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이 되는 복사기의 경우 색깔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보면 옅은 연두색으로 인쇄를 하면 노란색으로 복사가 된다. 따라서 현재의 복사 기술의 한계를 이용해 잉크의 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지폐의 잉크에는 일반 빛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자외선을 쏘면 색깔이 난다거나, 금속의 성분을 넣어서 반짝여 보이지만 복사를 하면 반짝임이 사라지는 등의 방법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각도에 따라서 색깔이 달라져 보이는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강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새로 나온 오천 원권에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오천 원권의 뒷면 오른쪽 아랫부분에 5,000원을 숫자는 위에서 보면 갈색으로 약간 아래에서 보면 초록색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도 사람이 그려져 있는 지폐의 앞면 오른쪽 밑 부분에 이와 같은 잉크를 사용해 숫자를 표기했다. 복사기의 경우 한 방향으로 나오는 색깔만 복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색의 변화까지 복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도에 따라서 잉크의 색이 달라지는 것은 빛의 간선협상으로 인해서 색이 달라지는 모르포 나비의 물리화학적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모르포 나비의 경우 날개 아래 부분은 갈색이지만, 위쪽은 날개 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간섭하여 밝은 파란색으로 보인다. 거기에다 보는 각도와 날개의 움직임에 따라서 색이 변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모르포 나비의 날개가 얇은 막들이 여러 겹으로 쌓여 있기 때문이다. 날개에 흰빛을 쏘고 위에서 바라보면 파랑색과 연두색 사이의 빛은 강한 보강 간섭을 일으킨다. 반면에 노란색과 붉은색 영역의 빛은 적당한 간섭이 일어나서 빛의 세기가 약해진다. 따라서 나비의 날개 색이 윗부분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약간 기울어진 옆에서 보면 기울어진 경로에 따라서 온 빛이 다른 경로를 지나가게 되면서 완전한 보강 가섭이 일어나도 빛의 파장은 변하게 된다. 그래서 날개의 움직임에 따라서 보는 각도가 변하며 날개 색이 변하는 것이다.
현재 지폐에 사용하는 잉크는 모르포 나비의 원리와 아주 비슷하다. 색이 달라 보이는 잉크의 단면을 보면 잉크, 크롬, 불화마그네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롬 층에서 그리 좋지 않은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알루미늄의 층에서는 더 좋은 거울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불화마그네슘을 비누막의 역할을 하는데, 해당 결과 각각의 경계면에서 위로 반사되는 빛들이 다시 잉크를 통과해 나가면서 이 빛들이 우리가 눈으로 볼 때 서로 간섭되어 보이게 된다. 여기서 어떠한 빛이 보강 간섭을 일으킬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불화마그네슘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색이 변하는 오천 원권 지폐의 경우 위에서 보면 갈색 근처에서 보강 간섭이 가장 크게 일어나며, 옆에서 볼 때는 초록색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불화마그네슘의 두께를 정했기 때문에 보는 시야과 각도를 다르게 하면 색이 변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행복한 물리여행, 최준곤, 이다미디어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9ff94aee38282178ffe0bdc3ef48d419
하루하루 물리학, 이기진, 시공사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3682134124c073a7ffe0bdc3ef48d419
생활 속 물리의 법칙, 임승혁, 무진미래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563b4429f377885a
알기쉬운 생활 물리, 심재학, 한승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2609ccb7a469a4d0
생활 속 화학, 이범종, 자유아카데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0b1b4d9f92ba31a4ffe0bdc3ef48d419
Surgery using radio waves, 김재호
http://www.kjorl.org/journal/view.php?number=2840
모르포 나비의 경우 날개 아래 부분은 갈색이지만, 위쪽은 날개 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간섭하여 밝은 파란색으로 보인다. 거기에다 보는 각도와 날개의 움직임에 따라서 색이 변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모르포 나비의 날개가 얇은 막들이 여러 겹으로 쌓여 있기 때문이다. 날개에 흰빛을 쏘고 위에서 바라보면 파랑색과 연두색 사이의 빛은 강한 보강 간섭을 일으킨다. 반면에 노란색과 붉은색 영역의 빛은 적당한 간섭이 일어나서 빛의 세기가 약해진다. 따라서 나비의 날개 색이 윗부분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약간 기울어진 옆에서 보면 기울어진 경로에 따라서 온 빛이 다른 경로를 지나가게 되면서 완전한 보강 가섭이 일어나도 빛의 파장은 변하게 된다. 그래서 날개의 움직임에 따라서 보는 각도가 변하며 날개 색이 변하는 것이다.
현재 지폐에 사용하는 잉크는 모르포 나비의 원리와 아주 비슷하다. 색이 달라 보이는 잉크의 단면을 보면 잉크, 크롬, 불화마그네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롬 층에서 그리 좋지 않은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고, 알루미늄의 층에서는 더 좋은 거울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불화마그네슘을 비누막의 역할을 하는데, 해당 결과 각각의 경계면에서 위로 반사되는 빛들이 다시 잉크를 통과해 나가면서 이 빛들이 우리가 눈으로 볼 때 서로 간섭되어 보이게 된다. 여기서 어떠한 빛이 보강 간섭을 일으킬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불화마그네슘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색이 변하는 오천 원권 지폐의 경우 위에서 보면 갈색 근처에서 보강 간섭이 가장 크게 일어나며, 옆에서 볼 때는 초록색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불화마그네슘의 두께를 정했기 때문에 보는 시야과 각도를 다르게 하면 색이 변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행복한 물리여행, 최준곤, 이다미디어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9ff94aee38282178ffe0bdc3ef48d419
하루하루 물리학, 이기진, 시공사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3682134124c073a7ffe0bdc3ef48d419
생활 속 물리의 법칙, 임승혁, 무진미래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563b4429f377885a
알기쉬운 생활 물리, 심재학, 한승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2609ccb7a469a4d0
생활 속 화학, 이범종, 자유아카데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0b1b4d9f92ba31a4ffe0bdc3ef48d419
Surgery using radio waves, 김재호
http://www.kjorl.org/journal/view.php?number=2840
추천자료
유전자 게놈 프로젝트
[직업평가]장애인직업평가의 정의, 장애인직업평가의 목표, 장애인직업평가의 객체, 모델과 ...
문화마케팅의 전략, 현황, 사례
[수업관찰][수업관찰 도구][수업관찰 실제][체육교육][실과교육]수업관찰의 가치, 수업관찰의...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의 본질과 목표,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의 학습유형과 탐구...
한국의료보험제도(국민건강보험제도) 문제점와 개선방향
공리주의에 대해서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초등교육에의 적용
[컴퓨터의이해] 1. 아래의 문제에 대하여 주요 특징을 설명하라. 정보사회, 유비쿼터스 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