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맹자는 ‘性善’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性善’이란 무엇을 의미하며 맹자는 그것을 어떻게 증명하려고 했나요? 눈앞에서 살육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맹자가 性善을 주장한 것은 과연 온당한 태도일까요?
2. 맹자는 이익보다 인의를 강조했습니다. 이익과 인의는 충돌하는 것인가요? 여러분은 이익과 인의를 놓고 선택하는 상황이 온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3. 맹자는 타고난 四端의 확충을 통해 四德을 실현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덕의 단서를 타고날까요? 맹자의 말대로 우리는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을까요?
4. <맹자>에서 가장 인상 깊었거나 공감이 가는 내용 한 가지를 소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5. <맹자>에서 가장 마음에 들지 않았거나 이해할 수 없었던 내용 한 가지를 소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6. <맹자>에서 나오는 여러 인물 가운데 가장 인상 깊은 인물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2. 맹자는 이익보다 인의를 강조했습니다. 이익과 인의는 충돌하는 것인가요? 여러분은 이익과 인의를 놓고 선택하는 상황이 온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3. 맹자는 타고난 四端의 확충을 통해 四德을 실현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덕의 단서를 타고날까요? 맹자의 말대로 우리는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을까요?
4. <맹자>에서 가장 인상 깊었거나 공감이 가는 내용 한 가지를 소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5. <맹자>에서 가장 마음에 들지 않았거나 이해할 수 없었던 내용 한 가지를 소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6. <맹자>에서 나오는 여러 인물 가운데 가장 인상 깊은 인물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19 네 부류의 사람들>에서 맹자는 ‘대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대인’이란 자신의 몸을 올바르게 해 다른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그 사람의 존재만으로 감화를 받도록 영향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 맹자는 이 ‘대인’을 가장 이상적인 인격으로 분류하였다. 그런데 앞서 맹자는 네 가지 단서를 기르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맹자의 주장대로라면 네 가지 단서를 기르는 노력에 힘쓴다면 이 ‘대인’의 경지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것인데 누구나 이 ‘대인’이 될 수 있다면 네 가지 단서를 기르는 노력에 소홀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평범한 사람이 ‘대인’을 보면서 ‘나도 저 사람처럼 되어야겠다’라고 생각하며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자극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나는 왜 저 사람처럼 되지 못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는 것 아닐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대인’은 말 그대로 이상향에 가까운 존재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맹자>에서 나오는 여러 인물 가운데 가장 인상 깊은 인물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공손추는 맹자가 주장한 왕도정치에 대해 처음에는 현실적으로 실현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했고 오히려 패도정치를 통한 공적을 세우기 원했다. 그러나 맹자의 가르침을 통해 비로소 왕도정치를 계승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제후들이 맹자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못한 이유는 맹자의 철학이 시대상황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의 왕도정치가 공손추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가능성이 보였다.
<맹자>에서 나오는 여러 인물 가운데 가장 인상 깊은 인물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공손추는 맹자가 주장한 왕도정치에 대해 처음에는 현실적으로 실현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했고 오히려 패도정치를 통한 공적을 세우기 원했다. 그러나 맹자의 가르침을 통해 비로소 왕도정치를 계승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제후들이 맹자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못한 이유는 맹자의 철학이 시대상황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의 왕도정치가 공손추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가능성이 보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