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모리 반도체
2. 메모리 반도체 시장규모
3. 메모리 반도체 시장점유율
4. 시기별 메모리 반도체 국가별 점유율
5.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한국)
6. 마이크론과 웨스턴 디지털(미국)
7. 키옥시아(일본)
2. 메모리 반도체 시장규모
3. 메모리 반도체 시장점유율
4. 시기별 메모리 반도체 국가별 점유율
5.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한국)
6. 마이크론과 웨스턴 디지털(미국)
7. 키옥시아(일본)
본문내용
결합한 LPDDR5 uMCP 신제품 출시
→ GDDR6 D램 개발
ㆍSK하이닉스
- 현대 전자 → 하이닉스 반도체
→ SK그룹 인수 → SK하이닉스
- 숱한 반도체 치킨 게임을 견뎌냄
→ SK그룹에 인수
→ 세계 2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
- 2014년부터 매출액 17조, 영업이익 5조 달성
- 안정적인 수익을 바탕으로 규모가 커지기 시작
- 삼성전자에 이은 D램 시장점유율 2위(30%) 차지
-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 4위(12%)
- 2020년,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10조 3,000억 원)
- 2022년, 연산 기능을 갖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 PIM(Processing In Memory) 개발
6. 마이크론과 웨스턴 디지털(미국)
ㆍ마이크론 테크놀로지
- 미국에 유일하게 남은 메모리 반도체 회사
- DRAM과 플래시 메모리를 주력으로 판매
- 2022년 2분기 기준
→ D램 점유율 3위(22%)
→ 낸드 플래시 점유율 2위(28%)
- 오랫동안 반도체 치킨 게임에서 생존
- 2001년, 도시바의 D램 사업부 인수
- 2013년, 일본의 엘피다 파산 → 엘피다 메모리 사업부 인수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뒤를 이은 세계 3대 메이저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
ㆍ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 Corporation)
- 미국에서 마이크론을 제외하고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업체
- 주로 하드디스크를 생산하는 업체
→ 2012년 3월, 히타치의 하드디스크 사업부 인수
→ 세계 최대 하드디스크 생산업체가 됨
- 2015년, 샌디스크의 낸드 사업부 인수
→ 본격적으로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기 시작
- 2022년 2분기 기준, 전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에서 점유율 3위(12%)를 차지
7. 키옥시아(일본)
ㆍ일본에 마지막 남은 메모리 반도체 기업
ㆍ전신 → 도시바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
ㆍ도시바(Toshiba)
- 2000년대 미국 원전기업인 웨스팅하우스 인수 → 막대한 부채 누적
→ 경영난을 해결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 사업부 매각
→ 분사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
☞ 사명을 키옥시아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름
- 세계 최초로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한 기업
ㆍ2022년 2분기 기준, 키옥시아의 플래시 메모리 시장점유율 → 19.2%(세계 3위)
ㆍ따로 D램을 개발하지는 않음
ㆍ현재 불안정한 경영난으로 인해 세계 여러 반도체 기업들이 호시탐탐 키옥시아를 인수하기 위해 노리고 있음
→ GDDR6 D램 개발
ㆍSK하이닉스
- 현대 전자 → 하이닉스 반도체
→ SK그룹 인수 → SK하이닉스
- 숱한 반도체 치킨 게임을 견뎌냄
→ SK그룹에 인수
→ 세계 2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
- 2014년부터 매출액 17조, 영업이익 5조 달성
- 안정적인 수익을 바탕으로 규모가 커지기 시작
- 삼성전자에 이은 D램 시장점유율 2위(30%) 차지
-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 4위(12%)
- 2020년,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10조 3,000억 원)
- 2022년, 연산 기능을 갖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 PIM(Processing In Memory) 개발
6. 마이크론과 웨스턴 디지털(미국)
ㆍ마이크론 테크놀로지
- 미국에 유일하게 남은 메모리 반도체 회사
- DRAM과 플래시 메모리를 주력으로 판매
- 2022년 2분기 기준
→ D램 점유율 3위(22%)
→ 낸드 플래시 점유율 2위(28%)
- 오랫동안 반도체 치킨 게임에서 생존
- 2001년, 도시바의 D램 사업부 인수
- 2013년, 일본의 엘피다 파산 → 엘피다 메모리 사업부 인수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뒤를 이은 세계 3대 메이저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
ㆍ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 Corporation)
- 미국에서 마이크론을 제외하고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업체
- 주로 하드디스크를 생산하는 업체
→ 2012년 3월, 히타치의 하드디스크 사업부 인수
→ 세계 최대 하드디스크 생산업체가 됨
- 2015년, 샌디스크의 낸드 사업부 인수
→ 본격적으로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기 시작
- 2022년 2분기 기준, 전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에서 점유율 3위(12%)를 차지
7. 키옥시아(일본)
ㆍ일본에 마지막 남은 메모리 반도체 기업
ㆍ전신 → 도시바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
ㆍ도시바(Toshiba)
- 2000년대 미국 원전기업인 웨스팅하우스 인수 → 막대한 부채 누적
→ 경영난을 해결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 사업부 매각
→ 분사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
☞ 사명을 키옥시아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름
- 세계 최초로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한 기업
ㆍ2022년 2분기 기준, 키옥시아의 플래시 메모리 시장점유율 → 19.2%(세계 3위)
ㆍ따로 D램을 개발하지는 않음
ㆍ현재 불안정한 경영난으로 인해 세계 여러 반도체 기업들이 호시탐탐 키옥시아를 인수하기 위해 노리고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