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조사 ) 미국의 팝아트에 대해서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료조사 ) 미국의 팝아트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팝아트의 개념>
<팝아트의 특성>
<미국 팝아트의 출현>
<영국의 팝아트와 비교>
<팝아트 속 상표의 의미>
<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진 인물의 초상>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해주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톰 워셀만 (Tom Wesselmann)의 작품인 [도판 22]에서도 케네디의 이미지는 당시 젊고 풍요로운 사회를 약속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작용하면서 동시에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미국의 매력적이고 풍족한 현실을 보여준다. 여기서 케네디의 초상은 당시 가정에서도 볼 수 있는 케네디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함께 나타낸다.
마리솔 에스코바 (MarisolEscobar)의 작품인 [도판 23]은 대중매체에서 가장 유명하고 주목받는 케네디 대통령 가족을 소재로 하였다. 매체에서의 케네디 가족 이미지는 아름답고 풍족해 보였기에 많은 이들에게 매력적으로 비춰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오히려 부자연스러움을 강조하였고 어딘가 냉소적인 느낌이 든다. 이것은 대중매체에서 바라본 케네디에 대한 객관적 시각이 아니라 비주류 계층으로 살아온 작가의 성장배경이 반영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도판 24-26]은 지면상 다음 페이지에 담았음)
[도판 24-26]에서도 케네디와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물건이나 사진들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케네디의 정치적 행보 및 시대상을 잘 담고 있는 것들인데, 우주개발의 선두권을 놓고 소련과 경쟁하던 사회적 쟁점을 비롯해 당시 미국의 진보한 기술력, 환경주의, 소비문화, 베트남 전쟁 등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다. 결국 이 모든 것은 케네디로 인해 결부되는 것으로 당시 시대상을 잘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도판 24]
(1964)
[도판 25]
(1964)
[도판 26]
(1964)
② 연예인
대중문화의 주 소비계층인 10대는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생활에 대한 궁금증을 대중매체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고, 대중매체는 연예인의 이미지를 우상화시키는 데 이바지했다. 팝아트는 일상뿐만 아니라 사회적 현상을 담는 예술 사조다. 이러한 영향으로 연예인의 영향력은 팝아트 작가들의 소재로 활용되기에 충분했다. 여기에서는 ‘마릴린 먼로’에 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판 27]
(1962)
[도판 28]
Marilyn Monroe> (1962)
[도판 29]
(1962)
당대 최고의 섹시한 여배우인 마릴린 먼로를 소재로 한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앨런 다켄젤로 (Allan D\'Arcangelo)의 [도판 27]을 보면 안면부가 지워진 상태의 여성 이미지와 종이 인형의 평면도가 가위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작가는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그녀의 이러한 이미지가 그녀의 내면적 본성이 아니라 미디어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라는 것을 보여준다.
제임스 길 (James Gill)의 [도판 28]은 그녀가 사망하기 직전에 찍었던 『라이프』 잡지의 인터뷰 사진을 이용해 제작된 작품이다. [도판 28]에서는 편안한 듯 웃고 있는 왼쪽의 먼로와 무표정으로 일관하는 가운데의 먼로, 그리고 옷이 벗겨진 채 화가 난 표정을 짓는 오른쪽의 먼로가 대비되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옷을 벗은 먼로는 미디어를 통해 보여지던 아름답고 육감적인 모습이 아니라 타의에 의해 자신을 노출해야 하는 ‘벗겨진’ 여성인 것처럼 보인다. 또한 앞쪽의 이미지가 우리에게 익숙한 먼로의 모습이라면 뒤쪽의 흑백 이미지는 먼로의 진짜 모습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마릴린 먼로 사망 이후, 앤디 워홀은 그녀의 사진을 한 장 사서 실크스크린으로 그녀를 소재로 한 작품을 반복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앤디 워홀이 먼로를 소재로 제작한 수많은 작품 중 대표작으로 [도판 29]를 꼽을 수 있다. 이 작품은 그녀의 얼굴을 클로즈 업한 것 같은 느낌을 주는데, 이런 방식은 대중들이 유명인에 대해 알고 싶을수록 점차 갖게 되는 관음증적인 욕망을 충족시켜 준다. 또한 워홀은 그녀의 이미지에 짙은 섀도우와 립스틱의 색채를 덧칠해 생전의 아름다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중매체가 그녀의 모습을 담을 때에는 육감적인 몸매와 포즈 등 신체를 이용해 섹시한 이미지를 만들었지만 워홀은 그녀의 얼굴만을 이용하여 사회에서 이미 각인된 ‘섹스심벌’이라는 표상을 작품에 담고 있다.
<결론>
다양한 상표를 팝아트 소재로 차용한 팝아트 작가들
소비사회의 특성과 잘 부합하는 상표
다양한 사회적 체계 및 의미를 전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 팝아트의 초상 모티프
<참고문헌>
p.1 <팝아트의 개념>, <팝아트의 특성> 출처
김성중, 「팝아트 (Pop Art)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b70f0b914bbefa5ffe0bdc3ef48d419
p.1 <미국 팝아트의 출현>, <영국의 팝아트와 비교> 출처
허아영, 「미국 팝아트의 국가선전 기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0b4b78f4bb83243ffe0bdc3ef48d419
p.1-6 <팝아트 속 상표의 의미> 및 [도판 1-20] 출처
최정윤, 「미국 팝아트에 나타난 상표 이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e015adb2650ce16ffe0bdc3ef48d419
p.6-9 <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진 인물의 초상> 및 [도판 21-29] 출처
안진희, 「미국 팝아트에 나타난 초상 모티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3d40d361383acb4ffe0bdc3ef48d419
  • 가격3,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