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럽 복지국가의 변천
2) 영국의 사회복지
3) 스웨덴의 사회복지
4) 독일의 사회복지
5) 미국의 사회복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유럽 복지국가의 변천
2) 영국의 사회복지
3) 스웨덴의 사회복지
4) 독일의 사회복지
5) 미국의 사회복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느 계층이 먼저 희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쉽게 내릴 수 없는 결정이다.
5) 미국의 사회복지
- 미국은 1930년대에 ‘사회보장’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고,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사회보장법이 공포됨으로써 미국에서 사회보장제도가 시행되었다. 미국문화의 핵심은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이다. 따라서 개인의 자유를 중요시하고 자신의 삶은 스스로 보살 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현재 코로나로 제일 큰 피해를 본 국가는 미국이다. 많은 사람이 자신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을 자유가 있다며 세계적인 전염병이 있는 상황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을 보며 미국 사람들이 자신들의 자유에 대해서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국가에서 이상적인 복지국가를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복지를 위해 세금을 많이 걷으면 부자들은 자신들이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을 왜 세금으로 많이 가져가니 불평할 것이고, 다른 빈곤자들의 삶은 자신들의 삶이 아니라며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예전에 대공황으로 인해서 자유 방임주의를 철폐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대공황을 극복해 나간 경험이 있다. 이 이후로 미국에서도 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살고 있어서 매우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백인 경찰이 흑인을 죽이는 등의 인종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다른 나라와 특별하게 민간영역에서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다. 자원봉사가 조직적으로 잘 발달 되어있고 영향력 있는 시민단체들이 많이 존재한다. 미국은 사회복지정책의 범위가 매우 좁고 선별적 복지가 발달 되었고,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매우 많은데 이러한 사람들을 민간영역에서 도와주고 있다. 미국과 같은 자유주의가 강하게 있는 나라에서 민간 부분에서 이렇게 복지에 관한 관심이 높고 조직적인 자원봉사와 시민단체가 발달 되었다는 부분은 장점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빈곤 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자본주의와 자유주의가 발달한 미국에서는 빈부격차의 문제가 극심하다. 또한, 다양한 인종 간의 갈등 문제도 심각하다. 따라서 미국은 정부의 개입을 더 확대해서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이미 미국에서는 훌륭한 비영리 단체와 자선단체들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미국 정부에서 복지정책에 더 재정을 투입하고, 더 많은 정책을 장려한다면 미국 내에서 복지 문제가 많이 해결될 것이다.
3. 결론
- UN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내의 모든 선진국이 2030년대에 들어서게 되면 복지국가로 접어들고, 그 외 국가들은 2050년대에 들어서면 복지국가에 들어선다고 한다. 과거와 비교해서 우리는 더 윤택한 삶을 살고 더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면서 살고 있다. 하지만 빈부격차, 인종 문제, 사회적 불평등 등 더 많은 사회문제, 경제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선진국이 복지국가의 이념을 선택하고 있다. 이는 결국 모든 국가의 끝에는 복지국가의 형태가 도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30년대에 들어서면 선진국에서는 모든 성인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한다고 한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니 사람 자체가 국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국가는 사람이 있어서 가치가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사람 자체가 귀중한 자원이 될 것이고, 이에 많은 복지정책이 시행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병현 [복지국가의 비교 : 영국, 미국, 스웨덴, 독일의 사회복지 역사와 변천] Chapter02, 03, 04, 05, 06, 07 참고출판사 : 공동체 발행년도 : 2017년
5) 미국의 사회복지
- 미국은 1930년대에 ‘사회보장’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고,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사회보장법이 공포됨으로써 미국에서 사회보장제도가 시행되었다. 미국문화의 핵심은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이다. 따라서 개인의 자유를 중요시하고 자신의 삶은 스스로 보살 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현재 코로나로 제일 큰 피해를 본 국가는 미국이다. 많은 사람이 자신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을 자유가 있다며 세계적인 전염병이 있는 상황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을 보며 미국 사람들이 자신들의 자유에 대해서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국가에서 이상적인 복지국가를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복지를 위해 세금을 많이 걷으면 부자들은 자신들이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을 왜 세금으로 많이 가져가니 불평할 것이고, 다른 빈곤자들의 삶은 자신들의 삶이 아니라며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예전에 대공황으로 인해서 자유 방임주의를 철폐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대공황을 극복해 나간 경험이 있다. 이 이후로 미국에서도 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살고 있어서 매우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백인 경찰이 흑인을 죽이는 등의 인종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다른 나라와 특별하게 민간영역에서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다. 자원봉사가 조직적으로 잘 발달 되어있고 영향력 있는 시민단체들이 많이 존재한다. 미국은 사회복지정책의 범위가 매우 좁고 선별적 복지가 발달 되었고,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매우 많은데 이러한 사람들을 민간영역에서 도와주고 있다. 미국과 같은 자유주의가 강하게 있는 나라에서 민간 부분에서 이렇게 복지에 관한 관심이 높고 조직적인 자원봉사와 시민단체가 발달 되었다는 부분은 장점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빈곤 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자본주의와 자유주의가 발달한 미국에서는 빈부격차의 문제가 극심하다. 또한, 다양한 인종 간의 갈등 문제도 심각하다. 따라서 미국은 정부의 개입을 더 확대해서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이미 미국에서는 훌륭한 비영리 단체와 자선단체들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미국 정부에서 복지정책에 더 재정을 투입하고, 더 많은 정책을 장려한다면 미국 내에서 복지 문제가 많이 해결될 것이다.
3. 결론
- UN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내의 모든 선진국이 2030년대에 들어서게 되면 복지국가로 접어들고, 그 외 국가들은 2050년대에 들어서면 복지국가에 들어선다고 한다. 과거와 비교해서 우리는 더 윤택한 삶을 살고 더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면서 살고 있다. 하지만 빈부격차, 인종 문제, 사회적 불평등 등 더 많은 사회문제, 경제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선진국이 복지국가의 이념을 선택하고 있다. 이는 결국 모든 국가의 끝에는 복지국가의 형태가 도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30년대에 들어서면 선진국에서는 모든 성인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한다고 한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니 사람 자체가 국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국가는 사람이 있어서 가치가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사람 자체가 귀중한 자원이 될 것이고, 이에 많은 복지정책이 시행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병현 [복지국가의 비교 : 영국, 미국, 스웨덴, 독일의 사회복지 역사와 변천] Chapter02, 03, 04, 05, 06, 07 참고출판사 : 공동체 발행년도 : 2017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