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학 ) 코로나 19 재난대응 활동 및 문제점, 코로나 19 재난복구 활동 및 문제점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학 ) 코로나 19 재난대응 활동 및 문제점, 코로나 19 재난복구 활동 및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코로나 19 재난대응 활동 및 문제점
1) 재난경보의 발령, 인력ㆍ장비 및 물자의 동원, 위험구역 설정, 대피명령, 응급지원 등의 응급조치 (20점)
2) 해당 지역에 소재하는 행정기관 소속 공무원의 비상소집 (10점)

2. 코로나 19 재난복구 활동 및 문제점 (30점)
(1) 응급복구 (10점)

본문내용

제34조의2」와 「감염예방법」 제2조 제13호에 따라 공개가 되고 있다. 동선 공개의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시·도 지원반이 방역이 완료되었다는 판단이 들면 긴급재난 문자 등을 통해 확진 환자 방문 동선의 소독이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알린다. 방역이 완전하지 않다는 판단이 들 경우엔 구체적인 동선을 공개하며 이 역시 완전하지 않다. 전문가이더라도 사람의 판단은 완전하지 않다. 따라서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동선을 공개해야 한다.
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지자체용) 제9-4판 (2차 정오표 반영)」, 2020.12.7.
http://ncov.mohw.go.kr/duBoardList.do?brdId=2&brdGubun=28#
  • 가격3,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22.08.10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