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셜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이 개념이 자신의 삶과 사회의 변화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피력하시오.
2. 소설 [보바리 부인]을 읽고, 소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세 가지 이상의 사례를 들어 이 소설이 영화적 기법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자세히 분석하시오.
2. 소설 [보바리 부인]을 읽고, 소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세 가지 이상의 사례를 들어 이 소설이 영화적 기법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자세히 분석하시오.
본문내용
다. 재산이 경매에 붙여지는 동안에도 샤를르는 엠마의 방은 예전처럼 지켜냈다. 엠마의 물건을 살피던 샤를르는 레옹의 편지를 발견하고 괴로워했다. 엠마의 불륜을 알고서도 샤를르는 엠마를 그리워했다. 레옹은 젊은 여자와 약혼을 했고 바람둥이 로돌프는 엠마가 죽은 이후에도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샤를르는 마지막 재산을 내다팔고 운명을 달리하고 말았다.
엠마는 로돌프의 유혹에 빠져들때도, 레옹의 유혹에 빠져들때도 이성적으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뿌리칠 의지가 부족했다. 그래서 결국 모든 유혹에 넘어가고 말았다. 그런 엠마를 통해 사회적 현실, 부르주아지를 비판, 조롱하면서 사실주의 소설의 토대를 마련했다. 소설 ‘보바리부인’은 인간의 헛된 욕망과 거짓이 지금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쓸쓸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이 헛헛했다. 또 과연 샤를르가 엠마의 기분을 조금 더 잘 알아주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만 더 눈치가 빨랐더라면 이렇게까지 비극은 되지 않았을 것 같은 느낌이다.
영화에는 몽타주 기법이라는 것이 있다. 필름 편집, 영화의 구성과 기술에 관한 이론으로 몽타주는 원래 ‘조립’ 하는 것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나온 말이다. 예를 들어 빵, 커피, 시계, 지갑, 신발 등 6개의 연결 컷 만으로 외출준비 장면임을 짐작하게 만드는 것이다.
엠마와 로돌프는 함께 만나 떠나기로 약속한다. 엠마는 로돌프와 약속한 시간이 다가오자 떠날 준비를 열심히 했지만 로돌프는 그런 엠마에게 편지가 담긴 살구 바구니를 보낸다. 이 장면을 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여 촬영하면 어떨까? 엠마와 로돌프의 반대적인 행동들이 더더욱 강조되어 잘 보여질 것 같다. 이렇게 몽타주 기법은 역동적이거나 다른 의미를 부여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디테일에 포커스를 맞춘 쇼트들은 영상을 풍부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영상을 실제처럼 보이게 한다. 이런 종류의 추가적인 디테일 영상을 ‘B-롤’이라 부른다. 농구 선수와의 인터뷰 영상을 만든다면 ‘B-롤’은 그 선수가 자유투를 던지는 영상이나 혹은 환호하는 팬들의 모습, 공을 들어 올리는 그의 손을 클로즈업한 영상이 될 것이다. 디테일을 잘 사용한 쇼트들은 마치 섬세한 붓질로 그린 인상파 그림과도 같다. 그런 디테일을 통해 영상은 부분의 합보다 더 풍부해질 수 있다. 우리의 눈은 본능적으로 그런 정보를 입수하기 때문에 그런 디테일을 알아챌 수 있다. 샤를르가 이폴리트의 안짱다리 수술을 할 때를 생각해보자. 엠마는 수술이 잘 되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도하고 있다. 샤를르도 부인의 기대에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고, 이폴리트는 무서워 하지만 안짱다리 수술을 받고 있다. 주인공들의 이마에 땀이 흐르고 있다. 같은 간절함이지만 속으로 생각하고 있는 점은 다 다르다. 하지만 이런 디테일을 통해 영상은 부분의 합보다 더 풍부해 질수 있다. 이렇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디테일이 많을수록 영상은 더 좋아진다.
소설 ‘보바리부인’은 인물들의 표정 안에 주요한 서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인물들의 클로즈업에 신경을 많이 쓰는게 좋을 것 같다. 얼굴 안의 암부와 명부의 경계가 반반으로 명확한 클로즈업을 많이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엠마, 샤를르, 로돌프, 레옹, 뢰르 개성이 다들 뚜렷한 주인공들의 기분 변화와 심리 상태 변화를 클로즈업을 활용하여 촬영한다면 더더욱 생동감있고 눈동자까지 그 인물의 감정을 느낄수 있는 장면들이 많이 나올 것 같다. 처음 엠마가 왕자님처럼 샤를르를 보는 장면, 로돌프와 레옹에게 감정의 소용돌이를 느끼며 유혹에 넘어가는 장면, 샤를르가 엠마가 죽고난 다음 엠마의 방에서 레옹의 편지를 발견하는 장면 등 클로즈업으로 인물의 감정을 더 세세하게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 참고문헌
당신을 공유하시겠습니까?
