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원봉사론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국가를 선택하여 특징과 함께 우리가 시사받을 수 있는 점을 기술해 보십시오.
2. 코로나 현상으로 인해 자원활동이 더 필요한 집단과 대상은 어떤 부분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봉사활동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십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국가를 선택하여 특징과 함께 우리가 시사받을 수 있는 점을 기술해 보십시오.
2. 코로나 현상으로 인해 자원활동이 더 필요한 집단과 대상은 어떤 부분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봉사활동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십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먼저 코로나 검사 방법에서도 있을 수 있다. 얼마 전 수도권 지역에서 무료로 코로나 검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 이러한 뉴스 및 보도기사가 나가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 검사를 위하여 검사소로 발길을 향했다. 하지만 반대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이동이 어려우신 노인 및 약자 분들을 위하여 방역장비를 착용한 의료진들이 검사를 다니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려운 환경으로 인하여 교육을 받기 힘든 어린 친구들을 위하여 교육을 지원하는 자원봉사활동도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현재 많은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서만 공부를 하는 것에 대하여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나 정서적 지원을 도울 수 있는 온라인 멘토링 등을 통하여 심리상담, 학습코칭, 독서습관을 갖도록 도울 수 있다면 많은 학생들의 불안한 부분들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아이들에게 좀 더 나은 교육환경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단한 문화예술 및 캘리그라피 등의 취미활동이 있다면 간략하게 동영상을 제작하여 아이들에게 집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취미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스크, 손소독제 및 간단한 간식 등을 완제품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 수 있는 키트 형태로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전달해준다면 가족들과의 함께 시간을 보내며 코로나 블루를 이겨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3. 결론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코로나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국가라는 경계를 일시적으로라도 허물고 함께 코로나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요즘 Youtube를 비롯하여 다양한 플랫폼으로 전세계 사람들과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다. 나라마다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 달라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들이 다를 수 있지만 현재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마음은 공통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공감대를 형성하여 소통하는 것 자체가 코로나를 이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자원봉사 활동이라 생각한다. 물론 보이지 않은 곳에 우리가 모르는 많은 사람들이 많은 부분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을 것이다. 만약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싶지만 코로나라는 벽에 가로 막혀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고, 꼭 시간을 내야하고 체력을 소모해야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조그만 쉽게 생각한다면 자율적으로 스스로 할 수 있는 자원봉사 활동을 많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신윤창, 손경숙. 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연구 : 한국과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2008. 제6권 제1호 123-148쪽 참고.
2) Gastin K and Smith J. A New Civic Europe? A Study of the Extent and Role of Volunteering. 1995. London: Volunteer Center UK.
3) 정진경. 복지국가 맥락에서 스웨덴, 미국, 한국의 자원봉사정책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2013. 제47권 제2호 137-160쪽 참고.
3. 결론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코로나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국가라는 경계를 일시적으로라도 허물고 함께 코로나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요즘 Youtube를 비롯하여 다양한 플랫폼으로 전세계 사람들과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다. 나라마다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 달라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들이 다를 수 있지만 현재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마음은 공통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공감대를 형성하여 소통하는 것 자체가 코로나를 이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자원봉사 활동이라 생각한다. 물론 보이지 않은 곳에 우리가 모르는 많은 사람들이 많은 부분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을 것이다. 만약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싶지만 코로나라는 벽에 가로 막혀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고, 꼭 시간을 내야하고 체력을 소모해야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조그만 쉽게 생각한다면 자율적으로 스스로 할 수 있는 자원봉사 활동을 많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신윤창, 손경숙. 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연구 : 한국과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2008. 제6권 제1호 123-148쪽 참고.
2) Gastin K and Smith J. A New Civic Europe? A Study of the Extent and Role of Volunteering. 1995. London: Volunteer Center UK.
3) 정진경. 복지국가 맥락에서 스웨덴, 미국, 한국의 자원봉사정책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2013. 제47권 제2호 137-160쪽 참고.
추천자료
[2020 자원봉사론][네덜란드와 노인선정]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
[2020 자원봉사론][미국과 여성선정]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국...
[2020 자원봉사론][영국과 청소년선정] 1.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
[2020 자원봉사론][캐나다와 기업 선정]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2020 자원봉사론][일본과 대학 선정]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
[2020 자원봉사론][프랑스와 여성 선정]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2020 자원봉사론][일본과 노인 선정]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
[교육학과]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자원봉사론 공통]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