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올라퍼 엘리아슨
2. 아니쉬 카푸어
3. 참고문헌
2. 아니쉬 카푸어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큰 의미를 보이며, 미니멀리스트들의 작업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안료로 오브제를 만드는 초기 조각을 살펴보면 나약한 매체로 촉각적으로도 상할 수 있어 일시적으로 특유의 감각성을 갖고 있으나, 풍경에 개입하지 않고 미니멀리즘과 다르게 오브제의 자기지시성을 갖지 않고, 이미지에 대해 관심을 포기하지 않았던 아르테 포레베와도 다른 경향을 보인다. 미니멀리즘과는 거리가 멀며, 포스트미니멀리즘을 진행하는 작가로 이를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시각을 설정할 때 그의 핵심적 미학인 숭고와 언캐니의 관계에서 볼 수 있다.
3. 참고문헌
전영백(Youngpaik Chun). \"‘포스트미니멀리스트’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의 신체를 닮은 형이상학적 작업.\" 현대미술사연구 0.32 (2012): 319-352.
3. 참고문헌
전영백(Youngpaik Chun). \"‘포스트미니멀리스트’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의 신체를 닮은 형이상학적 작업.\" 현대미술사연구 0.32 (2012): 319-35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