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복지 시설 환경개선
2) 저소득 노인가구 복지비 지원
3) 건강 검진 등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사업 재확대
4) 그 외 ( )
19. 코로나19시대 중 비대면 형식으로 지원되는 다양한 심층 과정들이 열린다면, 어떤 과정에 참여해 보고 싶은가?
1) 원격 화상 통화로 진행되는 대국민 심리 심층 상담
2) 방한용폼 꾸러미, 도시락 등 물적 지원 배송
3) 또래들과 어울릴 수 있을 비대면 모임 행사 진행
4) 그 외 ( )
20. 코로나19시대가 오면서 전에 느끼지 못한 변화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코로나19와 노인복지의 미래”, 복지 타임스, 2020년 10월 15일,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88
1) 우울, 불안, 장애, 기억력 장애와 같은 모호한 스트레스가 늘어났다.
2)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고립과 외로움이 더 크게 다가온다.
3) 경제적으로 지원을 잘 받아왔던 부분들이 부족하게 느껴진다.
4) 그 외 ( )
21. 코로나19시대가 오면서 변화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느꼈던 불편한 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가?
1) 대면 접촉 서비스 이용의 어려움으로 일상생활이 제한됐다.
2) 집단 거주시설 중심의 돌봄 체계가 이뤄져 집단 감염 예방이 잘되지 않고 있다.
3) 디지털 정보를 즉각적으로 받지 못하며 정보가 소외되는 순간들이 발생한다.
4) 공공 일자리 구직에 제약이 발생하며 소득이 단절됐다.
22. 코로나19시대가 오면서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는데, 앞으로 반드시 반영이 됐으면 좋을 것 같은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정희원, “노인의학적 관점에서 코로나 19”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주관 심포지엄자료집, 17~25,
1) 요양병원과 요양원 면회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되면 좋겠다.
2) 배달 및 주문과 금융 거래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되면 좋겠다.
3) 원격의료 부분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돼 진료가 진행되면 좋겠다.
4) 그 외 ( )
코로나19시대에는 고령화 문제에 접근하는 시각 자체를 장기적 관점으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다. 감염병에 걸린 분들은 걸린 후에도 자발적으로 고통을 덜 수 없어 도움을 절실히 필요하게 느낄 것이다. 신체기능이 대폭 감소하여 코로나19로 중환자실 치료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불안장애를 겪는 환자들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의 요구가 더 높아질 것으로 추측되는 대목이다. 이에 사전에 고통을 분담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장치에 대한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며, 이는 감염병에 걸리지 않은 분들에게도 동일한 수준으로 적용돼야 한다. 거의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고립된 공간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며 머무는 것에 적응돼 왔을 것이다. 그간 쌓여 왔을 신체적 심리적 건강 회복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시대의 고령화 문제는 세분화된 단계적 절차와 다각화된 소통 창구를 통해 고령의 노인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고민할 수 있어야 할 것이고, 그런 후에야만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을 때 코로나19시대를 얼마나 잘 극복해 나왔는지 그 효과를 체감한 수도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노인 집단의 주체성 또한 필요할 것이다. 정책을 만드는 사람 중심이 아닌, 노인인권 향상을 항상 염두에 둔, 전 영역에서 노인인권 중심의 시각으로 전환을 해 나가야 한다. 무조건적으로 정부 책임을 강조하는 것만이 아닌, 노인의 목소리를 통해 정부의 정책을 끌어낼 수 있을 노인의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만 노인인권 중심의 시각으로 근본적으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영역도 반드시 존재한다. 코로나19시대의 어려움은 노인복지와 노인인권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사회 각계각층이 같이 맞서나가야 하는 우리 시대가 풀어야만 하는 결코 가볍지 않은 과제다.
참고문헌
이만영기자, KBS뉴스, “코로나19로 후원 줄어…저소득층 힘겨운 겨울나기”, 2020년 12월 21일,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076756&ref=A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코로나19와 노인복지의 미래”, 복지 타임스, 2020년 10월 15일,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88
정희원, “노인의학적 관점에서 코로나 19”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주관 심포지엄자료집, 17~25,
2) 저소득 노인가구 복지비 지원
3) 건강 검진 등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사업 재확대
4) 그 외 ( )
19. 코로나19시대 중 비대면 형식으로 지원되는 다양한 심층 과정들이 열린다면, 어떤 과정에 참여해 보고 싶은가?
