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를 통하여 피해를 파악하고 관리 대응하는 것이 나무보다는 숲을 바라보며 전체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행정안전부에서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재난 상황을 관리하는 방안을 광역시로 구분하여 광역재난안전상황실을 개설한다면, 광역시에서는 광역시 아래 지방자치단체를 관리하고 광역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중앙재난안전상화실로 보고한다면 좀 더 세부적으로 관리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통정보와 제주지역 소방서와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통통제 시스템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이 된 사례라고 생각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우선적으로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국민들의 재난에 대비하여 교통통제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골든타임 안에 병원에 도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을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벤치마킹하여 실시한다면 이 또한 다른 선진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게 모범이 되는 사례가 될 것이다.
결론
이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병으로 인하여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나라는 또 한 번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감염 환자들의 관리, 코로나 검사를 비롯하여 발병된 사람의 이동 경로 및 감염 발생장소 등을 실시간으로 국민들에게 알리고 경고하는 등 다른 나라에 모범이 되는 좋은 사례를 남겼다고 생각된다. 또한 코로나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중 지방자치단체별로 그 지역에 맞는 실정 및 상황을 고려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재난지원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하기 힘든 부분은 국가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원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지방자치단체가 이전보다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길 바라는 관점으로 봤을 때는 좋은 시작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계기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최우선적으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좀 더 능동적으로 대응해준다면 이전보다 훨씬 빠르고 나은 초동조치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지방자치단체에서 공무원들이 일정 시간적 간격을 두고 순환식으로 보직을 이동하는 것도 이해되는 반면 이러한 주민들의 직접적인 생명과 안전과 관련된 부서는 보직의 이동하는 시간적 간격을 좀 더 길게 바꾸거나, 이동이 없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기틀이 마련된다면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중앙정부의 재난관리시스템도 간편화되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좀 더 나은 연계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도의 통신망과 교통 통제를 이용한 골든타임 확보에서 본 것처럼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빠른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잘 활용하여, 별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보고체계 없이 지방자치단체 재난시스템에 상황을 업로드하면 다이렉트로 중앙정부 시스템에서 확인을 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1)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안내 연혁. 행정안전부. 2021. Retrieved from http://www.mois.go.kr/frt/sub/a07/history/screen.do
그리고 행정안전부에서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재난 상황을 관리하는 방안을 광역시로 구분하여 광역재난안전상황실을 개설한다면, 광역시에서는 광역시 아래 지방자치단체를 관리하고 광역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중앙재난안전상화실로 보고한다면 좀 더 세부적으로 관리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통정보와 제주지역 소방서와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통통제 시스템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이 된 사례라고 생각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우선적으로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국민들의 재난에 대비하여 교통통제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골든타임 안에 병원에 도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을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벤치마킹하여 실시한다면 이 또한 다른 선진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게 모범이 되는 사례가 될 것이다.
결론
이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병으로 인하여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나라는 또 한 번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감염 환자들의 관리, 코로나 검사를 비롯하여 발병된 사람의 이동 경로 및 감염 발생장소 등을 실시간으로 국민들에게 알리고 경고하는 등 다른 나라에 모범이 되는 좋은 사례를 남겼다고 생각된다. 또한 코로나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중 지방자치단체별로 그 지역에 맞는 실정 및 상황을 고려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재난지원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하기 힘든 부분은 국가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원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지방자치단체가 이전보다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길 바라는 관점으로 봤을 때는 좋은 시작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계기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최우선적으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좀 더 능동적으로 대응해준다면 이전보다 훨씬 빠르고 나은 초동조치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지방자치단체에서 공무원들이 일정 시간적 간격을 두고 순환식으로 보직을 이동하는 것도 이해되는 반면 이러한 주민들의 직접적인 생명과 안전과 관련된 부서는 보직의 이동하는 시간적 간격을 좀 더 길게 바꾸거나, 이동이 없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기틀이 마련된다면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중앙정부의 재난관리시스템도 간편화되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좀 더 나은 연계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도의 통신망과 교통 통제를 이용한 골든타임 확보에서 본 것처럼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빠른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잘 활용하여, 별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보고체계 없이 지방자치단체 재난시스템에 상황을 업로드하면 다이렉트로 중앙정부 시스템에서 확인을 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1)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안내 연혁. 행정안전부. 2021. Retrieved from http://www.mois.go.kr/frt/sub/a07/history/screen.do
추천자료
2021년 1학기 재난관리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
[재난관리론 4학년] 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정리하고, 재난관리 전담조...
재난관리론
[재난관리론]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정리하고, 재난관리 전담조직의 운...
2022년 1학기 재난관리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
[재난관리론 4학년] 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정리하고, 재난관리 전담조...
2재난관리론 =) 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정리하고, 재난관리 전담조직의...
재난 ) 우리나라 재난관리 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정리하고, 재난관리 전담조직의 운영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