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소개 칼럼 ) 음향 엔지니어로 작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업 소개 칼럼 ) 음향 엔지니어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직업 소개 칼럼
음향 엔지니어로 작성

1) 직업의 특성 (필수)
예) 희망직업, 직업분류, 하는 일(주된 활동), 일하는 장소, 근무시간, 급여, 이 직업 종사자의 특징, 이 직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 이 직업에서 요구하는 대인관계 능력

2) 희망하는 직업을 위해 준비할 것(필수)
예) 요구되는 전공, 필요한 교과목, 외부활동, 자격증, 동아리

3) 희망하는 직업의 전망 (필수)
예) 이 직업의 장점, 단점, 기회요소, 위험성, 이 직업의 5년, 10년 후의 전망, 이
직업의 대안으로서의 유사한 다른 직업

4) 직업 관련 전문가로서 성장 가능성 (선택)
예) 전공 관련 대학원이 개설된 대학, 대학원 학비, 가능한 장학금, 연수 및 추가
교육이 가능한 다른 기관

5) 관련 직업인 인터뷰 (선택)

6) 조사를 하며 느낀 점(필수)

제목: 음향 엔지니어 직업조사

본문내용

산업은 전통적인 드라마와 영화 등을 넘어서서, 유튜브 등의 온라인 동영상 업로드 웹사이트와 아프리카, 트위치 등의 온라인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 웹사이트 등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영상 매체인 드라마와 영화 등도 과거 지상파 방송국과 케이블 방송국에만 한정되어 있던 영상 매체 창구가 넷플릭스 등 OTT로 넓어지면서 분야 전반이 크게 확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현실은 음향 엔지니어가 가진 장점인 영상 매체에서 필수적이라는 점을 가장 극대화시켜 주며, 동시에 영상 매체 산업에 그 흥망이 종속되어 있다는 단점을 오히려 장점으로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이미 2012년부터 10년 후 임금, 정규고용 비율, 고용 유지 비율 모두 크게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습니다. 한상근. 한국의 직업지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p.254
지금까지 제가 희망하는 직업인 음향 엔지니어에 대한 직업 소개 칼럼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이 직업이 어떤 직업인지, 이를 위해서는 어떤 것을 공부하고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이 직업의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모든 영상 매체에 포함되는 모든 음향을 조작하여 영상을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 이 직업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 그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교과목과 실제 기술을 통해 업무를 수행해 볼 수 있는 동아리나 외부 활동을 준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현재 계속하여 확장하고 있는 영상 매체 산업을 생각해 볼 때 그 전망이 매우 좋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음향 엔지니어에 대해 조사하면서, 저는 두 가지 점에 대하여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한 가지는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서 이 분야에 대해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저는 동아리 활동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바 있지만, 이것이 음향 엔지니어로의 커리어를 준비하는 데에 이렇게 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 분야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가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증이나 무대음향전문인 자격증 등을 주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막연히 어떤 일을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그 분야에 대해 정확히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당연한 진리를 이번 조사를 통해 확실하게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커리어의 전망이 정말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는 점을 보면서, 커리어의 전망을 예측하는 것에 대해서도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음향 엔지니어 한 가지 커리어도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대해 예측할 수 있다면, 다른 직무도 고려하면 어떻게 될까요? 그래서 저는 이 점을 생각하면서 커리어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참고자료
한상근. 한국의 직업지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url: http://www.riss.kr/link?id=M13326592)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