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블록체인의 정의
2.2 블록체인의 특성 및 유형
2.2.1 블록체인의 특성
2.2.2 블록체인의 유형
2.3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 기술
2.3.1 1세대 블록체인과 2세대 블록체인
2.3.2 블록체인 적용 사례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2.1 블록체인의 정의
2.2 블록체인의 특성 및 유형
2.2.1 블록체인의 특성
2.2.2 블록체인의 유형
2.3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 기술
2.3.1 1세대 블록체인과 2세대 블록체인
2.3.2 블록체인 적용 사례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은 물류, 의료보건, 미디어, 공공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물류 분야에서는 주로 글로벌 기업인 삼성과, IBM, 월마트 등이 협력하여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및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삼성은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을 융합한 삼성SDS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업무의 공정성과 투명성, 효율성은 물론 안정성까지 확보하게 되었다. 또, IBM과 월마트의 경우 제품 이동에 대한 가시성과 안정성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안전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마찬가지고 국내의 SK C&C는 SKT의 IoT 전용망인 로라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화물 추적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는 화물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온도나 습도 등 실시간 정보를 물류 관계자에게 공유하는 서비스로, 추후 냉동컨테이너, 항로 컨테이너선 등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의료보건 분야에서는 병원이 보유한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 후, IoT 등에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가 자신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즉, 블록체인의 개인 계정에 의료 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보험회사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실손보험금 자동 청구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이는 실손 보험 가입자가 진료비를 수납하게 되면 보험사가 병원의 진료기록을 공유 받아 가입자의 별도 서류 제출 없이 보험금 청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 금융업에서는 직접 가상통화를 개발하거나 컨소시엄 형태의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금융 프로세스를 제작하고 도입 중이다. 국내 은행은 해외 송금, 인증 등의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고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증 서비스를 상용화하였고,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국가 간 송금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수료 절감을 노력하고 있다. 또, KEB 하나은행의 경우 민관 합동 해운물류 시스템과 함께 이더리움 기반의 무역금융 블록체인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3. 결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며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블록체인’이었다.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블록을 체인으로 연결한다는 것으로, 여기서 블록은 여러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존의 전자 금융 등 정보통신망 기술은 중앙 집권하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통제, 허가 없이는 사용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서 참여자 모두가 직접 정보를 검토할 수 있고, 데이터를 개인이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면서도 이러한 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은 초기 가상화폐 거래 등에만 활용된 것을 넘어 기존의 기술에 접목시켜 활용하기도 하며 새로운 체계를 구축하여 금융, 물류, 의료, 미디어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하게 발전한 이 체계를 악용하는 사례도 생길 것이고, 세대별 기술 활용에 대한 어려움도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가상화폐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얻을 수 투기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현재 가상화폐 투기를 막기 위하여 규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모두가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에 지원하려는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는 아직 블록체인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기존의 법률 체계를 어떻게 개편해야 할지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정부에서 이러한 기술 발전에 걸맞은 규제, 법률 등을 규정하면서도 이를 저해하지 않는다면 국내는 많은 기술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성은, (2018).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혈액 콜드체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938a0ee54508e56ffe0bdc3ef48d419
김상근, (2021). 블록체인의 품질특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ccd12d096e82f1affe0bdc3ef48d419
물류 분야에서는 주로 글로벌 기업인 삼성과, IBM, 월마트 등이 협력하여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및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삼성은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을 융합한 삼성SDS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업무의 공정성과 투명성, 효율성은 물론 안정성까지 확보하게 되었다. 또, IBM과 월마트의 경우 제품 이동에 대한 가시성과 안정성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안전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마찬가지고 국내의 SK C&C는 SKT의 IoT 전용망인 로라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화물 추적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는 화물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온도나 습도 등 실시간 정보를 물류 관계자에게 공유하는 서비스로, 추후 냉동컨테이너, 항로 컨테이너선 등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의료보건 분야에서는 병원이 보유한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 후, IoT 등에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가 자신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즉, 블록체인의 개인 계정에 의료 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보험회사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실손보험금 자동 청구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이는 실손 보험 가입자가 진료비를 수납하게 되면 보험사가 병원의 진료기록을 공유 받아 가입자의 별도 서류 제출 없이 보험금 청구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 금융업에서는 직접 가상통화를 개발하거나 컨소시엄 형태의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금융 프로세스를 제작하고 도입 중이다. 국내 은행은 해외 송금, 인증 등의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고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인증 서비스를 상용화하였고,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국가 간 송금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수료 절감을 노력하고 있다. 또, KEB 하나은행의 경우 민관 합동 해운물류 시스템과 함께 이더리움 기반의 무역금융 블록체인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3. 결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며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블록체인’이었다.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블록을 체인으로 연결한다는 것으로, 여기서 블록은 여러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존의 전자 금융 등 정보통신망 기술은 중앙 집권하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통제, 허가 없이는 사용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서 참여자 모두가 직접 정보를 검토할 수 있고, 데이터를 개인이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면서도 이러한 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은 초기 가상화폐 거래 등에만 활용된 것을 넘어 기존의 기술에 접목시켜 활용하기도 하며 새로운 체계를 구축하여 금융, 물류, 의료, 미디어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하게 발전한 이 체계를 악용하는 사례도 생길 것이고, 세대별 기술 활용에 대한 어려움도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가상화폐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얻을 수 투기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현재 가상화폐 투기를 막기 위하여 규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모두가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에 지원하려는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는 아직 블록체인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기존의 법률 체계를 어떻게 개편해야 할지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정부에서 이러한 기술 발전에 걸맞은 규제, 법률 등을 규정하면서도 이를 저해하지 않는다면 국내는 많은 기술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성은, (2018).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혈액 콜드체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938a0ee54508e56ffe0bdc3ef48d419
김상근, (2021). 블록체인의 품질특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ccd12d096e82f1affe0bdc3ef48d419
추천자료
2018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E형(Block chain)
정보통신망 D형 Internet of Things (IoT)에 관하여 조사하고 IoT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정보통신망 B형 디지털헬스케어 - Digital Healthcare에 관하여 조사하고 Digital Healthcare...
2019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Block chain)
[정보통신망 공통] 인공지능과 기계학습(AI and Machine Learning)에 관하여 조사하고 해당 ...
2021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E형(Block chain)
정보통신망4E)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에 관하여 조사하고 사물인터넷을 위해 활용될 ...
정보통신망 =) Block chain에 관하여 조사하고 Block chain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