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면서-패러다임이란? 지역사회복지란?
2. 가운데-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방향
1)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의 환경 변화
2)지역사회복지의 실천방향
3. 닫으며-(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
2. 가운데-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방향
1)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의 환경 변화
2)지역사회복지의 실천방향
3. 닫으며-(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
본문내용
복지시설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전문 인력의 채용이 계속 광범위해지는 추세이다
3. 닫으며-(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나의 생각
첫째, 우리나라 전체 사회복지가 되었건 지역사회복지가 되었건 복지수요와 복지공급 간의 간극이 좁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필요한 복지수요와 대응 및 실천 가능한 복지공급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정의 및 정리가 필요한 것 같다. 둘째, 이미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해서도 반드시 그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이 이루어져서 사각지대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적극적인 발굴을 하는데 있어 사회복지인력이 부족하다면 현재 확충되어 있는 유관 기관과 지역주민의 협조·협력을 통해서 ‘찾아가는(발굴하는) 서비스’를 좀 더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에 대해 배우고 있는 중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사회복지 관련 이론, 연구, 분야(영역), 프로그램 등이 너무 많이 중복되어 있는 것 같다. 중복되고 교차되는 부분들에 대한 정리 및 통합을 통해 실천현장에서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반드시 제고해 봐야할 것 같다. 넷째, 공적 및 사적 사회복지 실천 기관들과 전문가들 그리고 일선 담당인력들과의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실천에 대한 목적, 목표, 이념, 가치 등을 공유해서 대상자들에게 최선의 복지서비스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되었건 지방자치단체가 되었건 민간단체가 되었건 관련 기관들이 재정적인 부분에 대해서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주민자원을 이끌어내야 한다면 더욱 더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1.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복지학사전, 2009. 8. 15., 이철수> 패러다임
2. 네이버 지식백과> 학문명백과:사회과학, 최천규> 지역사회복지
3. 본 강의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1주차 1차시> 지역사회복지
4. 본 강의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1주차 2차시> 지역사회복지의 환경변화
5. 참여연대(www.peoplepower21.org), 사회복지사무소에 대한 기대, 강혜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연구원
6. 김영모 편, 지역사회복지론, 고헌출판부, 2001.
7. 박광준, “21세기 사회복지와 지방정부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 1999년 춘계학 술대회자료집, 1999.
8. 박태영, 지역사회 복지론, 현학사, 2003.
3. 닫으며-(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나의 생각
첫째, 우리나라 전체 사회복지가 되었건 지역사회복지가 되었건 복지수요와 복지공급 간의 간극이 좁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필요한 복지수요와 대응 및 실천 가능한 복지공급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정의 및 정리가 필요한 것 같다. 둘째, 이미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해서도 반드시 그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이 이루어져서 사각지대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적극적인 발굴을 하는데 있어 사회복지인력이 부족하다면 현재 확충되어 있는 유관 기관과 지역주민의 협조·협력을 통해서 ‘찾아가는(발굴하는) 서비스’를 좀 더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에 대해 배우고 있는 중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사회복지 관련 이론, 연구, 분야(영역), 프로그램 등이 너무 많이 중복되어 있는 것 같다. 중복되고 교차되는 부분들에 대한 정리 및 통합을 통해 실천현장에서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반드시 제고해 봐야할 것 같다. 넷째, 공적 및 사적 사회복지 실천 기관들과 전문가들 그리고 일선 담당인력들과의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실천에 대한 목적, 목표, 이념, 가치 등을 공유해서 대상자들에게 최선의 복지서비스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되었건 지방자치단체가 되었건 민간단체가 되었건 관련 기관들이 재정적인 부분에 대해서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주민자원을 이끌어내야 한다면 더욱 더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1.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복지학사전, 2009. 8. 15., 이철수> 패러다임
2. 네이버 지식백과> 학문명백과:사회과학, 최천규> 지역사회복지
3. 본 강의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1주차 1차시> 지역사회복지
4. 본 강의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1주차 2차시> 지역사회복지의 환경변화
5. 참여연대(www.peoplepower21.org), 사회복지사무소에 대한 기대, 강혜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연구원
6. 김영모 편, 지역사회복지론, 고헌출판부, 2001.
7. 박광준, “21세기 사회복지와 지방정부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 1999년 춘계학 술대회자료집, 1999.
8. 박태영, 지역사회 복지론, 현학사, 2003.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영국 지역 사회 복지의 역사에서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을 비교 서술하시오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의 개념 및 유형과 지역사회분석의 이론을 구분하여 우리가 지역사회복지론을 공부하...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의 개념 및 유형을 정리하고 지역사회분석의 이론을 구분하여 우리...
지역사회 복지론(사회복지 공동모금회에 대한 발전방향)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갈등이론의 장단점에 대하여 논하시오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우리가 반드시 지역사회복지론을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우리가 반드시 지역사회복지론을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그렇다면 그...
지역사회복지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