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통증으로 남동생이 주는 돈에 의존하고 있다.
IP는 누적된 감정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를 상실한 슬픔과 아버지에게 냉담했던 어머니를 원망하는 마음이 있으며, 자신을 남동생보다 훨씬 신경 쓰며 돌봐주는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과 동시에 장애를 자책하는 마음도 있다. 이처럼 가족에게 느낀 감정을 승화하거나 해소하지 못한 채 누적되어 예민하며 쉽게 분노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트레스나 갈등상황에서 평소에는 참다가 술을 많이 마셔 자신의 감정을 부인하고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며 감정 표출을 하는 경향이 있다. 친구들과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고, 사회활동에서는 반복되는 좌절 경험을 겪었다. 이를 본인의 대응 방법이 아닌 장애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억울함과 분노를 느끼며 수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애 때문에 돈도 벌지 못하고 결혼을 하지 못했다고 여기고 있다. 이처럼 IP에게는 성공적인 경험이 적어 장애를 원인을 생각하며 자존감이 상당히 낮은 상태다. 가족들에게 본인을 자책하고 낮추며, 이를 통해 상대가 공격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으로 주로 대응하는데, 본인이나 가족의 심정에 무리가 가고 있어 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가족들은 IP를 주로 동정하여 보통 많이 참아주었으며, 어머니는 같이 자책하는 등으로 IP를 제지하지 못한 채 반복해 왔다.
이 때문에 현재 IP는 사회적 경험을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거나 갈등에 합리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워 보인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과 관계 속에서 어떻게 해야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지를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해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IP의 갈등상황이 같은 패턴으로 반복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가족들의 부담이 계속해서 누적될 것이다. 술도 조절이 필요해 보이며 특히 어머니와의 갈등에는 중재를 통해 좀 더 안정적인 관계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남동생에게 소득을 의존하고 있어, IP가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일정 소득을 얻으면 생활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스스로 자신감을 향상할 수 있는 계기도 될 수 있다. 구직의 기회를 비롯해 기술 교육 등으로 장애와 관계없이 일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기경희, 김광수. (2018).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IP는 누적된 감정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를 상실한 슬픔과 아버지에게 냉담했던 어머니를 원망하는 마음이 있으며, 자신을 남동생보다 훨씬 신경 쓰며 돌봐주는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과 동시에 장애를 자책하는 마음도 있다. 이처럼 가족에게 느낀 감정을 승화하거나 해소하지 못한 채 누적되어 예민하며 쉽게 분노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트레스나 갈등상황에서 평소에는 참다가 술을 많이 마셔 자신의 감정을 부인하고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며 감정 표출을 하는 경향이 있다. 친구들과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고, 사회활동에서는 반복되는 좌절 경험을 겪었다. 이를 본인의 대응 방법이 아닌 장애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억울함과 분노를 느끼며 수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애 때문에 돈도 벌지 못하고 결혼을 하지 못했다고 여기고 있다. 이처럼 IP에게는 성공적인 경험이 적어 장애를 원인을 생각하며 자존감이 상당히 낮은 상태다. 가족들에게 본인을 자책하고 낮추며, 이를 통해 상대가 공격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으로 주로 대응하는데, 본인이나 가족의 심정에 무리가 가고 있어 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가족들은 IP를 주로 동정하여 보통 많이 참아주었으며, 어머니는 같이 자책하는 등으로 IP를 제지하지 못한 채 반복해 왔다.
이 때문에 현재 IP는 사회적 경험을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거나 갈등에 합리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워 보인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과 관계 속에서 어떻게 해야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지를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해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IP의 갈등상황이 같은 패턴으로 반복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가족들의 부담이 계속해서 누적될 것이다. 술도 조절이 필요해 보이며 특히 어머니와의 갈등에는 중재를 통해 좀 더 안정적인 관계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남동생에게 소득을 의존하고 있어, IP가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일정 소득을 얻으면 생활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스스로 자신감을 향상할 수 있는 계기도 될 수 있다. 구직의 기회를 비롯해 기술 교육 등으로 장애와 관계없이 일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기경희, 김광수. (2018).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론)관계형성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과 관계형성, 원조관계형성의 구성요소, 관...
[2020 사회복지실천론3공통][기말시험] 1.( ) 안에 들어갈 사회복지실천 관련 이론적 관점...
2020년 2학기 사회복지실천론 기말시험 과제물(혼합형 문제)
사회복지실천론 사2 목차 1. ( ) 안에 들어갈 사회복지실천 관련 이론적 관점은? (5...
사회복지실천론 기말 2020년]1. 안에 들어갈 사회복지실천 관련 이론적 관점은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론] 2020년 기말시험(온라인 평가), 사회복지학과 3학년 과제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사회복지실천론(공통)(사회복지실천이론,핀커스...
202사회복지실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