁선에 작용해 수정란이 자궁점막에 착상하기 쉽게 만드는 등의 기능을 하며 프로게스테론이 대표적이다.
수란관은 자궁과 난소를 잇는 관으로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자궁관 잘록, 자궁관 팽대, 자궁관 깔대기로 구별되며 벽은 주로 민무늬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꿈틀 운동을 한다. 수란관은 난소에서 배란된 난자를 자궁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자궁은 주머니 모양이고 위로는 수란관이, 아래로는 질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은 자궁과 자궁 경부로 구분된다. 자궁 내막은 표면을 덮는 상피와 그 밑의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장류의 경우 임신이 되지 않으면 월경 주기에 따라 자궁 내막이 증식과 탈락을 반복한다. 영장류가 아닌 포유동물의 경우 임신이 되지 않으면 증식한 자궁 내막이 탈락하는 대신 재흡수된다. 자궁은 태아가 자라 출생할 때까지 보호하며 영양을 공급한다. 수정란은 난관에서 이동하는 동안 세포 분열해 배반포가 되어 자궁 내막에 착상하고 태반을 만든다. 모체는 그를 통해 배아를 양육하고 태반은 임신을 유지하도록 만든다. 자궁 경부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며 자궁의 아래쪽 부분으로 질의 상부와 이어져 있다.
질은 외음부와 자궁 사이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주름이 많아 신축성이 높은 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미 시 수컷의 음경이 삽입되며 출산 시 산도가 된다. 일부 영장류의 경우 질이 비뇨생식굴로 통해 있다. 유인원과 사람의 질은 얇은 외음부 전실로 열려 있다. 질 내부는 산성이며 이는 세균 침입을 막는다.
음핵은 수컷의 음경과 상동기관으로 소음순 사이에 존재한다.
전정선은 질전정에서 점액을 분비하는 기관으로 질구 후측 좌우에 존재한다. 대전정선(바르톨린샘)과 소전정선으로 구별한다.
음순은 질전정을 양쪽에서 에워싸고 있는 피부 주름으로 입술과 같이 생겼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소음순만을 가졌으며, 사람과 고등 포유류는 대음순도 가지고 있다.
정낭은 방광의 뒤쪽에 위치한다. 정낭 내강의 주위는 여러 개의 작은 방으로 이루어지고, 정낭의 점막 상피는 황색을 띤 유동체를 분비한다. 이 분비물은 사정 시 정관으로 나와 정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안드로젠 의존성 기관으로 안드로젠이 없으면 분비가 저하되고 안드로젠을 투여하면 회복된다.
전립선은 방광 아래에 위치하며 무게는 약 20g이다. 요도를 둘러싸는 30~50개의 복합관상 포상선이 집합한 것으로 전립선 가운데에 나 있는 구멍을 통해 사정관과 요도가 통과한다. 전립선은 정액의 액체 성분의 30% 이상을 만든다. 전립선 분비액은 정자에게 영양을 공급하며, 정액이 굳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또한 알칼리성으로 산성인 질 속에서 정자를 보호하며, 정액 특유의 냄새를 만든다.
요도구선은 망울요도샘이나 쿠퍼선이라고도 하며 요도구의 뒤족에 위치한다. 크기는 한 쌍의 완두콩 정도이다. 맑은 점액질의 분비액을 만들어내 정자가 요도를 통해 지나가기 쉽도록 도우며 요도에 남아있을 수 있는 소변 등을 내보낸다. 또한 사정 후 요도에 남아있는 정자를 밖으로 내보내기도 한다.
< 문제 4 >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관은 내부 생식기와 외부 생식기로 나뉜다. 내부 생식기는 몸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기관으로 난소, 수란관, 자궁, 자궁경부 등이 있다. 외부 생식기는 몸 밖으로 드러나는 기관으로 질, 음핵, 음순 등이 있다. 사람과 같은 고등 포유류는 대음순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포유류는 소음순만을 가지고 있다.
난소는 일반적으로 자궁 뒤, 난관 아래에 좌우 하나씩 위치한다. 난소는 피질과 속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겉은 표면 상피로 덮여있고 그 아래에는 백색막이 있다. 백색막 밑에 있는 간질에는 간질세포와 난소 여포가 있다. 속질은 난소의 중심부로 혈관, 림프관, 신경 등이 있다. 난소 여포는 성장 정도에 따라 원시여포, 성장 여포, 성숙 여포로 나뉘며 성장 여포는 다시 1차 여포와 2차 여포로 나뉜다. 또한 배란 후 남아 있는 여포벽은 황체로 변한다. 이때 수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월경 황체가 되고, 배란 후 10~12일 후 퇴화하여 백체가 된다. 난소는 생식 기능과 호르몬 분비 기능이 있다. 생식 기능의 경우 난소는 난모세포를 성숙한 난자로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여포를 성숙시켜 배란을 일으킨다. 호르몬 분비 기능의 경우 난소는 에스트로젠,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성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주로 에스트로젠을 분비한다. 또한, 황체호르몬을 분비하는데, 황체호르몬은 자궁점막과 자궁선에 작용해 수정란이 자궁점막에 착상하기 쉽게 만드는 등의 기능을 하며 프로게스테론이 대표적이다.
수란관은 자궁과 난소를 잇는 관으로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자궁관 잘록, 자궁관 팽대, 자궁관 깔대기로 구별되며 벽은 주로 민무늬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꿈틀 운동을 한다. 수란관은 난소에서 배란된 난자를 자궁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자궁은 주머니 모양이고 위로는 수란관이, 아래로는 질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은 자궁과 자궁 경부로 구분된다. 자궁 내막은 표면을 덮는 상피와 그 밑의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장류의 경우 임신이 되지 않으면 월경 주기에 따라 자궁 내막이 증식과 탈락을 반복한다. 영장류가 아닌 포유동물의 경우 임신이 되지 않으면 증식한 자궁 내막이 탈락하는 대신 재흡수된다. 자궁은 태아가 자라 출생할 때까지 보호하며 영양을 공급한다. 수정란은 난관에서 이동하는 동안 세포 분열해 배반포가 되어 자궁 내막에 착상하고 태반을 만든다. 모체는 그를 통해 배아를 양육하고 태반은 임신을 유지하도록 만든다. 자궁 경부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며 자궁의 아래쪽 부분으로 질의 상부와 이어져 있다.
질은 외음부와 자궁 사이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주름이 많아 신축성이 높은 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미 시 수컷의 음경이 삽입되며 출산 시 산도가 된다. 일부 영장류의 경우 질이 비뇨생식굴로 통해 있다. 유인원과 사람의 질은 얇은 외음부 전실로 열려 있다. 질 내부는 산성이며 이는 세균 침입을 막는다.
음핵은 수컷의 음경과 상동기관으로 소음순 사이에 존재한다.
전정선은 질전정에서 점액을 분비하는 기관으로 질구 후측 좌우에 존재한다. 대전정선(바르톨린샘)과 소전정선으로 구별한다.
음순은 질전정을 양쪽에서 에워싸고 있는 피부 주름으로 입술과 같이 생겼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소음순만을 가졌으며, 사람과 고등 포유류는 대음순도 가지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