1) 원격 화상 통화로 진행되는 대국민 심리 심층 상담
2) 방한용폼 꾸러미, 도시락 등 물적 지원 배송
3) 또래들과 어울릴 수 있을 비대면 모임 행사 진행
4) 그 외 ( )
20. 코로나19시대가 오면서 전에 느끼지 못한 변화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코로나19와 노인복지의 미래”, 복지 타임스, 2020년 10월 15일,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88
1) 우울, 불안, 장애, 기억력 장애와 같은 모호한 스트레스가 늘어났다.
2)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고립과 외로움이 더 크게 다가온다.
3) 경제적으로 지원을 잘 받아왔던 부분들이 부족하게 느껴진다.
4) 그 외 ( )
21. 코로나19시대가 오면서 변화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느꼈던 불편한 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가?
1) 대면 접촉 서비스 이용의 어려움으로 일상생활이 제한됐다.
2) 집단 거주시설 중심의 돌봄 체계가 이뤄져 집단 감염 예방이 잘되지 않고 있다.
3) 디지털 정보를 즉각적으로 받지 못하며 정보가 소외되는 순간들이 발생한다.
4) 공공 일자리 구직에 제약이 발생하며 소득이 단절됐다.
22. 코로나19시대가 오면서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는데, 앞으로 반드시 반영이 됐으면 좋을 것 같은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정희원, “노인의학적 관점에서 코로나 19”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주관 심포지엄자료집, 17~25,
1) 요양병원과 요양원 면회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되면 좋겠다.
2) 배달 및 주문과 금융 거래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되면 좋겠다.
3) 원격의료 부분에도 비대면 서비스가 적용돼 진료가 진행되면 좋겠다.
4) 그 외 ( )
코로나19시대에는 고령화 문제에 접근하는 시각 자체를 장기적 관점으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다. 감염병에 걸린 분들은 걸린 후에도 자발적으로 고통을 덜 수 없어 도움을 절실히 필요하게 느낄 것이다. 신체기능이 대폭 감소하여 코로나19로 중환자실 치료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불안장애를 겪는 환자들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의 요구가 더 높아질 것으로 추측되는 대목이다. 이에 사전에 고통을 분담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장치에 대한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며, 이는 감염병에 걸리지 않은 분들에게도 동일한 수준으로 적용돼야 한다. 거의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고립된 공간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며 머무는 것에 적응돼 왔을 것이다. 그간 쌓여 왔을 신체적 심리적 건강 회복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시대의 고령화 문제는 세분화된 단계적 절차와 다각화된 소통 창구를 통해 고령의 노인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환경을 고민할 수 있어야 할 것이고, 그런 후에야만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을 때 코로나19시대를 얼마나 잘 극복해 나왔는지 그 효과를 체감한 수도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노인 집단의 주체성 또한 필요할 것이다. 정책을 만드는 사람 중심이 아닌, 노인인권 향상을 항상 염두에 둔, 전 영역에서 노인인권 중심의 시각으로 전환을 해 나가야 한다. 무조건적으로 정부 책임을 강조하는 것만이 아닌, 노인의 목소리를 통해 정부의 정책을 끌어낼 수 있을 노인의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만 노인인권 중심의 시각으로 근본적으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영역도 반드시 존재한다. 코로나19시대의 어려움은 노인복지와 노인인권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사회 각계각층이 같이 맞서나가야 하는 우리 시대가 풀어야만 하는 결코 가볍지 않은 과제다.
참고문헌
이만영기자, KBS뉴스, “코로나19로 후원 줄어…저소득층 힘겨운 겨울나기”, 2020년 12월 21일,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076756&ref=A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코로나19와 노인복지의 미래”, 복지 타임스, 2020년 10월 15일,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88
정희원, “노인의학적 관점에서 코로나 19”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주관 심포지엄자료집, 17~25,
추천자료
측정의 개념과 측정도구
[사회복지조사론] 질문지 조사의 이해 - 질문지조사의 의의와 장단점, 질문지 작성과 작성 절...
질문지법의 적용과 질문지 작성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관심 있는 사회복지 분야 중에서 하나...
질문지법의 개념과 장, 단점, 질문지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고, 질문지 작성원칙에 따라 *****...
사회복지조사론 ) 본인이 관심있는 사회복지 관련 주제를 하나 선정하여 주제에 맞는 질문지(...
사회복지조사론)본인이 관심있는 사회복지 관련 주제를 하나 선정하여 주제에 맞는 질문지(설...
[사회복지조사론] 자료처리 개념, 방법, 과정
[사회복지조사론] 질문지 작성 시 고려사항 및 유의사항
마케팅조사 평소 관심 있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연구하기 위한 설문지를 아래 지시에 따라 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