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행동주의 학습이론
Ⅱ.인지주의 학습이론
Ⅲ.사회학습이론
Ⅳ.인본주의 학습이론
Ⅴ.구성주의 학습이론
[참고문헌]
Ⅱ.인지주의 학습이론
Ⅲ.사회학습이론
Ⅳ.인본주의 학습이론
Ⅴ.구성주의 학습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주의 학습이론
Ⅱ.인지주의 학습이론
Ⅲ.사회학습이론
Ⅳ.인본주의 학습이론
Ⅴ.구성주의 학습이론
[참고문헌]
Ⅰ.행동주의 학습이론 이성진,「교육심리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1999, pp149-165
1.등장배경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당시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된 학습 이론이다. 당시 심리학은 왓슨(1919)를 중심으로 심리학이 관찰 가능하고 측정할 수 있는 대상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식이 대부분이었다. 그에 따라 파블로프의 조건형성 실험이나 손다이크의 조건형성연구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이러한 심리학의 큰 흐름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2.수동조건형성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수동조건형성은 유기체가 정서적 반응을 통하여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해줄 수 있는 개념이다. 수동조건형성은 파블로프의 개에 대한 실험에서 잘 파악할 수 있는데, 개가 종소리를 듣게 한 뒤 소량의 고기를 주는 상황을 반복시켜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리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종소리’라는 요소와 ‘고기’라는 상황을 짝 짓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조건자극인 종소리가 조건반응인 타액 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건반응은 조건자극과 조건반응의 빈도 및 시간 간격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파블로프의 실험을 학습에 대하여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정서적 반응은 대부분 수동조건형성에 따라 학습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될 수 있는 정서적 반응 중 강력하고 엉뚱한 반응인 공포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수동조건형성은 TV 등의 매체를 통해서도 시청자의 무의식중에 형성될 수 있다.
3.작동조건형성
작동조건형성은 인간의 모든 행동을 수동조건형성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손다이크는 이러한 해결법을 찾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학습자가 다양한 반응을 수행하다가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했을 경우 그 반응을 학습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반응을 시도해 보는 것을 시행착오학습이라고 하며, 성공적인 반응을 통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였을 경우 그것을 도구적 조건형성이라고 한다.
도구적 조건형성의 가장 큰 특징은 그것이 문제를 해결하였을 경우 특정한 보상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실험의 예시가 스키너의 상자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 스키너는 자신이 제작한 스키너 상자를 통해 비둘기가 표적을 정확하게 쪼았을 경우 먹이가 자동적으로 떨어지도록 하였다. 비둘기는 이를 통해 표적을 쪼면 먹이가 주어진다는 반응을 파악하게 되고, 그것을 반복함에 따라서 표적을 쪼는 것을 학습한다. 스키너는 비둘기가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여 먹이를 얻어내는 특정 행동을 형성했다고 하여 그 학습과정을 작동조건형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수동조건형성의 경우 무조건 반사를 중심으로 특정 자극이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작동조건형성에서는 자극 없이도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수동조건형성의 경우 반응의 확률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작동조건형성의 경우 그러한 반응의 결과가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Ⅱ.인지주의 학습이론 이성진,「교육심리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1999,pp172-185
1.개념
행동주의 학습이론이 인간이 보일 수 있는 자극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두었다면,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의 성립 및 그에 대한 변용에 관심을 가지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인지이론은 베르타이머(M.Wertheimer)가 1912년 형태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등장한 개념인데, 이는 인간의 지각 및 학습이 기계적인 연쇄 반응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부분들이 각각의 관계에 따라서 조직을 이루어 전체가 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을 의미한다. 형태주의이론은 지각이 가까운 곳에서 시작된다는 근접의 법칙, 지각장면에 존재하는 요소가 비슷한 것끼리 결합된다는 유사의 법칙, 닫혀있는 영역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더 안정된 것으로 인식된다는 폐쇄의 법칙, 계속성을 가지고 있는 자극은 연속 및 방향을 가진다는 계속성의 법칙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초기 인지주의 학습이론
앞서 살펴본 형태주의이론에 깊은 영향을 받은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초기 대표적인 이론이
Ⅱ.인지주의 학습이론
Ⅲ.사회학습이론
Ⅳ.인본주의 학습이론
Ⅴ.구성주의 학습이론
[참고문헌]
Ⅰ.행동주의 학습이론 이성진,「교육심리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1999, pp149-165
