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entral dogma
(1) 복제
(2) 전사(Transcription)
(3) 번역(Translation)
2. DNA, RNA, 단백질 분석 방법
(1) DNA
(2) RNA
(3) 단백질
(1) 복제
(2) 전사(Transcription)
(3) 번역(Translation)
2. DNA, RNA, 단백질 분석 방법
(1) DNA
(2) RNA
(3) 단백질
본문내용
scriptome을 분석하여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는 분석 방법이다. 센트럴 도그마 Central dogma에 따르면 DNA를 전사 Transcription 하면 RNA가 만들어지고 RNA를 번역 Translation 하면 단백질이 된다. 따라서 전사 Transcript의 횟수가 증가하면 단백질 발현 역시 증가하게 되며 전사체 Transcriptome를 대용량 시퀀싱 한 후 분석한다면 발현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등의 계산이 가능해진다는 가능성을 지니게 된다.
(3) 단백질 분석 방법
단백질은 생화학에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유기 물질의 일종으로서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 결합한 분자이다. 생물체 내에서 단백질은 정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생물체 내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거의 모든 효소는 단백질이며 생물의 근육, 피부, 가죽, 털도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단백질이 생물 내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가 다양하며 또 이 아미노산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 역시 다양하기 때문인데, 각기 다른 아미노산이 각기 다른 방식과 다른 숫자로 모여 이룰 수 있는 단백질의 형태가 이론상으로는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단백질의 구조는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어떤 방식으로 접히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단백질은 자연 상태에서 이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이 어떠한 형식의 서열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접히는 방식이 모두 다르다. 그 구조와 형성되는 시기에 따라 1차, 2차, 3차 4차와 같은 형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단백질은 이렇게 아미노산이 모여 만들어진 폴리펩타이드가 어떤 식으로 접혀있는지에 따라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단백질이 다른 분자들과 달라붙어 있는 형식으로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우리의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과 같은 예시를 들 수 있다. 이처럼 단백질이 금속(철)과 붙어있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당이나 인산, 지질, 색소 등과 결합한 모습을 띠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 방법에 따라 분류한 단백질은 복합 단백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단백질을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단백질을 용액에서 검출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단백질이 용액 안에 들어있는지 들어있지 않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뷰렛 반응을 이용할 수 있는데, 뷰렛 용액을 단백질과 접속하게 시키면 뷰렛 용액이 청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액 안에 단백질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X선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구조를 직접 관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단백질의 결정에 X선을 쬐어 그 X선의 변형 모습을 관측하여 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초기의 DNA 구조를 제시한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DNA 구조 이론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단백질의 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에드만 분해, 질량 분석법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3) 단백질 분석 방법
단백질은 생화학에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유기 물질의 일종으로서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 결합한 분자이다. 생물체 내에서 단백질은 정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생물체 내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거의 모든 효소는 단백질이며 생물의 근육, 피부, 가죽, 털도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단백질이 생물 내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의 종류가 다양하며 또 이 아미노산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 역시 다양하기 때문인데, 각기 다른 아미노산이 각기 다른 방식과 다른 숫자로 모여 이룰 수 있는 단백질의 형태가 이론상으로는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단백질의 구조는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어떤 방식으로 접히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단백질은 자연 상태에서 이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이 어떠한 형식의 서열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접히는 방식이 모두 다르다. 그 구조와 형성되는 시기에 따라 1차, 2차, 3차 4차와 같은 형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단백질은 이렇게 아미노산이 모여 만들어진 폴리펩타이드가 어떤 식으로 접혀있는지에 따라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단백질이 다른 분자들과 달라붙어 있는 형식으로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우리의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과 같은 예시를 들 수 있다. 이처럼 단백질이 금속(철)과 붙어있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당이나 인산, 지질, 색소 등과 결합한 모습을 띠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 방법에 따라 분류한 단백질은 복합 단백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단백질을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단백질을 용액에서 검출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단백질이 용액 안에 들어있는지 들어있지 않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뷰렛 반응을 이용할 수 있는데, 뷰렛 용액을 단백질과 접속하게 시키면 뷰렛 용액이 청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액 안에 단백질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X선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구조를 직접 관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단백질의 결정에 X선을 쬐어 그 X선의 변형 모습을 관측하여 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초기의 DNA 구조를 제시한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DNA 구조 이론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단백질의 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에드만 분해, 질량 분석법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추천자료
[동물의 유전과 개량 공통] 1 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2 변이의 종류와 ...
(방통대 동물의유전과개량)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변이의 종류와 원인에...
동물의유전과개량)1 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외2건
[방통대 2018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동물의유전과개량] 1 중심설(central dogma)에 대하여 기...
[방통대 농학과 2학년 동물의 유전과 개량 공통] 1 유전자의 복제 전사 번역에 대하여 기술하...
동물유전과개량 중간과제-Central Dogma, DNA,RNA,단백질 분석방법
동물유전과개량 =) Central dogma에 대해 기술하고, DNA, RNA, 단백질 각각의 분석 방법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