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의의
1)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의의
2)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단점
2.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특징
1) 실제원가
2) 표준원가
3) 현황
4) 표준원가 차이 분석
5)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절차
6) 표준원가의 회계 처리 방법
3. 출처 및 참고문헌
1)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의의
2)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단점
2.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특징
1) 실제원가
2) 표준원가
3) 현황
4) 표준원가 차이 분석
5) 표준원가 차이 분석의 절차
6) 표준원가의 회계 처리 방법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수량(Standard Quantity)을 이용하여 값을 구한 뒤 서로 비교하여 가격 차이와 수량 차이 즉, 능률 차이를 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실제 가격과 실제 수량을 곱한 값과 표준가격과 실제 수량을 곱한 값을 비교하여 가격 차이를 도출하고, 표준가격과 실제 수량을 곱한 값과 표준가격과 표준수량을 곱한 값을 비교하여 수량(능률) 차이를 도출해낸다. 이어서 고정 제조 간접비는 예산을 기준으로 단위당 고정 제조 간접비를 산출한 다음 이를 배부할 때에는 변동 제조 간접비의 표준 수량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예산 차이와 조업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인력(재료)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능률 차이 = 배합 차이 + 수율 차이\"라는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표준 가격과 실제 수량을 곱한 값과 표준가격과 실제 총 시간과 예산 배합을 곱한 값을 비교하여 배합 차이를 도출하고, 표준가격과 실제 총 시간과 예산 배합을 곱한 값과 표준 가격과 표준 수량을 곱한 값을 비교하여 수율 차이를 구한다.
6) 표준원가의 회계 처리 방법
불리한 차이(U)는 실제 원가가 예측한 수치보다 증가했다는 것이므로 차변에 기록한다. 유리한 차이(F)는 실제 원가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변에 기록한다.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이러한 차이들은 여러 방법의 하나를 택하여 재무제표상의 항목에 배분된다. 차이를 배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원가 요소별 비례 배부법이다.
원가 요소별 비례 배분법은 재고 자산 계정과 매출 원가 계정의 원가별 요소를 기준으로 나눈 다음, 이들 각각에 해당하는 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직접 재료비 구매 가격에 차이가 나타났을 때는 원재료, 재공품, 제품, 능률 차이, 매출 원가 금액에 이를 비례 배분한다. 직접 재료비의 수량(능률)에 차이가 나타났을 때는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 금액에 이를 비례 배분하고, 가공비에 차이가 나타났을 때는 재공품과 제품, 매출원가 금액에 이를 비례하여 배분한다. 여기서 가공비는 직접 노무비와 변동 제조 간접비, 고정 제조 간접비를 모두 더한 값이다. 불리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을 때는 원재료,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에 해당하는 요소를 증가시켜주고, 유리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을 때는 원재료,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에 해당하는 요소를 감소시켜주는 방식으로 회계 처리가 이루어진다. 전민영, 「201512[원가회계] 진도별 핵심정리 및 문제풀이」, 『月刊 會計 24.1』, 2015, 3~4쪽 참고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연섭 외 3인, 「회계 실무자라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원앤원북스, 2015
전민영, 「201512[원가회계] 진도별 핵심정리 및 문제풀이」, 『月刊 會計 24.1』, 2015
http://www.riss.kr/link?id=A101749397
이희숙, 「표준원가계산과 원가차이 및 수익성 분석 사례연구」, 『Korea Business Review 22.1』, 2018, 69~70쪽 참고 http://www.riss.kr/link?id=A105119509
6) 표준원가의 회계 처리 방법
불리한 차이(U)는 실제 원가가 예측한 수치보다 증가했다는 것이므로 차변에 기록한다. 유리한 차이(F)는 실제 원가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변에 기록한다.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이러한 차이들은 여러 방법의 하나를 택하여 재무제표상의 항목에 배분된다. 차이를 배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원가 요소별 비례 배부법이다.
원가 요소별 비례 배분법은 재고 자산 계정과 매출 원가 계정의 원가별 요소를 기준으로 나눈 다음, 이들 각각에 해당하는 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직접 재료비 구매 가격에 차이가 나타났을 때는 원재료, 재공품, 제품, 능률 차이, 매출 원가 금액에 이를 비례 배분한다. 직접 재료비의 수량(능률)에 차이가 나타났을 때는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 금액에 이를 비례 배분하고, 가공비에 차이가 나타났을 때는 재공품과 제품, 매출원가 금액에 이를 비례하여 배분한다. 여기서 가공비는 직접 노무비와 변동 제조 간접비, 고정 제조 간접비를 모두 더한 값이다. 불리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을 때는 원재료,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에 해당하는 요소를 증가시켜주고, 유리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을 때는 원재료,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에 해당하는 요소를 감소시켜주는 방식으로 회계 처리가 이루어진다. 전민영, 「201512[원가회계] 진도별 핵심정리 및 문제풀이」, 『月刊 會計 24.1』, 2015, 3~4쪽 참고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연섭 외 3인, 「회계 실무자라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원앤원북스, 2015
전민영, 「201512[원가회계] 진도별 핵심정리 및 문제풀이」, 『月刊 會計 24.1』, 2015
http://www.riss.kr/link?id=A101749397
이희숙, 「표준원가계산과 원가차이 및 수익성 분석 사례연구」, 『Korea Business Review 22.1』, 2018, 69~70쪽 참고 http://www.riss.kr/link?id=A1051195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