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 고구려 미술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미술사 ) 고구려 미술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목 : 고구려의 역사가 담겨있는 고구려 미술

목차
1. 서론
2. 본론
(1) 고분벽화
(2) 건축
(3) 조각/토기/공예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 불상은 6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며 옷의 주름 표현은 선으로 새긴 형태만 간략히 묘사되다가 자연스럽게 늘어져 여러 겹의 수직 주름으로 표현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가냘픈 몸매에 비해 얼굴이 큰 편으로 묘한 대조를 이루며 생각에 잠긴 보살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다.
고구려 시대의 토기는 백제, 신라에 비해 적게 출토되고 희소하다. 고구려 토기는 낮은 온도에서 구운 연질토기와 고온으로 구운 경질토기로 구분되나 대부분은 경질토기가 차지하고 있으며 중기에는 유약을 바른 토기도 나타난다. 1세기에서부터 3세기에 걸쳐 나타났던 회백색 전통을 계승하였으며 몸체에 흑연을 발라 검게 연마한 흑도 등 고구려의 토기에서 견고한 느낌을 준다. 또한 고구려 토기는 한대 도기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대동강 유역의 평양 지방 토기에서 더욱 두드러져 낙랑도기의 영향임이 분명해보인다.
고구려의 금속 공예품은 출토된 것이 거의 없으나 신라, 백제에서 금제품의 출토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아 지리적으로 고구려를 통해 발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금속 공예품 제작에 이용된 기술로 누금세공이 있다. 세금세공, 입금세공, 필리그리 기법이라고도 불리며 금알갱이와 가는 금실로 세공품을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평양 석암리 9호 낙랑무덤 출토의 띠고리장식에서 처음 나타난다. 우리나라에는 한나라의 영향으로 낙랑을 통해 들어왔다는 견해도 있으나, 누금세공유물의 출토 예가 많지 않고 평양 석암리9호분의 띠고리장식 자체가 북방계 문물이고 신라의 금관·보검·뿔잔·굽다리접시 등도 서역적·북방적 성격의 유물인 것으로 보아, 중앙아시아를 통한 북방 유목 문화의 영향으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더 크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누금세공(鏤金細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235
3. 결론
고구려의 미술, 회화 등을 통해 고조선의 멸망 이후 졸본에서 터를 잡아 넓은 만주 평야를 드넓혀가던 고구려의 기상과 투박하지만 소박하고 동적이며 용맹함을 엿볼 수 있었다. 백제, 신라와 삼국 시대를 이끌어가며 전성기를 이끌어나갔으나 결국 주변 열강 국가에 의해 몰락하였으나 고구려의 흔적과 영향은 그 이후에도 계속된 것으로 보인다. 발해, 고려 등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도 있었으며 백제, 신라, 일본 등에서도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건축양식, 회화들을 볼 수 있었다. 고구려와 대조적으로 한반도에서 많이 출토되고, 온화하고 단정한 분위기의 백제와 화려하고 세세함을 강조한 신라의 미술품들이 대중들에게 익숙하고 친숙할 것이다. 그러나 고구려의 투박하고 소박하지만 역동적이고 독특한 미술 방식은 백제와 신라에게서 볼 수 없고 이 또한 후세 국가들의 미술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과거 고구려의 영토는 현재 지리적으로 대한민국보다 북한, 중국에 그 흔적이 많이 남아있어 합동 조사가 쉽지 않고 동북 공정으로 인해 고유의 역사마저 빼앗길 위기에 처해있다. 한 시대의 역사를 보다 잘 이해하기 쉬운 문화 예술을 잘 보존함으로서 우리의 역사를 지키고 계승하여 후손들에게 잘 보전하여야 앞으로도 고구려의 미술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일연(역자:김원중), 삼국유사, 민음사, 2008
김부식(역자:정민호), 삼국사기, 명문당, 2020
최태성,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고급,상), 이투스북, 2017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2008. http://www.dapsa.kr/blog/?p=31638
국사편찬위원회;우리역사넷,http://contents.history.go.kr/id/nh_008_0050_0050_0010_0010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