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if만 사용]
②[if와 for문 사용(return사용)]
[설명]
②[if와 for문 사용(return사용)]
[설명]
본문내용
unt);
printf(“비었습니다.”);
return count;
}
if(q->front < q->rear){//데이터가 있는 경우ⓐ
for(i=q->front+1; i<=q->rear; i++){
count++;
}
printf(\"원형큐 요소 개수 : %d개\\n\", count);
}
else{//데이터는 있는데 front와 rear의 주소값 나열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
printf(“오류”);
}
}
[설명]
- rear로 데이터 삽입/front로 데이터 삭제
- rear는 원형큐가 빈 상태일 때를 제외하고 항상 front보다 주소값이 더 크다(아닌 경우는 에러로 간주)
- 원형 큐는 모든 주소값에 데이터를 넣지 않는다(MAX_QUEUE_SIZE-1개수까지만 넣는다.)
- return함수 : ②에서 is_empty문을 만족하는 경우 printf문 실행과 count값을 반환 후 다음 조건문을 실행하지 않고 get_count를 빠져나온다.
- ⓐ : rear가 front보다 클 때는 for문이 돌면서 front+1부터 rear의 주소값 숫자까지 count값을 1씩 증가시켜 개수를 알아낼 수 있다.
빈 상태
값이 채워진 상태(1~MASIMUM)
오류 상태
printf(“비었습니다.”);
return count;
}
if(q->front < q->rear){//데이터가 있는 경우ⓐ
for(i=q->front+1; i<=q->rear; i++){
count++;
}
printf(\"원형큐 요소 개수 : %d개\\n\", count);
}
else{//데이터는 있는데 front와 rear의 주소값 나열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
printf(“오류”);
}
}
[설명]
- rear로 데이터 삽입/front로 데이터 삭제
- rear는 원형큐가 빈 상태일 때를 제외하고 항상 front보다 주소값이 더 크다(아닌 경우는 에러로 간주)
- 원형 큐는 모든 주소값에 데이터를 넣지 않는다(MAX_QUEUE_SIZE-1개수까지만 넣는다.)
- return함수 : ②에서 is_empty문을 만족하는 경우 printf문 실행과 count값을 반환 후 다음 조건문을 실행하지 않고 get_count를 빠져나온다.
- ⓐ : rear가 front보다 클 때는 for문이 돌면서 front+1부터 rear의 주소값 숫자까지 count값을 1씩 증가시켜 개수를 알아낼 수 있다.
빈 상태
값이 채워진 상태(1~MASIMUM)
오류 상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