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생활문화론 ) 동아시아 생활문화의 지속과 변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생활문화론 ) 동아시아 생활문화의 지속과 변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분석 대상 소개, 선정이유 – 교복
2. 교복의 역사적 배경과 자체적 특성
3. 교복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 교복의 위치
4. 교복에도 영향을 끼쳤던 일본의 문화제국주의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0년대 일본이 여학생들의 한복 교복의 착용을 금지하고 세일러복 착용을 강요하였던 것과 더불어 남학생들의 교복을 회색, 검은색과 같은 단색의 교복을 착용하게 하여 그들의 군국주의적 위압을 주었다. 특히 한복 교복을 착용하지 못하게 한 것은 우리나라의 민족정신과 민족 문화를 억압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주입하려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복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광복 이후에도 교복이 비슷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 계기라고 생각하였다.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의 교복 문화가 침략당하여 일본의 교복 문화에 포함된 문화적 침략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당시 일본에서 강압적으로 시행하였던 교복 문화의 변경을 이겨내고 우리의 문화를 유지할 수 있었더라면 교복의 형태가 다르게 발전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는 바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비교하였을 때 희귀한 문화인 교복 문화가 일본에 의해 변질되어버린 안타까운 사례의 생활문화라고 생각하였다.
Ⅲ. 결론
교복은 전세계는 물론 동아시아에서도 희귀 형태의 생활 문화이다. 학생들을 위한 복장이자 학생들의 단합과 통일감을 위해 만들어진 교복은 현재도 지속되어 학생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의 학생들은 이러한 교복 문화에 대해 많은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긍정적인 이미지보다 부정적인 이미지로 소비되고 있는 실적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교복 문화는 그 역사와 전통이 생각보다 오래되었으며 일본에도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 본래의 교복 문화는 조금 변질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가지게 된 교복은 현재도 우리가 일본에 영향을 받아서 이렇게 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교복의 디자인이나 교복의 억압적인 이미지를 벗을 수 있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앞으로도 계속하여 만들어질 교복은 학생들을 위해 그리고 일본 억압의 이미지를 피하고자 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Ⅳ. 참고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교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480
두산백과사전. 교복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7270
채금석(2014.03). 학생들의 전유물, 교복의 역사를 말하다. 조선 인사이드 라이프
http://newsplu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28/2014032801095.html
국가기록원. 교복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schoolUniform.do
김현화(2007). 중·고등학생의 의복태도 및 교복착용에 대한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1029409
구대선(2016.08). 일제 ‘민족정신 말살’ 교육자료 5점 발견.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756226.html#cb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10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