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쟁점
2. 샌델의 정의론 관점에서 분석 및 평가
3. 찬반 입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쟁점
2. 샌델의 정의론 관점에서 분석 및 평가
3. 찬반 입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혼을 단지 두 사람으로 한정할 어떤 근거도 찾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모순이 존재한다고 샌델은 말하고 있다. 동성 간 결혼문제에 대한 비평적 논의, 아시아문화학술원, 권혁남, 2018, page 6
샌델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유는 자율에 의한 사적인 선택에 대해서는 무엇이든지 존중한다고 한다면 결혼의 범위는 이성과 동성끼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부다처제나 일처다부제, 다자간의 관계인 폴리아모리 같은 복혼제까지 결혼에 대한 의미가 확대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문제에 부딪히고 결혼제도 자체의 폐지나 민사화가 되어 국가는 어떤 종류의 결혼도 인정하지 않으며 오로지 이 일을 사적인 영역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도 검토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동성 간 결혼문제에 대한 비평적 논의, 아시아문화학술원, 권혁남, 2018, page 6
샌델이 말하는 정의론에 따른 주장의 너무 범위가 확대되어진다. 동성결혼만으로 보지 않고 소수적으로 살아있는 결혼 체제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제를 모두 생각하여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말하는 것이기에 놓친 부분이 있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만 동성결혼과 다른 결혼 체제들은 그 결이 다르다고 보인다. 일부다처제 등의 체제는 이성과의 결합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논쟁과는 좀 벗어난 부분이 존재한다고 보여 진다. 서로 다른 것들을 추구하여 갈등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한 주가 되는 쟁점에 대한 부분에 대한 이해나 설명이 조금은 부족했다고 보인다.
Ⅲ. 결론
동성결혼처럼 윤리적 쟁점이 되는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이를 무조건 수용해야 한다거나 반대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절충할 수 있는 노력으로 타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동성 간 결혼문제에 대한 비평적 논의, 아시아문화학술원, 권혁남, 201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d23e475b191c574b7998d826d417196
“우리 문화가 아니다?” 동성결혼에 대한 7가지 편견을 타파한다,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 2018,
https://amnesty.or.kr/campaign/%EC%9A%B0%EB%A6%AC-%EB%AC%B8%ED%99%94%EA%B0%80-%EC%95%84%EB%8B%88%EB%8B%A4-%EB%8F%99%EC%84%B1%EA%B2%B0%ED%98%BC%EC%97%90-%EB%8C%80%ED%95%9C-7%EA%B0%80%EC%A7%80-%ED%8E%B8%EA%B2%AC/
[기고] 동성결혼을 반대하는 다섯 가지 이유, 크리스천투데이, 류재광 기자, 2012.09.20.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258266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요약: 정의를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사)숙의민주주의 환경 연구소, 장용창, 2010,
http://cdde.or.kr/board_NImY23/293
샌델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유는 자율에 의한 사적인 선택에 대해서는 무엇이든지 존중한다고 한다면 결혼의 범위는 이성과 동성끼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부다처제나 일처다부제, 다자간의 관계인 폴리아모리 같은 복혼제까지 결혼에 대한 의미가 확대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문제에 부딪히고 결혼제도 자체의 폐지나 민사화가 되어 국가는 어떤 종류의 결혼도 인정하지 않으며 오로지 이 일을 사적인 영역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도 검토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동성 간 결혼문제에 대한 비평적 논의, 아시아문화학술원, 권혁남, 2018, page 6
샌델이 말하는 정의론에 따른 주장의 너무 범위가 확대되어진다. 동성결혼만으로 보지 않고 소수적으로 살아있는 결혼 체제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제를 모두 생각하여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말하는 것이기에 놓친 부분이 있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만 동성결혼과 다른 결혼 체제들은 그 결이 다르다고 보인다. 일부다처제 등의 체제는 이성과의 결합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논쟁과는 좀 벗어난 부분이 존재한다고 보여 진다. 서로 다른 것들을 추구하여 갈등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한 주가 되는 쟁점에 대한 부분에 대한 이해나 설명이 조금은 부족했다고 보인다.
Ⅲ. 결론
동성결혼처럼 윤리적 쟁점이 되는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이를 무조건 수용해야 한다거나 반대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절충할 수 있는 노력으로 타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동성 간 결혼문제에 대한 비평적 논의, 아시아문화학술원, 권혁남, 201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d23e475b191c574b7998d826d417196
“우리 문화가 아니다?” 동성결혼에 대한 7가지 편견을 타파한다, 국제앰네스티한국지부, 2018,
https://amnesty.or.kr/campaign/%EC%9A%B0%EB%A6%AC-%EB%AC%B8%ED%99%94%EA%B0%80-%EC%95%84%EB%8B%88%EB%8B%A4-%EB%8F%99%EC%84%B1%EA%B2%B0%ED%98%BC%EC%97%90-%EB%8C%80%ED%95%9C-7%EA%B0%80%EC%A7%80-%ED%8E%B8%EA%B2%AC/
[기고] 동성결혼을 반대하는 다섯 가지 이유, 크리스천투데이, 류재광 기자, 2012.09.20.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258266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요약: 정의를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사)숙의민주주의 환경 연구소, 장용창, 2010,
http://cdde.or.kr/board_NImY23/293
추천자료
정보통신 윤리
-환경윤리의 고찰-
[방통대]황우석 교수의 인간배아복제 연구가 담고 있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하여 논하고...
황우석 박사의 복제배아 줄기세포 및 인간배아복제 연구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점과 대책 앞으...
[인간배아복제][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인간복제][배아]인간배아복제,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
[윤리적 문제][안락사][대리모][인간복제][가상공간 윤리적성찰]현대사회 윤리적 문제, 안락...
사회복지는 정의로운가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염두해 두면서 사회복지가 정의. 사회복지정의론
동물실험 찬반논쟁과 사례연구 및 동물실험 실태와 윤리적쟁점 및 동물실험 대안과 나의입장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