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현장을찾아서 ) 교재 제4부 ‘근대화와 도시의 변모’를 참고하여 자신의 거주하는 지역을 답사하면서 근현대시기동안 변모의 흐름을 찾아볼 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의현장을찾아서 ) 교재 제4부 ‘근대화와 도시의 변모’를 참고하여 자신의 거주하는 지역을 답사하면서 근현대시기동안 변모의 흐름을 찾아볼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역사의현장을찾아서
1. 교재 제4부 ‘근대화와 도시의 변모’를 참고하여 자신의 거주하는 지역을 답사하면서 근현대시기동안 변모의 흐름을 찾아볼 것.
2. 답사를 하기 어려운 경우 교재 제 4부에서 사례로 든 인천, 대전, 대구 세 도시의 근대화시기 변모의 양상을 비교할 것.


목차

1. 김포시의 역사

2. 김포시에 있는 근현대사의 흔적

2-1. 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甲串나루船着場石築路)
2-2. 통진이청
2-3. 김포의 포구(마근포, 강령포)

3. 소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는 3개의 포구 중에서 개성이 가장 큰 포구라고 한다. 관문이기도 했었던 영정포를 오고가는 나룻배가 정기적으로 운행이 되었으며,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과 강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배경을 두고서 기생 이계월에 대한 이야기도 전해져 오고 있다. 개성에서 조강을 건너서 강녕포에서 활동을 하던 그녀의 명성이 서울까지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강녕포로 모인 적이 있다고 한다. 그로 인해서 강령포는 이계월촌으로 불리기까지 했다고 한다. 하지만 강령포의 주변에는 암석이 많기 때문에 사고가 잦았던 곳이기도 하다. 1917년 12월과 1930년 8월에 있었던 난파 사건은 매일신보에서 다룰 정도로 큰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강령포는 근대까지 포구로써의 역할을 하다가 1900년 중반에 많은 잦은 사고로 운행이 금지되고, 현재에의 마을에는 군부대가 위치하고 있어서 과거의 마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마근포의 경우 조강포의 동측의 하성면에 위치했던 포구로 조강연안의 신흥강자로 떠오르고 있었다. 강령포와 같이 조강을 대표하는 표구로 3개의 포구중에 가장 늦게 성장을 한 포구이다. 마근포는 한강을 거슬러 올라 서울로 가거나 강을 건너 개풍군 임한면 정곶리의 사이를 왕래하는 사람들로 항상 북적였다. 주민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포구가 있었던 마을에는 주막이 4개 있었으며, 시장이 열릴 정도로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마근포에서 주로 잡히는 어종은 웅어, 새우, 까나리 등이 있었다. 1900년대에 한국이 일제의 침략을 받아서 식민지로 지배를 받을 때에는 가마니 창고와 쌀 창고 등으로 사용이 되었다고 한다. 서울로 올라가는 배들은 마근포에 정박을 하지 않고, 수심이 깊은 곳에서 대기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식수 또는 물품리 필요할 때에는 작은 전마선을 타고 포구를 왔다 갔다 했다고 한다. 마근포는 근현대까지 계속 운연이 되다가 1968년에 북한의 공작원 일당이 청와대를 습격하고, 그로부터 2년 후인 1970년에 마근포의 제방에 철 책선을 설치하면서 민간인들이 들어갈 수 없는 곳이 되었다. 현재의 마근포는 한국전쟁 이후로 주민들이 모두 이주하면서 문서상에만 남아 있는 빈 공간이 되어있었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서 더 이상 수운교통은 지배적인지 않아졌다. 현재는 다리를 통해서 자동차로 이동을 하기 때문에 과거에 있던 포구들은 현재 형태만 남아있거나 대부분이 없어졌고, 포구 근처에 있던 마을 또한 사라져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거나, 다른 용도(군사 시설 등)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포구의 근처에서는 많은 해산물이 잡혔기 때문에 당시에 살던 사람들은 많은 이익을 볼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시장이 발달했다. 또한 포구의 근처에는 젓갈 등의 식품을 보존이 필요했기 때문에 주변에는 많은 냉동고가 존재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포구 근처에서 생물을 잡지 않고, 근처의 냉동고를 사용하지도 않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현재에는 과거와 같이 많은 생물이 잡히지 않고, 전쟁 이후로 많은 주민들이 마을을 떠나 피난했기 때문에 사라져 버린 포구의 흔적들은 현재로썬 더 찾아보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3. 소감
이번 과제를 통해서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근현대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과제에서 서술한 장소 이외에도 근현대에 지어졌다가 사라진 건물의 터와 근현대에 새롭게 지어져서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건물들이 김포시 곳곳에 있었다. 각 시대에 따라서 건물의 모습과 역할이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과거에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의 요충지로 사용이 되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사라지게 된 건물과 장소들은 왠지 마음이 측은해지는 것 같았다. 책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방문을 하면서, 조사를 통해서 과제를 작성하다 보니 근현대사와 과거의 역사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이해하고, 전에 배웠던 역사의 내용을 다시 한번 복습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거 같다.
4. 참고문헌
김포시 사우동 홈페이지
https://www.gimpo.go.kr/portal/contents.do?key=3333
통진이청 방문 사진
https://younghwan12.tistory.com/4529#recentComments
김포문화재단
https://www.gcf.or.kr/modules/board/bd_view.html?id=patch_doc&mc_code=211110&p=1&or=bd_order&al=asc&no=5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