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원예학 =) 본인의 토지에 과채류 수경재배 온실(3,000m2(제곱))을 구축한다고 가정했을때 1년간 온실환경관리(온도, 습도, 광, 공기 환경) 방안에 대해 계획하고 환경제어 및 기타 부대시설 마련에 대해 상세히 쓰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설원예학 =) 본인의 토지에 과채류 수경재배 온실(3,000m2(제곱))을 구축한다고 가정했을때 1년간 온실환경관리(온도, 습도, 광, 공기 환경) 방안에 대해 계획하고 환경제어 및 기타 부대시설 마련에 대해 상세히 쓰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목: 과채류 수경재배 온실 구축 계획

목차
1. 온실 환경관리 계획
2. 환경제어 및 기타 부대시설 마련
3. 참고자료

본문내용

히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하고, 지나치게 많은 빛이 들어올 때를 대비하여 차광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장치 역시 설치할 것이다. 그리고 내부 조명을 설치하여 겨울 등 빛 에너지가 부족할 때를 대비해 보조로 빛 에너지를 수급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할 계획이다. 온도와 습도를 위해서는 주 난방기로 온풍난방기를 설치하고, 보조 난방기로 보일러를 설치, 냉방기로는 포그 발생기를 설치할 것이다. 포그 발생기는 포그를 발생시켜 온도를 낮춰줄 뿐만 아니라 습도도 조절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습도 조절장치는 필요가 없을 것이므로 설치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 조절을 위해서는 액화탄산가스 탱크를 설치하여 주 조절을 담당하나, 앞서 보조 난방기로 설치하였던 보일러도 가스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므로, 이 분야에서도 보조 조절기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양액을 주입하고 전체 식물에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배양액 시스템을 설치하여, 전반적인 식물에 대한 배양액 주입을 담당하도록 할 것이다.
이렇게 센서와 환경제어시설을 설치한 다음에는 이 모든 것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우선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필요하고, 이 컴퓨터와 센서 및 환경제어시설을 연결할 입력채널과 그 확장기도 필요하다. 이 컴퓨터는 온실 내부의 습도조절장치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온실 내에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컴퓨터 본체 및 외부 영향을 받지 않을수록 좋은 여러 부대시설을 수납할 예정이다. 또 환경제어시설을 세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 조절기도 설치하여야 하며, 다채널 릴레이 역시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그리고 최근 ICT 기술 발전에 발맞추어 이러한 시스템이 온라인 환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Wifi 송신기를 설치하고, 이렇게 온라인 환경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외부에서 나 혹은 다른 영농 경영자가 PC 혹은 모바일 기기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용 소프트웨어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전기 장치에 혹시나 모를 정전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갑작스러운 전력 공급 중지로 충격을 받지 않도록 비상 발전기와 충실한 배전반을 설치하여 전력상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도록 할 것이다.
3. 참고자료
“스마트 온실환경관리 가이드라인”, 농촌진흥청, 2017
(url: http://www.riss.kr/link?id=M15323855)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