글/구본권 출판사/어크로스 2014년 10월 10일 인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222672
촬영감독이 묻고 촬영감독이 답하다
(사)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출판사/보라코끼리 2018년 11월 22일 인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143083
형편없는 영상을 만들지 않는 방법
글/스티브스톡맨 출판사/비즈앤비즈 2019년 1월 25일 인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467868
엠마는 로돌프의 유혹에 빠져들때도, 레옹의 유혹에 빠져들때도 이성적으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뿌리칠 의지가 부족했다. 그래서 결국 모든 유혹에 넘어가고 말았다. 그런 엠마를 통해 사회적 현실, 부르주아지를 비판, 조롱하면서 사실주의 소설의 토대를 마련했다. 소설 ‘보바리부인’은 인간의 헛된 욕망과 거짓이 지금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쓸쓸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이 헛헛했다. 또 과연 샤를르가 엠마의 기분을 조금 더 잘 알아주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만 더 눈치가 빨랐더라면 이렇게까지 비극은 되지 않았을 것 같은 느낌이다.
영화에는 몽타주 기법이라는 것이 있다. 필름 편집, 영화의 구성과 기술에 관한 이론으로 몽타주는 원래 ‘조립’ 하는 것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나온 말이다. 예를 들어 빵, 커피, 시계, 지갑, 신발 등 6개의 연결 컷 만으로 외출준비 장면임을 짐작하게 만드는 것이다.
엠마와 로돌프는 함께 만나 떠나기로 약속한다. 엠마는 로돌프와 약속한 시간이 다가오자 떠날 준비를 열심히 했지만 로돌프는 그런 엠마에게 편지가 담긴 살구 바구니를 보낸다. 이 장면을 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여 촬영하면 어떨까? 엠마와 로돌프의 반대적인 행동들이 더더욱 강조되어 잘 보여질 것 같다. 이렇게 몽타주 기법은 역동적이거나 다른 의미를 부여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디테일에 포커스를 맞춘 쇼트들은 영상을 풍부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영상을 실제처럼 보이게 한다. 이런 종류의 추가적인 디테일 영상을 ‘B-롤’이라 부른다. 농구 선수와의 인터뷰 영상을 만든다면 ‘B-롤’은 그 선수가 자유투를 던지는 영상이나 혹은 환호하는 팬들의 모습, 공을 들어 올리는 그의 손을 클로즈업한 영상이 될 것이다. 디테일을 잘 사용한 쇼트들은 마치 섬세한 붓질로 그린 인상파 그림과도 같다. 그런 디테일을 통해 영상은 부분의 합보다 더 풍부해질 수 있다. 우리의 눈은 본능적으로 그런 정보를 입수하기 때문에 그런 디테일을 알아챌 수 있다. 샤를르가 이폴리트의 안짱다리 수술을 할 때를 생각해보자. 엠마는 수술이 잘 되기를 간절히 바라며 기도하고 있다. 샤를르도 부인의 기대에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고, 이폴리트는 무서워 하지만 안짱다리 수술을 받고 있다. 주인공들의 이마에 땀이 흐르고 있다. 같은 간절함이지만 속으로 생각하고 있는 점은 다 다르다. 하지만 이런 디테일을 통해 영상은 부분의 합보다 더 풍부해 질수 있다. 이렇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디테일이 많을수록 영상은 더 좋아진다.
소설 ‘보바리부인’은 인물들의 표정 안에 주요한 서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인물들의 클로즈업에 신경을 많이 쓰는게 좋을 것 같다. 얼굴 안의 암부와 명부의 경계가 반반으로 명확한 클로즈업을 많이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엠마, 샤를르, 로돌프, 레옹, 뢰르 개성이 다들 뚜렷한 주인공들의 기분 변화와 심리 상태 변화를 클로즈업을 활용하여 촬영한다면 더더욱 생동감있고 눈동자까지 그 인물의 감정을 느낄수 있는 장면들이 많이 나올 것 같다. 처음 엠마가 왕자님처럼 샤를르를 보는 장면, 로돌프와 레옹에게 감정의 소용돌이를 느끼며 유혹에 넘어가는 장면, 샤를르가 엠마가 죽고난 다음 엠마의 방에서 레옹의 편지를 발견하는 장면 등 클로즈업으로 인물의 감정을 더 세세하게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 참고문헌
당신을 공유하시겠습니까?
글/구본권 출판사/어크로스 2014년 10월 10일 인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222672
촬영감독이 묻고 촬영감독이 답하다
(사)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출판사/보라코끼리 2018년 11월 22일 인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143083
형편없는 영상을 만들지 않는 방법
글/스티브스톡맨 출판사/비즈앤비즈 2019년 1월 25일 인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467868
추천자료
현대의서양문화 1. 소셜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이 개념이 자신의 삶과 사회의 변...
(2020-2학기 경영학과 기말고사) 현대의서양문화-1. 소셜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이 ...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현대의서양문화(공통)(소셜네트워크, 보바리부인)
현대의서양문화 ) 소설 보바리 부인을 읽고, 소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세 가지 이상...
3현대의서양문화 ) 소설 [보바리 부인]을 읽고, 소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세 가지 ...
현대의 서양문화 ) 소설 [보바리 부인]을 읽고, 소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 세 가지 이상...
현대의 서양문화 ) 소셜 네트워크라는 개념설명을 하고, 이 개념이 자신의 삶과 사회의 변화 ...
현대의 서양문화 ) 소셜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이 개념이 자신의 삶과 사회의 변화 ...
현대의서양문화 ) 소설 [보바리 부인]을 읽고, 소설의 전체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세 가지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