1.등장배경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당시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된 학습 이론이다. 당시 심리학은 왓슨(1919)를 중심으로 심리학이 관찰 가능하고 측정할 수 있는 대상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식이 대부분이었다. 그에 따라 파블로프의 조건형성 실험이나 손다이크의 조건형성연구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이러한 심리학의 큰 흐름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2.수동조건형성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수동조건형성은 유기체가 정서적 반응을 통하여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해줄 수 있는 개념이다. 수동조건형성은 파블로프의 개에 대한 실험에서 잘 파악할 수 있는데, 개가 종소리를 듣게 한 뒤 소량의 고기를 주는 상황을 반복시켜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리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종소리’라는 요소와 ‘고기’라는 상황을 짝 짓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조건자극인 종소리가 조건반응인 타액 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건반응은 조건자극과 조건반응의 빈도 및 시간 간격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파블로프의 실험을 학습에 대하여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정서적 반응은 대부분 수동조건형성에 따라 학습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될 수 있는 정서적 반응 중 강력하고 엉뚱한 반응인 공포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수동조건형성은 TV 등의 매체를 통해서도 시청자의 무의식중에 형성될 수 있다.
3.작동조건형성
작동조건형성은 인간의 모든 행동을 수동조건형성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손다이크는 이러한 해결법을 찾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학습자가 다양한 반응을 수행하다가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했을 경우 그 반응을 학습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반응을 시도해 보는 것을 시행착오학습이라고 하며, 성공적인 반응을 통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였을 경우 그것을 도구적 조건형성이라고 한다.
도구적 조건형성의 가장 큰 특징은 그것이 문제를 해결하였을 경우 특정한 보상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실험의 예시가 스키너의 상자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 스키너는 자신이 제작한 스키너 상자를 통해 비둘기가 표적을 정확하게 쪼았을 경우 먹이가 자동적으로 떨어지도록 하였다. 비둘기는 이를 통해 표적을 쪼면 먹이가 주어진다는 반응을 파악하게 되고, 그것을 반복함에 따라서 표적을 쪼는 것을 학습한다. 스키너는 비둘기가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여 먹이를 얻어내는 특정 행동을 형성했다고 하여 그 학습과정을 작동조건형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수동조건형성의 경우 무조건 반사를 중심으로 특정 자극이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작동조건형성에서는 자극 없이도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수동조건형성의 경우 반응의 확률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작동조건형성의 경우 그러한 반응의 결과가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Ⅱ.인지주의 학습이론 이성진,「교육심리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1999,pp172-185
1.개념
행동주의 학습이론이 인간이 보일 수 있는 자극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두었다면,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의 성립 및 그에 대한 변용에 관심을 가지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인지이론은 베르타이머(M.Wertheimer)가 1912년 형태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등장한 개념인데, 이는 인간의 지각 및 학습이 기계적인 연쇄 반응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부분들이 각각의 관계에 따라서 조직을 이루어 전체가 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을 의미한다. 형태주의이론은 지각이 가까운 곳에서 시작된다는 근접의 법칙, 지각장면에 존재하는 요소가 비슷한 것끼리 결합된다는 유사의 법칙, 닫혀있는 영역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더 안정된 것으로 인식된다는 폐쇄의 법칙, 계속성을 가지고 있는 자극은 연속 및 방향을 가진다는 계속성의 법칙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초기 인지주의 학습이론
앞서 살펴본 형태주의이론에 깊은 영향을 받은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초기 대표적인 이론이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4학년]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
교육심리학 기말]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교육심리학 2021 기말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
교육심리학 기말]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2021 교육심리학 기말 -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
2021 교육심리학 기말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
[교육심리학 기말과제 2021]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교육심리학 2021 기말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