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아시아 세계문학의 정의
2. 일본 문학과 동아시아 세계문학
3. 동아시아에서 바라보는 세계문학
4. 동아시아에서 세계문학의 해석이 달라지는 이유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동아시아 세계문학의 정의
2. 일본 문학과 동아시아 세계문학
3. 동아시아에서 바라보는 세계문학
4. 동아시아에서 세계문학의 해석이 달라지는 이유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1930년대에 번역된 펄 벅의 ‘대지’가 있을 것이다. ‘대지’는 대지의 집 3부작 중 1부로 대혼란 시기에 중국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농민 왕룽 일가의 이야기로, 땅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이것을 우리나라에서 수용하며 다양한 번역가들을 통해 번역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심훈과 노자영, 김성칠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심훈은 일본의 니이 이타루의 번역을 참조하여 번역을 진행하여 다른 원본을 번역한 번역본들과 그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노자영은 작품의 번역에서 작품을 요약하여 번역하였으며, 영화판과 이야기의 끝부분에 중점을 두고 번역한 모습을 보인다. 김성칠은 ‘독특한 지방색’과 ‘선명한 시대색’이 번역 내용의 특징으로 드러나며, 주인공의 ‘동양 여성의 전형’을 강조하였고 무엇보다 영판본과 니이 이타루의 일판본을 모두 참조하여 번역을 진행하였다. 3명의 번역은 같은 작품을 번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번역에 사용된 작품이 서로 달랐기에 완전히 같은 번역 작품이 나오지 않았을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것이 동아시아에서 세계문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차이가 발생하는 것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번역은 문학작품에서 굉장히 중요한 과정으로 과거에는 타국의 언어에 대해 현대보다 더 중시하고 어려운 문제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결국 번역을 진행한 번역가의 이해와 작품에 언어에 따라 다른 해석이 이뤄지고 다르게 수용하게 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Ⅲ. 결론
동아시아에서 세계문학은 동아시아 원래의 문학과는 다른 관점으로, 해석과 수용 역시 지역에 따라 달라지고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동아시아 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일본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이 세계문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 일조하였으며 동아시아 문학 문화를 통합시키는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의 세계문학 통합은 현재로서 찾아보기 힘들며, 현재는 동아시아의 각 국가가 모두 국가마다 자신의 문화로 문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세계문학을 그 문화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 동아시아 세계문학은 20세기 초 아시아의 변화와 과거의 모습을 이해하고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Ⅳ. 참고자료
한국사전연구사(1994).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2006).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박진영(2019). 번역가의 탄생과 동아시아 세계문학. 소명출판
Ⅲ. 결론
동아시아에서 세계문학은 동아시아 원래의 문학과는 다른 관점으로, 해석과 수용 역시 지역에 따라 달라지고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동아시아 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일본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이 세계문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 일조하였으며 동아시아 문학 문화를 통합시키는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의 세계문학 통합은 현재로서 찾아보기 힘들며, 현재는 동아시아의 각 국가가 모두 국가마다 자신의 문화로 문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세계문학을 그 문화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 동아시아 세계문학은 20세기 초 아시아의 변화와 과거의 모습을 이해하고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Ⅳ. 참고자료
한국사전연구사(1994).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2006).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박진영(2019). 번역가의 탄생과 동아시아 세계문학. 소명출판
추천자료
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 구운몽의 문학적 이해
대중문화와 문화산업론
[무][巫][무속][무속신앙][무가][무가의 연구][여성성][서정성]무(巫, 무속, 무속신앙)의 정...
[구비서사시][구비서사시 종류][구비서사시 특징][판소리]]구비서사시의 개념, 구비서사시의 ...
[동양문학의 이해] 동아시아사의 고전소설 속의 사랑이야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A형]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여러 출판사에서 번역되어 있음)을...
[세계의정치와경제] 신자유주의는 흔히 “국가의 후퇴와 시장의 공세”라는 모호한 뜻으로 정의...
몽고 제국의 형성과 유목민족 국가의 특성<몽골 초원에서 대륙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