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CASE 설명
2.간호진단
3.간호사정
4.간호계획-진단적계획,치료적계획,교육적계획, 각 이론적근거
5.간호수행-진단적수행,치료적수행,교육적수행
2.간호진단
3.간호사정
4.간호계획-진단적계획,치료적계획,교육적계획, 각 이론적근거
5.간호수행-진단적수행,치료적수행,교육적수행
본문내용
시작함
3. 대상자의 수유양상(수유먹는시간, 수유 시 특이사항, 수유량)을 사정한다.
수유먹는시간
수유량
특이사항
5/24 2am
40min
60cc
.
5am
40min
60cc
.
8am
30min
50cc
.
11am
40min
60cc
.
2pm
40min
60cc
.
5pm
30min
50cc
.
8pm
30min
60cc
.
11pm
20min
50cc
.
5/25 2am
20min
60cc
.
5am
20min
50cc
.
4. 대상자의 Input을 사정한다.
Intake
양
5/24 2am
16% PREMATURE MILK
60cc
5am
16% PREMATURE MILK
60cc
7am
neocaf
0.6cc
8am
16% PREMATURE MILK
50cc
11am
16% PREMATURE MILK
60cc
1pm
ferrum kid
0.1cc
2pm
16% PREMATURE MILK
60cc
5pm
16% PREMATURE MILK
50cc
6pm
sunny D
0.05cc
protetics
0.25cc
alvityl syr
0.2cc
8pm
16% PREMATURE MILK
60cc
11pm
16% PREMATURE MILK
50cc
5. WHO 영아표준성장표을 통해 대상자의 발달 정도를 사정함.
-치료적 수행
1. 처방에 따라 16% PREMATURE MILK를 주입함
2. 보호자를 정서적으로 지지하였음
3. 재활의학과에 의뢰하여 처방에 따라 sucking power 재활을 실시함
4. 수유하는 동안 대상자의 상태(청색증, HR, SpO2)를 확인함
5/24
SpO2 90%, HR 90회/분
SpO2 90%, HR 90회/분
SpO2 95%, HR 93회/분
SpO2 96%, HR 95회/분
SpO2 95%, HR 100회/분
5. 수유 시 대상자의 SpO2가 95%~100%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멈추고 95%~100%로 돌아오면 다시 수유함
6. 소화가 잘되게 하기 위해 대상자를 우측위로 체위를 변경함
7. 수유를 먹인 후 머리를 올려줌
8. 수유를 먹인 후 트림을 시켜줌
-교육적 수행
1. 보호자에게 미숙아 수유방법에 대해 교육함 (교육계획안 참고)
<간호 평가 Evaluation>
1.대상자는 Hb(13~17), Hct(39~52), RBC count(4.2~5.6) 수치를 유지함
5/26 혈액검사
Hb
15
Hct
45
RBC count
4.89
5/26 혈액검사
total protein
6.9
albumin
5.0
2.대상자는 total protein(6.5~8.0), albumin(3.5~5.5) 수치를 유지함
3.대상자는 3일 이내 수유 중 SpO2가 95~100%를 유지함
5/24
SpO2 90%, HR 90회/분
SpO2 90%, HR 90회/분
SpO2 95%, HR 93회/분
SpO2 96%, HR 95회/분
SpO2 95%, HR 100회/분
4.대상자는 3일 이내 수유 중 구토를 하지 않음
5.보호자는 교육 후 즉시 미숙아의 수유방법에 대한 OX문제 3개를 다 맞춤
3. 대상자의 수유양상(수유먹는시간, 수유 시 특이사항, 수유량)을 사정한다.
수유먹는시간
수유량
특이사항
5/24 2am
40min
60cc
.
5am
40min
60cc
.
8am
30min
50cc
.
11am
40min
60cc
.
2pm
40min
60cc
.
5pm
30min
50cc
.
8pm
30min
60cc
.
11pm
20min
50cc
.
5/25 2am
20min
60cc
.
5am
20min
50cc
.
4. 대상자의 Input을 사정한다.
Intake
양
5/24 2am
16% PREMATURE MILK
60cc
5am
16% PREMATURE MILK
60cc
7am
neocaf
0.6cc
8am
16% PREMATURE MILK
50cc
11am
16% PREMATURE MILK
60cc
1pm
ferrum kid
0.1cc
2pm
16% PREMATURE MILK
60cc
5pm
16% PREMATURE MILK
50cc
6pm
sunny D
0.05cc
protetics
0.25cc
alvityl syr
0.2cc
8pm
16% PREMATURE MILK
60cc
11pm
16% PREMATURE MILK
50cc
5. WHO 영아표준성장표을 통해 대상자의 발달 정도를 사정함.
-치료적 수행
1. 처방에 따라 16% PREMATURE MILK를 주입함
2. 보호자를 정서적으로 지지하였음
3. 재활의학과에 의뢰하여 처방에 따라 sucking power 재활을 실시함
4. 수유하는 동안 대상자의 상태(청색증, HR, SpO2)를 확인함
5/24
SpO2 90%, HR 90회/분
SpO2 90%, HR 90회/분
SpO2 95%, HR 93회/분
SpO2 96%, HR 95회/분
SpO2 95%, HR 100회/분
5. 수유 시 대상자의 SpO2가 95%~100%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멈추고 95%~100%로 돌아오면 다시 수유함
6. 소화가 잘되게 하기 위해 대상자를 우측위로 체위를 변경함
7. 수유를 먹인 후 머리를 올려줌
8. 수유를 먹인 후 트림을 시켜줌
-교육적 수행
1. 보호자에게 미숙아 수유방법에 대해 교육함 (교육계획안 참고)
<간호 평가 Evaluation>
1.대상자는 Hb(13~17), Hct(39~52), RBC count(4.2~5.6) 수치를 유지함
5/26 혈액검사
Hb
15
Hct
45
RBC count
4.89
5/26 혈액검사
total protein
6.9
albumin
5.0
2.대상자는 total protein(6.5~8.0), albumin(3.5~5.5) 수치를 유지함
3.대상자는 3일 이내 수유 중 SpO2가 95~100%를 유지함
5/24
SpO2 90%, HR 90회/분
SpO2 90%, HR 90회/분
SpO2 95%, HR 93회/분
SpO2 96%, HR 95회/분
SpO2 95%, HR 100회/분
4.대상자는 3일 이내 수유 중 구토를 하지 않음
5.보호자는 교육 후 즉시 미숙아의 수유방법에 대한 OX문제 3개를 다 맞춤
추천자료
신생아 고위험신생아 미숙아 NR 신생아실 케이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미숙아 (Premature infant)
[아동간호학][미숙아][저체중아][Prem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호흡곤란증후군(RDS : Respiratory Distress Syndrom) CASE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 Respiratory Distress Syndrom) 신생아 케이스(case)
[신생아실] 미숙아(Premature infant) & 일과성빈호흡(Transient Tachpnea of Newborn : ...
[고위험 모아간호학 공통]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일과성 빠른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TTN) 간호과정 A+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